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5초

저작습관에 따른 교합력과 안면골격형태의 비교연구 (A STUDY ON THE MAXIMUM BITE FORCE AND FACIAL MORPHOLOGY ACCORDING TO CHEWING SIDE PREFERENCE)

  • 정미라;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11-321
    • /
    • 1995
  • 이상적 교합이란 치아의 교합이 저작계의 다른 부분과 기능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중심교합상태에서 양측으로 동시에 균일한 접촉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악골의 양측을 이용한 균형된 저작은 양측의 균등한 견치유도와 기능적 능력에 의해 가능해지지만 교합간섭이나 저작계에 대한 기능적 요구의 감소로 좌우측중 어느 한쪽만을 선호하는 편측저작양상이 유도되기도 한다. 편측저작은 악골의 발육 교합 및 안면의 전체적인 형태에 이르기까지 악안면 전체에 형태적, 기능적인 부전을 초래할 잠재성을 가진 증상이나 이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저작습관의 분포를 알아보고, 저작습관에 따른 교합력의 차이와 안면골격형태를 비교 연구할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재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저작습관에 따라 양측저작군과 편측저작군으로 나누어 저작습관의 분포를 조사하였고, 이 중 두개안면부의 성장발육에 영향을 미칠만한 질병에 이환되지 않았고 측모가 양호하며 Angle분류 I급의 교합상태를 보이면서 교정치료와 보철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고 악관절 질환이 없는 자 중 양측저작자와 편측저작자 각각 25명을 선정하여 교합력계(MPM 3000)를 이용하여 최대교합력을 측정하고,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촬영하여 안면골격형태를 비교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저작습관은 양측저작자($68\%$)가 많았으며, 편측저작자 중 $68\%$는 우측을, $32\%$는 좌측의 저작을 선호하였다. 2. 양측저작군은 좌우측의 최대교합력이 비슷하였고, 편측저작군은 저작측이 비저작측보다 교합력이 컸으며 특히 여자에서 그 차가 뚜렷하였다. 편측저작군은 양측저작군에 비해 저작측은 교합력이 컸으며, 비저작측은 작았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저작습관에 상관없이 남자가 여자보다 교합력이 컸으며 남자는 여자의 교차력의 약2배정도이었다. 남녀를 합한 경우 편측저작군의 저작측은 양측저작군의 교합력과 비슷하였으나 비저작측은 그것보다 작았다. 3.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하여 안면골격형태를 비교한 결과 양측저작군의 좌우측, 편측저작군의 저작측과 비저작측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하악골 성장 지표로서 경추골 성숙도의 유용성 (USEFULNESS OF 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STAGE AS A MANDIBULAR MATURATION INDICATOR)

  • 최봉선;최남기;김선미;양규호;정성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51-559
    • /
    • 2007
  • 하악골 성장을 평가하는 데 경추골 성숙도가 수완부골 성숙도만큼 유용한가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정상교합을 가진 만 8세$\sim$만 16세 여성 29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진단석고모형,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 그리고 수완부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경추 및 수완부의 골성숙도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 증가에 따라 경추 및 수완부의 골성숙도가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2. 경추골 성숙도가 증가할수록 Ar-Go, Go-Me, N-Go, S-Gn, N-Me이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3. 수완부골 성숙도가 증가할수록 Ar-Go, Go-Me, N-Go, S-Gn이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4. 경추골 성숙도 3단계와 4단계 사이에서 Ar-Go, Go-Me, N-Go, S-Gn이 크게 증가하였고, 수완부골 성숙도 6단계와 7단계 사이에서 Go-Me, S-Gn이 크게 증가하였다. 5. Ar-Go, Go-Me, N-Go, S-Gn, N-Me은 경추 및 수완부 골성숙도와 각각 유의 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하악골 성장을 평가하는 데에 경추골 성숙도가 수완부골 성숙도처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성장기 반대교합자의 FR III 효과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CONSIDERATION ON THE EFFECT OF FR III IN GROWING PATIENTS WITH ANTERIOR CROSS-BITE)

  • 송경;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0-143
    • /
    • 1989
  • FR III에 의해 전치부 반대교합이 개선된 성장기 반대교합자 7명을 대상으로 치료전과 전치부 반대교합개선 즉시의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및 모형을 분석 검토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으나, 악골형태, 성장형태, 부정교합상태등에 따라 아주 다양한 결과를 나타내어 FR III에 의한 악안면의 변화를 한마디로 요약하는 것은 상당히 힘든 것으로 사료된다. 1. 상악골은 미약한 전상방으로의 회전 경향과 전방성장을 보였다. 2. 하악골은 개체간의 차이는 있으나 미약한 수직적 위치변화와 함께 하안면고가 증가되었다. 3. 상악전치는 치체이동 또는 순측경사되었다. 4. 모든 증례에서 하악전치는 설측경사를 보였다. 5. 상악치열궁 폭경은 증가되었으며, 하악치열궁 폭경은 개체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 PDF

편측성 순구개열자의 안면비대칭에 관한 연구 (FACIAL ASYMMETRY OF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손우성;김미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18
    • /
    • 1995
  • 편측성 순구개열자의 교합과 안모의 비대칭이 연령 증가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파악하여 비성형술의 시행시기 결정, 교정치료 도중의 안모 변화 예측 등에 이용하고자 구순과 구개의 수술을 시행받은 편측성 순구개열자 39명을 8세 이하, 9세에서 12세, 13세 이상의 3군으로 나누어 정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채득하여 투사도를 작성하였다. 좌, 우측 전두협골봉합의 내면을 잇는 선을 수평 기준선(HR)으로 하고, HR을 수직 이등분하는 선을 정중시상 기준선(MSR)으로 정하여 상악골, 상하악 치열, 하악골의 좌우 비대칭을 판단하기 위한 17 항목을 선정, 계측하였다. 안모 비대칭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student t-test를, 성장에 따른 비대칭의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하여 one-way ANOVA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편측성 순구개열자에서 비대칭은 다양하게(1.22-3.47$mm/^{\circ}$) 나타났다. 특히 정중선에 대한 상악 제1대구치와 중절치까지의 거리, 하악지의 길이에서 비대칭이 크게 나타났다. 2. 편측성 순구개열자에서 비대칭은 몇 항목에서 뚜렷한 특징을 보였다. 비중격은 모두 파열측으로 변위되었고 비강의 하연은 대부분이 파열측에서 더 하방에 위치하였다. ANS는 주로 비파열측으로, 상악 중절치는 주로 파열측으로 변위되었다. 3. 성장에 따른 비대칭의 변화양상이 가장 뚜렷한 항목은 비중격으로 9세에서 14세까지도 비대칭의 양이 증가하였다.

  • PDF

일반 및 디지탈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 하드카피의 계측오차 또는 확대율 비교 (Comparison of measurement errors between conventional, digital cephalographs and hardcopies)

  • 이태호;이기수;남종현;강윤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7권5호
    • /
    • pp.282-29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easurement error between conventional films, digital cephalographs and hardcopy. The material consisted of 29 cephalographs which used image modality of Asahi CX-90SP in the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One observer measured fiducial measurements at an interval of four weeks. Measurement error was tested by Dahlberg's formula. A paired t-test was used to detect it between each moda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onitor-displayed digital image showed enlargement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mage.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of the monitor-displayed digital image and conventional imag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SNB. 2. In conventional image, measurement errors of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were 0.23mm, $0.36^{\circ}$, respective. In monitor-displayed digital image, measurement errors of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were 0.63mm, $0.48^{\circ}$ respective. 3. The reduction ratio of hardcopy was 1.01% compared to the monitor-displayed digital image. Based on the results, it indicates that the digital cephalographs and hardcopy using storage phosphor digital radiography showed the same accuracy as the conventional films in clinical use.

  • PDF

골격성 3급 부정교합자의 술후 교합평면의 변화에 관한 연구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계측을 중심으로) (A LATERAL CEPHALOMETRIC STUDY OF POSTOPERATIVE OCCLUSAL PLANE ALTERATION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

  • 박규태;이상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9권1호
    • /
    • pp.25-34
    • /
    • 1997
  • This study was made with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of 28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that were performed to setback surgery of mandible. The 28 patients were selected by four standards as follows. 1) Set-back amount of mandible is below 10 mm 2) No extrusion and intrusion of posterior tooth or alteration of interincisial angle at period of postoperative orthodontic treatment. 3) Change of mesial segment location of mandible on lateral cephalometrics 4) No genioplasty And 28 patients were divided to three group(1,2,3 group) by degree of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to Burstone's horizontal plane. The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hich of 1 group was smaller than $7^{\circ}$ and 2 group was between $7^{\circ}$ to $15^{\circ}$ and 3 group was larger than $15^{\cir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s the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as larger, the degree of mandibular prognathism was not severe. 2. On comparsion of preoperative and immediate postoperative cephalometric analysis, specific relationship of occlusal plane angle and set-back amount of mandible was not present. 3. As the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as smaller, the alteration of post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as increased tendency. As the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as larger, the alteration of post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as decreased tendency. 4. The relapsed degree of B point distance to Vertical plane was not relationship to the degree of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 PDF

제 2 대구치 발거에 의한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eatment effects of Class III cases by second molar extraction)

  • 이성희;박영국;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9-119
    • /
    • 2004
  • 이 연구는 제 2 대구치를 발거하고 하악 제 1 대구치의 후방이동을 위해 CPHG(cervical pull head gear)와 경우에 따라 III급 고무줄을 사용하여 고정성 교정장치로 치료한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전후 안면골 및 치아치조부, 연조직의 평균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평균 ANB가 $-1.4^{\circ}$ 이고 IMPA가 $85^{\circ}$인 중등도이하의 III급 부정교합자 15명을 대상으로 치료전후 측모두부 X-선 규격사진의 평균 두개안면부 측면 중첩모식도를 작성하고 계측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안면고경에 대한 전하안면고경의 비율은 $0.6\%$증가(P<0.01)하였고, 하악 평면각이 $1.5^{\circ}$증가(P<0.05)하였다. 2. 전방 두개저에 대한 하악골 위치는 미약하게 후하방회전하였다. 3. 하악 제 1 대구치가 4.06mm(P<0.001)후방경사이동하였고 하악 전치는 설측으로 $3.2^{\circ}$경사이동(P<0.05)하였다. 4. 하순의 후퇴로 인한 안모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골격성 부조화가 중등도 이하인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하악 제 1대구치의 후방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하악 전치의 지나친 설측경사를 피하기 위해 제 2 대구치를 발거하는 것은 조심스러운 증례의 선택시 치료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제 2 대구치 발거 후 제 3대구치의 맹출 및 치료후 예후에 대한 장기적인 관찰은 이루어지지 못하여 향후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안면비대칭과 상악치열궁형태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al asymmetry and maxillary dental arch shape)

  • 김동우;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45-456
    • /
    • 1997
  •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이 존재하는 사람에 있어서 상악치열궁의 좌우측 치아에서 전후방, 측방 그리고 수직 비대칭의 존재 유무와 상악 중절치의 치축경사 변화 정도및 이러한 비대칭 양상과 하악골의 편위 정도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정상군과의 비교를 통하여 상대적인 비대칭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고안되어졌다. 부산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들 중 하악골의 편위를 동반한 골격성 비대칭을 가진 21명을 안면비대칭군으로 선정하고 임상적으로 양호한 안모를 가지고 골격성의 비대칭이 없는 20명을 정상군으로 선정한 후 상악치열궁모형과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하여 상악치열궁을 이루는 좌우측 치아의 위치와 상악 중절치 치축경사, 그리고 상악 제1대구치의 수직위치를 계측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안면비대칭군에서 치성 비대칭의 정도와 하악의 편위정도 사이에는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2. 안면비대칭군에서 악골이 편위된 측의 치아들이 더 측방으로 확장되어 있었다. 그리고 상악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의 전후방위치와 상악 중절치의 치축경사에서 차이가 있었다. 3. 안면비대칭군에서 측방 비대칭은 후방치아로 갈수록 증가되었으며 전후방 비대칭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편측성 순$\cdot$구개열자의 기도 분석 (Airway analysis in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손우성;백재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91-598
    • /
    • 2000
  • 본 연구는 순$\cdot$구개열자의 호흡과 발음, 그리고 안모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도에 대한 평가를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완전 편측성 순$\cdot$구개열자 78명(남성 48명, 여성 30명)의 측모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상기도 및 설골에 대한 전후방적, 수직적 거리 및 각도를 계측하였다. 연구대상은 사춘기성장급등기를 기준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었고, 각각의 집단을 다시 남녀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계측된 자료들을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사춘기 성장급등기 이후 남녀 모두에서 설골 위치가 보다 낮아졌다. 2. 사춘기 성장급등기 이후 남녀 모두에서 인두 용적에 관계된 CV3ia-APH, PNS-ad수치가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adenoid감소와 하악의 전하방 성장과 관련된 것으로 사춘기 이후 호흡 및 발음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3. 사춘기 성장급등기를 이후 남성에서 모든 계측항목이 여성보다 큰 증가를 보였으며, 이는 성별간 성장량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4. 남녀 성별간 비교에서 사춘기 성장급등기 전후 시기 모두에서 남성의 설골 위치가 여성보다 낮았다. 5. 남녀 성별간 비교에서 사춘기 성장급등기 이후 남성에서 CV3ia-APH수치가 매우 크게 증가했고, 이는 남성의 하악골 성장이 보다 커 악이복근등 근활성이 야기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 성인의 측모두부 수평기준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rizontal reference planes in lateral cephalogram in Korean adults)

  • 김경호;백형선;김진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65-875
    • /
    • 1998
  • 교정이나 악교정 수술 환자에서 치료계획 수립과 치료결과의 평가를 위해서 지금까지 많은 수평기준선이 사용되고 있으나 정확성과 재현성 등의 문제가 존재하고 있으며, 더욱 객관적인 수평기준선이 설정 될 수 있다면 교정학 분야에서 많은 발전이 기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의 부정교합군과 성별에 따른 Sella-Nasion(SN) 평면과 Frankfort-Horizontal(FH) 평면이 이루는 각도 및 FH평면과 다른 수평면 간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임상검사를 시행하여 총 600 여명을 대상으로 측모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다. 계측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을 골격성 I급 부정교합군 또는 정상교합군(남 50, 여 50), 골격성 II급 부정교합군(남 50, 여 65),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군(남 50, 여50)으로 분류한 후 10개의 항목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N평면과 FH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부정교합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성별 간에는 세 부정교합군 모두에서 차이를 보여 남자는 $7.47{\pm}2.40^{\circ}$, 여자는 $8.93{\pm}2.72^{\circ}$ 였다. 2. SN 평면 또는 FH 평면과 Mandibular Plane이 이루는 각은 모든 부정교합군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컸으며, 골격성 II급 부정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이 I급 부정교합군보다 큰 각도를 나타내었다. 3. FH평면과 Palatal Plane이 이루는 각은 부정교합군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교적 일정하였다. 4. Gonial angle은 남녀 모두 III급 부정교합군이 다른 두 부정교합군보다 큰 각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