• Title/Summary/Keyword: 침출수 유출

Search Result 8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현장추적자시험에 의한 폐기물매립장 침출수 유출경로 규명

  • 강동환;정상용;이광열;김병우;김태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63-66
    • /
    • 2004
  • 폐기물매립장에서의 침출수 유출을 확인하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추적자시험이 실시되었다. 추적자는 요오드와 Rhodamine WT를 이용하였으며, 추적자는 T-2, 4, 5공에서 주입하였다. 관측지점으로는 매립장내 우수관 출구와 측면배수구에서 모니터링 하였으며, 또한 주입공 하부의 9개 지하수공에서 모니터링 하였다. T-4, T-2와 T-5 지하수공에서 요오드와 Rhodamine WT 용액을 주입한 추적자시험 결촤 매립장의 바닥 차수막이 파손되어 침출수가 우수관내로 유출되고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또한 매립장내의 투수성이 매우 높아 일반적인 자연상태에 비해 매립장에서 우수관내로의 침출수 유입이 매우 빠름을 알 수 있었다. T-4와 T-2 지하수공에서 실시된 추적자시험에서 매립장의 차수벽 하부에 위치한 B-5와 B-6공에서 다량의 추적자가 관측되어 하부차수벽을 통해 침출수가 유출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현장에서 실시된 추적자시험을 통해 매립장에서의 침출수 유출은 매우 빠른 속도로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주 유출경로로는 T-4와 T-5 지하수공 주변의 바닥차수막과 매립장의 하부차수벽을 통해 유출 되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valuation of Outflow from New Constructed Landfill Site (신축매립장 부지내 유출수의 평가)

  • Ju, So-Young;Yeon, Ik-Jun;Lee, Min-Hee;Shin, Jin-Hwan;Kim, Kwang-Yu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3 no.3
    • /
    • pp.45-51
    • /
    • 2002
  •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if the outflow from incised slope in a new constructed landfill site flowed into it from the neighboring existing landfill site. The water quality of the outflow was compared with the leachate of the neighboring existing landfill site, monitoring well, stream water, and underground water near by the new constructed landfill site. We examined a result of filtering experiment of the leachate and $NH_3$ and $H_2S$ analysis of odor in the outflow sit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the pollution level of the outflow from the constructed site was quiet high, relatively, and that the micro-analysis of organic materials from the outflow and the odor analysis of organic materials were related with the outflow results. So we supposed that the outflow was affected with the leachate of the neighboring existing landfill site and countermeasures should be made prior to construction.

  • PDF

Effects of Waste Leachate in the Landfill on the Growth of Populus euramericana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가 이태리 포플러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

  • 우수영;김판기;이동섭;김동근;권오규;배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 /
    • 2001.06a
    • /
    • pp.73-76
    • /
    • 2001
  • 쓰레기를 매립한 후 매립장에서 유출되는 침출수는 높은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iological Oxygen Demand: BOD)으로 인해서 지하수 오염과 더불어서 식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더욱이 산업쓰레기에는 중금속이 다량 들어 있어서 침출수의 집적, 유출로 인해서 토양을 오염시켜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정종관과 장원, 1995).(중략)

  • PDF

Ecotoxicity Assessment of Leachate from Disposal Site for Foot-and-Mouth Disease Carcasses (구제역 가축 매몰지 침출수 독성영향평가)

  • Kim, Dongwoo;Yu, Seungho;Chang, Soonwoong;Lee, Junga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8
    • /
    • pp.5-11
    • /
    • 2014
  • In this study, chemical analysis and ecotoxicity tests of leachate from disposal site for foot-and-mouth disease carcasses (FMD leachate) were conducted to collect fundamental data that will be used to develop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tools for FMD leachate. For chemical analysis, concentration of $Cl^-$, $NH{_4}{^+}-N$, Korea standard method indicators for detection of leachate released from animal carcasses burial site into groundwater and NRN (Ninhydrin-Reactive Nitrogens), a newly suggested screening test indicator to detect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FMD leachate, were assessed. For ecotoxicity tests, luminescent bacteria (V. fischeri), micro-algae (P. subcapitata) and water flea (D. magna) were selected as test specie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Cl^-$, $NH{_4}{^+}-N$, NRN and the toxicity to V. fischeri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better indicators to monitor FMD leachate contamination. From regression analysis, the concentration of the indicators in FMD leachate contaminated sample that induced halfmaximal toxic effect to V. fischeri was evaluated.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assess the risk by FMD leachate and to establish the guideline to manage risk in relation to FMD leachate.

Long-Term Performance of Geotextile and Geomembranes by Installation Damage (시공 시 손상에 의한 지오텍스타일 및 지오멤브레인의 장기성능)

  • 전한용;목문성;류원석;이준석;홍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235-238
    • /
    • 2003
  • 폐기물 매립시스템은 크게 폐기물의 토양으로의 유출에 의한 오염방지를 위한 lining system과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방출차단과 빗물의 매립시스템으로의 침투방지를 위한 covering system으로 나뉘어진다. Lining system은 폐기물 하부에 차수층, 침출수 배수층, 침출수 차단층과 차수재 보호층 순으로 구성되며, covering system은 폐기물 상부에 집수관을 설치한 후 중간 복토층을 둔 후, 가스 차단층, 봉합층, 배수장치와 보호층 순으로 구성되어진다. (중략)

  • PDF

Simulation of Alpine Field Soil Loss by Outdoor Rainfall Simulator (실외인공강우에 의한 경사밭의 토양 유실량 모의)

  • Shin, Hyun-Jun;Won, Chul-Hee;Kim, Tae-Yoo;Choi, Eu-Tteum;Choi, Jo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42-1246
    • /
    • 2010
  • 호우기간 동안 내리는 빗방울의 타격에 의해 흙 입자는 침출수와 함께 이동하여 지표 아래 공극을 막는다. 다져진 지표면은 유출과 토양 유실의 원인이 된다. 발생원으로부터 유실되는 토양을 Polyacrylamide(PAM)과 지표피복재를 이용하여 저감하는 연구를 하였다. PAM은 토양 입자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이탈을 방지하여 토양 유실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PAM을 덧붙인 볏짚거적, 볏짚거적+톱밥, 볏짚거적+왕겨 등을 이용하여 인공강우 동안 토양 유실을 저감하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실험은 1시간 동안 강우를 모의했으며, 실험 도중에 6~7회 수질 샘플을 채취하였다. 초기유출시간은 총 4차 실험중에 2차를 제외한 나머지에서 볏짚거적+왕겨+PAM이 가장 느리게 유출되었다. SS와 탁도 항목에서 1차 실험을 제외한 나머지 실험에서 볏짚거적+톱밥+PAM이 효과적이었다. 단순히 PAM을 사용하는 것보다 잔여물(residue)을 같이 혼합한 피복재료가 토양 유실과 유출을 저감하는데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농촌지역에 토양 유실저감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제강분진을 반응촉매로 이용한 침출수의 연속산화처리공정

  • 강정우;장윤석;지원현;김성용;배범한;장윤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164-16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포항제철소에서 제철부산물로 발생되는 제강분진을 전처리 없이 산화촉매로 사용하여 김포 수도권 매립지의 침출수 처리공정에서 펜톤산화조에 유입되는 원수를 대상으 로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연속식 산화처리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회분식 실험결과를 바탕 으로 최적 반응조건에서 lab-scale 연속식 기초반응실험과 자체 설계.제작한 연속산화공정에서의 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존의 펜톤산화공정에서 Fe 공급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FeSO$_4$.7($H_2O$)와의 반응성 비교실험도 수행하였다. 반응기간동안 일정 pH를 유지하기 위해 pH controller를 사용하였으며 침출수 수질은 CODcr로 나타내었다. 반응 pH 3.5, 체류시간 1 hr, 과산화수소 주입량 1,500mg/1에서 제강분진과 FeSO$_4$.7($H_2O$)를 각각 주입하여 수행한 연속처리 기초실험에서는 제강분진을 산화반응촉매로 사용한 경우에 침출수CODcr 처리율 62%, 과산화수소의 분해율 52%를 나타내었다. FeSO$_4$.7($H_2O$)를 산화반응 촉매로 사용한 경우에는 약 65-70%정도의 다소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낸 반면에 과산화수소의 소비량은 제강분진의 경우보다 약 20%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연속산화공정 실험에서는 운전 3시간 이후에 유출수 중의 CODcr과 $H_2O$$_2$의 농도가 안정된 값을 나타내었다. 이 때 산화 반응조의 침출수 CODcr 제거효율은 약 43%이었으며, 처리수의 농도는 현재의 침출수 방류기준 이하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침출수의 연속식 산화처리 실험결과, 처리효율과 경제성에서 제강분진의 산화촉매활용 공정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ell에 의해 완전분해 되었으며, 함께 존재시 TC는 Fe$^{\circ}$만으로는 분해가 되지 않았지만 cell에 의해 완전분해 되었으며, 함께 존재시 TCE분해에 저해작용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술의 첨가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산성광산배수 오염지대에 대해 획일적으로 같은 처리방법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보다 각 지역 또는 광산산성폐수가 유출되어 나오는 광산폐기물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거기에 맞는 기술들을 복합적으로 또는 단독으로 사용하되 처리방법 채택 시 신중을 기할 것이 요망된다.정시에는 SeaWiFS 위성과 관련된 global algorithms 중에서 490nm와 555nm의 복합밴드를 포함하는 OC2 알고리즘(ocean color chlorophyll 2 algorithm)을 사용하는 것이 OC2 series 및 OC4 알고리즘보다 좋은 추정 값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환경에서는 5일에서 7월에 주로 이 충체의 유충이 발육되고 전파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하였다.함을 보이고 있다.X> , ZnCl$_{3}$$^{-}$같은 이온과 MgCl$^{+}$, MgCl$_{2}$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떠한 용리액에서던지 NH$_{4}$$^{+}$의 경우 Dv값이 제일 작았다. 바. 본 연구의 목적중의 하나인 인체유해 중금속이온인 Hg(II), Cd(II)등이 NaCl같은 염화물

  • PDF

Preliminary Evaluation of Leachate Recirculation Anaerobic Digestion System to treat Source Separated Food Waste (침출수 순환형 음식물류 폐기물 혐기성 소화공법에 대한 초기 특성 파악)

  • Lee, Byonghi;Lee, Jeseung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1 no.4
    • /
    • pp.50-61
    • /
    • 2013
  • In order to generate a renewable energy-Methane, anaerobic systems fed with source separated food waste from university cafeteria were studied. At first, four reactors were evaluated with same feed components; content non-mixing anaerobic reactor without leachate withdrawal/recirculation, content mixing anaerobic reactor without leachate withdrawal/recirculation, content non-mixing anaerobic reactor with leachate withdrawal/recirculation and content mixing anaerobic reactor with leachate withdrawal/recirculation. From the first study, content non-mixing anaerobic reactor with leachate withdrawal/recirculation showed the highest gas production. From further study with this system, it was observed that leachate permeation rate within anaerobic reactor was very important factor for gas generation. The higher permeation rate, the more gas production was observed. It is assumed that 1kg of gas collector weight and C/N ration above 10 in food waste may cause gas consumption in the anaerobic reactor. The gas consumption was estimated by negative pressure build-up at gas collector. The negative pressure build-up must be explained to produce Methane from Food Waste.

A Case History of Confinement of the Contaminated Landfill Using a Vortical Barrier (연직 차수벽을 이용한 폐기물매립지 침출수 오염 제어 사례 연구)

  • 이재영;정문경;고재만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4 no.2
    • /
    • pp.163-174
    • /
    • 1999
  • This paper presents a case history of remedial action adopted for contaminated groundwater in a landfill. The objectives of the projects are : (1) to effectively confine contaminated groundwater with an economically reasonable means, (2) to prevent further contamination of soil by collecting and treat the contaminant. and (3) to assure the environmental safety of the landfill during its operating period. Reported are the process from site investigation, through design and construction of an appropriate remedial action, to the monitoring of the selected confinement system. In view of the results of site investigation, deep soil mixing cutoff wall using the DMW(deep soil mixing cutoff wall) method and specially produced HEC soil stabilizer wer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deep soil mixing cutoff wall. For rock foundation with sever fractures, chemical grout curtain with urethane was installed. The monitoring results to date indicate that the selected vertical barrier performed satisfactorily.

  • PDF

A Study on the Leachate Distribution of the Mooreung Landfill Site with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전기비저항 탐사를 이용한 충주 무릉매립장 침출수 분포에 관한 연구)

  • Kim, Jun-Kyoun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6 no.4 s.50
    • /
    • pp.455-463
    • /
    • 2006
  • The electrical resistivity prospecting method with dipole-dipole array was applied to the Mooreung landfill site in order to survey the existence of leachate around the landfill site. Moreover, if there is leachate within Mooreung landfill site, the analysis of potential pathways to exterior environments was tried. Within the landfill sit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resistivity anomalies suggest that the leachate induced from the landfill materials has infiltrated the basement rock and fill the pores of basement rock in some parts of the landfill site. The consistency of the anomaly locations (left part of each survey line), anomaly geometries, and absolute resistivity value of anomaly through the 3 survey lines suggests that the resistivity anomaly be connected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and correspond to the leachate material. Finally, the result from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line near the gateway of the landfill site suggests that some of the leachate induced from landfill material leaks to the exterior groundwater system. It is necessary that more surveys using both geochemical and geophysical methods should be performed to find out potential pathways and depths of the leachate more precis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