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우기 자료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62초

조선 중기 이후 서울의 장마철 강수 평균과 극한강수현상의 변화 (Changes in Means and Extreme Events of Changma-Period Precipitation Since mid-Joseon Dynasty in Seoul, Korea)

  • 최광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3-4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측우기(1777~1907년)와 현대적 기상장비(1908~2015년)로 측정한 강우량 자료를 종합 분석하여 서울의 장마철 강수량과 극한강수현상에 나타난 장기간 변화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이와 관련된 동아시아 영역의 종관 기후장에 나타난 변화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약 239년 동안의 서울의 강수자료 시계열을 분석한 결과, 20세기 후반으로 올수록 장마철(6월 하순~9월 초순) 강수량이 증가하고, 경년변동성도 더 커짐을 알 수 있다. 특히 1990년대 초반부터는 장마철 중에서도 여름장마기(6월 하순~7월 중순)와 장마 휴지기(7월 하순~8월 초순)에 극한강수현상 중심의 강수량이 뚜렷하게 증가하면서 장마기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변화가 뚜렷한 1990년 전후의 상층 종관기후장을 비교해 보면, 최근에는 북서태평양 주변의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고 북태평양 아열대 고기압 강도가 강화되어 해양성 기단이 한반도 방향으로 더 확장하고, 유라시아 대륙 내부 몽골 지역을 중심으로 강한 고기압 편차핵이 형성되면서 고위도로부터 기류가 더 활발하게 유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성질의 기류들이 강해지면서 이들 기류들이 만나는 북서태평양 연안 지역에 상승 기류 흐름이 활발해지면서 최근에는 서울의 장마철 강수평균 및 극한강수현상이 증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 PDF

강우빈도해석에서의 측우기자료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for usefulness of Chukwookee Data in Rainfall Frequency Analysis)

  • 김기욱;유철상;박민규;김대하;박상형;김현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26-1530
    • /
    • 2007
  • In this study, the chukwookee data were evaluated by applying that for the historical rainfall frequency analysis. To derive a two parameter log-normal distribution by using historical data and modern data, censored data MLE and binomial censored data MLE were applied. As a result, we found that both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ll estimated smaller with chukwookee data then those with only modern data. This indicates that rather big events rarely happens during the period of chukwookee data then during the modern period.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using the parameters estimated were also similar to those expected. The point to be noticed is that the rainfall quantiles estimated by both methods were similar, especially for the 99% threshold.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historical document records like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could be valuable and effective for the frequency analysis. This also means the extension of data available for frequency analysis.

  • PDF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화재 콘텐츠 설계 및 구현 연구 (A Study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ultural Property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 서동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15-20
    • /
    • 2019
  • 증강현실은 카메라에 보인 현재 모습에, 중첩된 대상의 정보를 인지하는 방식으로 문화, 교육, 군사,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콘텐츠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전시나 어린이 교육 콘텐츠는 이미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문화재를 가상으로 구현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갈기비AR'과 '장영실의 발명품AR'을 통해 접근하기 어려운 문화재를 눈앞 가까이에서 경험 하도록 해준다. '갈기비AR'은 3D 블록 형태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서 문화재 구조에 대해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장영실의 발명품AR'은 물체를 확대, 축소, 회전하며 함께 사진을 찍어 문화재를 보다 밀접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바닥면을 인식하는 ARCore로 '갈기비 AR'는 증강된 화면 속에 비석을 위치하여 블록을 할 수 있게 한다. 측우기, 해시계, 물시계, 앙부일구를 손앞에 바로 보는 것과 같이 구현하여 체험자에게 사실감을 더 주고자 하였다. 문화재를 널리 알리기 위한 콘텐츠이며 문화재의 체험 콘텐츠를 통해 문화유산의 향유를 증대하고자 한다. 문화재 정보가 대중적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제작되는 콘텐츠 기획에 도움이 되는 연구 자료이길 기대한다.

소나무 연륜연대기를 이용한 영동지방의 5~6월 강수량 (253년간: A.D. 1746~1998) 복원 (Reconstruction of May~June Precipitation (253 Years: A.D. 1746~1998) in East-Coastal Region (Yungdong) of Korea from Tree Rings of Pinus densiflora S. et Z.)

  • 박원규;서정욱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7-99
    • /
    • 2000
  • 설악산에서 작성된 8개 지역 연륜연대기 중 강수량 복원에 적합한 대승폭포 인근 2개 지역(해발고 700~900m)의 연륜연대기를 이용하여 253년간 (A.D. 1746~A.D. 1998)의 5월~6월 총강수량을 복원하였다. 1765~1800년(최장 가뭄), 1835~1845년, 1890~1910년, 1920~1940년, 1980~1995년이 건조기로 나타났으며, 1810~1830년, 1860~1890년, 1950~1970년이 습윤한 시기로 나타났다. 장기간으로 보았을 때, 18세기 후반기는 건조한 기간이었으며, 19세기의 5월~6월 총강수량이 250mm로 20세기의 231mm보다 많아 19세기가 20세기보다 상대적으로 습윤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강수량 변화폭이 19세기가 20세기보다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전 기간에 걸친 주요한 건습 주기는 단기간은 3년, 장기간은 60~80년으로 조사되었다. 서울지방의 측우기 자료와는 1800년대 초를 제외하곤 대체로 일치하였다.

  • PDF

서울지점 연강수량 자료에 나타난 장기 건주기의 재현 가능성에 관한 고찰 (An Investigation of the Recurrence Possibility of Long Dry Periods shown in the Annual Rainfall Data at Seoul)

  • 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519-526
    • /
    • 2000
  • 본 연구는 서울지점의 연강수량 기록 중 1900년을 전후한 장기 건조기와 같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과우해에 대해 주목하고, 이와같이ㅣ 연속된 과유해의 재현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우해의 기준으로는 과우해의 발생에 독립성이 보장되도록 포아송 분포를 따르는 수준으로 결정하였으며, 평균-0.5표준편차의 절단수준에서는 대략 99%의 유의수준에서, 평균-0.75표준편차 및 그 이하의 절단수준에 대해서는 95%의 유의수준에서 포아송 분포를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절단수준에 대해 1900년 전후로 나타나는 장기 건조기는 단지 4년 연속의 과우해 등으로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결정된 절단수준에 대해 연속된 과우해의 발생확률은 포아송 과정을 적용하여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 평균-0.75표준편차 및 그 이하의 절단수준에 대해서는 관측치와 계산치가 유사하게 나타남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아주 낮은 절단수준인 평균-1.0표준편차의 경우 연속된 과우해의 발생확률은 1900년을 전후로 한 장기건조기의 전반부 (조선시대 측우기 기록)보다 후반부 (근대관측기록)에 작게 나타나고 있어 장기 건조기의 발생 가능성은 근대에 들어 줄어들고 있음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각사등록』에 의한 조선시대 경기도지역 측우기 우량 관측자료 복원 및 분석(1830~1893) (Restoration and Analysis of Chugugi Rainfall Data by 『Gaksadeungnok』 for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1830~1893))

  • 조하만;김상원;박진;김진아;전영신
    • 대기
    • /
    • 제23권4호
    • /
    • pp.389-400
    • /
    • 2013
  • Chugugi and Wootaeck rainfall data of Gyeonggi Province from 1830 to 1893 were restored from the "Gaksadeungnok" that is the government record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restored data periods were 27, 10, 9 and 14 years for Kwangju, Suwon, Ganghwa and Gaeseong, and the total number of restored data was 655 for the Chugugi and 427 for the Wootaek, respectively. The variation pattern of monthly rainfall by Chugugi was investigated and it showed that the monthly rainfall more than 300 mm was recorded 25 times with 18 times in July, 5 times in August and 3 times in June. The cases of more than 500 mm were also recorded 8 times with the maximum 787 mm at the Kwangju in July 1862, showing the similar pattern to Seoul. The monthly mean rainfall for the Gyeonggi Province were 259 mm in July, 204 mm in August and 121 mm in June, which were about one third of that of Seoul.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hugugi and Wootaek data was carried out to derive the quantitative values of Wootaek observations. It revealed that 1 'Ri' of Wootaek observation was equal to approximately 1 'Chon (Chugugi unit)' or 20 mm, while 1 'Seo' was very variable between 2 and 6 'Boon (Chugugi unit)' with the median value approximately 3 'Boon' or 6 mm. Recalculated Wootaek data showed that the monthly rainfall in July, August, and June were 289 mm, 154 mm, and 124 mm, respectively. Through this study, some features of the rainfall variation pattern during 1830~1893 were figured out, and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Wootaek data became possible based on the restored rainfall data from the "Gaksadeungnok". Though many pages of the book have been lost during the last hundreds years, "Gaksadeungnok" is still very meaningful and of practical use, for it contains plenty of the local data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strongly recommended on the restoration of climate related data and on the climatic tendency of 19th century of Korean peninsular.

『각사등록』에 의한 조선시대 경상도지역 측우기 강우량자료 복원 및 분석 (Restoration and Analysis of Chugugi Rainfall Data in 『Gaksadeungnok』 for the Gyeongsang-do during the Joseon Dynasty)

  • 조하만;김상원;박진;전영신
    • 대기
    • /
    • 제24권4호
    • /
    • pp.481-489
    • /
    • 2014
  • The Chugugi and Wootaek data of Gyeongsang-do (Dagu, Jinju, Goseong) were restored from "Gaksadeungnok", the governmental documents reported by the local government to the central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analyzed. The duration of the restored data represents 6 years for Daegu (1863, 1872, 1890, 1897, 1898, and 1902), 3 years for Jinju (1897, 1898, and 1900), and 2 years for Goseong (1871 and 1873). Total number of the restored data was 134, including 83 in Daegu, 25 in Jinju, and 26 in Goseong with the period ranging from March to September. The summer data from June to August accounts for approximately 50% (73 data), while the April data also shows relatively high number of 22, followed by September and March. Most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to October, while this time winter data was not found even in October. The rainfall patterns using Chugugi data were investigated. First, the number of days with rainfall by annual mean showed 41 days in Daegu, 39 in Jinju, 33 in Goseong, respectively. In terms of the time series distribution of daily rainfall, the ratio between the number of occurrences with over 40 mm of heavy rainfall and the number of rainy days showed 14 times (8%) in Daegu, 24 (39%) in Jinju, and 4 (6%) in Goseong, respectively. The maximum daily rainfall during the period was recorded with 80mm in Jinju on August 24, 1900. The result of analyzing monthly amount of rainfall clearly indicated more precipitation in summer (June, July and August) with the relatively high records of 284 mm and 422 mm in April, 1872 and July, 1902, respectively, in Daegu, while Jinju recorded the highest value of 506 mm in June, 1898. When comparing the data with those observed by Chugugi in Seoul during the same period from "Seungjeongwonilgi", the monthly rainfall patterns in Daegu and Seoul were quite similar except for the year of 1890 and 1897 in which many data were missing. In particular, in June 1898 the rainfall amount of Jinju recorded as much as 506 mm, almost 4 times of that of Seoul (134 mm).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esume that there was a large amount of the precipitation in the southern region during 1898.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 of Wootaek data based on Chugugi observations, the unit of 1 'Ri' and 1 'Seo' in Daegu can be interpreted into 18.6 mm and 7.8 mm.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with the previous result found in Gyeonggi-do (Cho et al., 2013), 1 'Ri' and 1 'Seo' may be close to 20.5 mm and 8.1 mm, however, more future investigations and studies will be essential to verify the exact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