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량간격

Search Result 12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n Assessment on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a Multi-dimensional Model in Response to Measurement Resolution and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지형자료의 해상도와 공간보간기법에 따른 다차원 수리모형의 유출 특성 평가)

  • Ahn, Jung-Min;Park, In-Hy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1
    • /
    • pp.43-51
    • /
    • 2012
  • Due to the increasing demand to utilize water fronts and water resource effectively, a multi-dimensional model that provides detailed hydraulic characteristics is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 EFDC model is a kind of multi-dimension model, and it requires detailed 3D (3-dimensional) terrain in order to simulate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stream flow. In the case of 3D terrain creation, especially river reaches, measurement resolution and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affect the detailed 3D topography which uses input data for EFDC simulation. Such results make hydraulic characteristics to be vari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EFDC simulation results depending on the 3D topographies derived by separate measurement resolution and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The study area is at the confluence of the Nakdong and Kuemho Rivers and the event rain implemented was Typhoon Ewiniar in 2006.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area-elevation curve, the difference by means of the interpolation methods was significant when applying the same measurement resolution, except at 160m resolution. Furthermore, when the measurement resolution was 80m or above, the difference in a cross-section was occurred. Meanwhile, the water level changes between interpolation methods were insignificant by the measurement resolution except when the Kriging method was used for the 160m measurement data. Velocity changes emerged according to the interpolation methods when measurement resolution was 80m or above and the Kriging method resulted in a velocity that had a considerable gap in relation to the results from other methods at a measurement resolution of 160m.

Development of Digital Photogrammetry S/W for a Mobile Mapping System (차량측량시스템을 위한 수치사진측량 S/W 개발)

  • 정동훈;김병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377-382
    • /
    • 2003
  • 차량측량시스템이란 차량에 2대 이상의 CCD 카메라와 위치측정장비(GPS, IMU 등)를 장치하고 도로를 운행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주변의 사진을 연속으로 촬영한 후 이를 이용하여 도로 및 도로시설물의 위치와 크기, 보존상태 등의 정보를 취득하는 새로운 측량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물의 3차원 위치결정을 위해 필요한 자료와 자료를 처리하는 각 단계를 체계화하였으며, 사용 편의성과 위치결정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측량시스템을 위한 수치사진측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Safety Management of Steel Pipe Scaffold using UAV (무인항공기(UAV)를 활용한 건설현장 가시설물 안전관리)

  • Jun, Byong-Hee;Kim, Nam-Gyun;Jun, Kyo-Won;Choi, Bong-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2 no.3
    • /
    • pp.59-67
    • /
    • 2019
  • In this study, the UAV (Unmammed Aerial Vehicle) was applied for the photogrammetry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safety management of steel pipe scaffold. The research site is a temporary facility for building reinforcement on Samcheok Campus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installation condition of the steel pipe scaffold was investigated, and the pillar distance, the beam distance and the wale distance were survey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eam distance of the scaffol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standard, but the pillar distance and the wale distance were found to be less than the standard. Three-dimensional data can be used in drone shooting to enable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so that it is possible to measure facilities hidden or located inside other facilities. Through the drone shooting, the condition of the site can be quickly recorded and the surveying can be carried out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work of the field personnel. Although the installation of the temporary structure must be strictly observ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ers, it is found that the installation standards are still neglected in the field. In order to prevent this practice, it was thought that the legal system should be supplemented so that it could be checked periodically by using UAV in the field process management.

A Study on Mapping using Projection Moir Technique (투영 모아레 기법을 이용한 Mapping에 관한 연구)

  • 유복모;이성옥;유광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 no.2
    • /
    • pp.1-10
    • /
    • 1985
  • Moire technique is generally divided into shadow Moire Technique and Projection Moire Technique. In this paper, determinating the direction of reference planes for this system,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system with those of general terrestrial photogrammetry, is an objective of this paper. For the objective, control surveying is done and the results of control surveying are compared with those of moire photograph. In this technique, it is found that though the positions of a projector and a reference grid are not moved, a desired moire contour whose the reference plane is different respectively is easily obtained by changing the pitches of a master grid and a reference grid on an object. Also it is found that when the pitches of the two grids on an object are equal, a moire contour which has the reference plane parallel to the object can be obtained.

  • PDF

A Proposal for Korea DEM Standard and Generation Plan (우리나라 수치표고모델 구축방안)

  • 이창경;조규전;한상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29-139
    • /
    • 2002
  • DEM을 구축하는 여러 방법 중 항공레이저측량을 이용하여 DEM을 구축하면 정확도 및 품질이 우수하고, 현시성 있는 DEM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DEM구축방법과 신기술에 의한 DEM 구축방법을 품질 및 경제적 면에서 비교ㆍ평가하여 우리나라 국가 DEM의 구축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DEM의 소요정확도 파악, 지형(또는 사용목적)별 적정한 격자간격 도출, DEM 구축방법별 경제성을 분석하고 추진일정을 제안하였다.

  • PDF

Accuracy Assessment of DTM by Airborne Laser Mapping System (항공 레이저 매핑 시스템 DTM의 정확도 분석)

  • 임삼성;김영배;서정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47-15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항공 레이저 지형 매퍼(Airborne Laser Terrain Mapper 혹은 간단히 ALTM)을 이용하여 제작된 DTM의 정확도 분석을 위해 500m 간격으로 측점지역을 선정하고 검증 측점의 GPS 측량을 실시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ALTM의 DTM 각 점 사이의 고도 값 추정을 위해 TIN을 제작하고, GPS를 이용한 측점들의 커버리지를 제작하여 TIN과 중첩한 다음 정확도를 분석하는 방법과 GPS 측점 주변에 분포하는 DTM 자료를 평균하여 RMSE를 구하는 방법을 병행하였다.

  • PDF

Estimation of Bed Elevation of a Shallow River Using the Digital Aerial Photos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수심이 얕은 하천의 하상고 산정)

  • Lee, Chan 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83-383
    • /
    • 2015
  • 하천의 하상고 측량은 하상변동 분석, 서식처 구조 등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대부분의 하상고 측량은 일정한 간격의 하천 단면 측량에 의해서 행해져 왔다. 최근 GPS와 다중 빔 측심기를 이용하여 하상의 3차원적 형상을 조밀하게 측량하고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긴 하천 구간을 전부 측량하지는 못하고 특정한 부분에 대해서만 집중하고 있다. 항공 LiDAR의 경우 넓은 지역에 대해 신속하고 고해상도로 지형을 측량할 수 있으나 수중 투과 장비가 고가이며, 일반 적색 레이져 기반 LiDAR는 수중을 측정하지 못하여 하상 측량에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광학 기반의 원격 탐사에 의한 수심 측량 방법이다. 이 방법은 얕은 수심의 하천에 대한 활용되었는데, 광학 센서 이미지나 항공사진 등을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고도에서 촬영한 고해상도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모래하천의 수심을 추정하였다. 이 방법은 항공사진의 적색 및 녹색 색상값과 현장에서 정밀한 측위 하에 측량한 수심값 사이의 관계를 이용한다. 이를 통해 보정식을 수립하고 검사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한 후 항공사진의 해당 지역에 대해 수심 부분을 마스킹 처리하여 하상고를 구축하였다. 검사 자료에 대한 RMSE는 약 12 cm로 나타났다. 이를 활용하여 대상 구간의 3차원적 지형 형상을 구축하였다.

  • PDF

Research on Standard Cross Sectional Survey Length of Cross-to-Nature Sanggachun Stream (자연형 소하천의 종단측량 표준간격 연구)

  • Park, Seung-Ki;Jung, Nam-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8 no.3
    • /
    • pp.347-352
    • /
    • 2010
  • There is a lack of survey standard for cross-to-nature small stream.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cross sectional survey data of Sanggachun stream, calculated variant quantity of soil, and suggested a survey interval. Descriptive analysis of cross sectional survey data shows the trend of stabilization; mean interval of survey is 14.91m(min: 7.0m, max: 39m), mean cross sectional variances are $0.82m^2$(min: $-3.80m^2$, max: $8.11m^2$) in 2004, $0.24m^2$ (min: $-5.25m^2$, max: $8.55m^2$) in 2005. Calculating results of variance quantity based on data of 65 cross sections show similar trends in 15m, 30m, 45m, 60m but different with results of 75m, 90m with Post-Hoc Test in statistical verification. We suggested standard cross sectional survey length of cross section for natural style small stream as 50m based on fitting results of standard variation of erosion and cumulation quantity by survey interval.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2D River Flow Analysis Model using River Surveying Data (드론 측량 데이터를 이용한 2차원 하천 흐름 해석 모형의 적용성 평가)

  • Shin, Eun Taek;Eum, Tae Soo;An, Seheck;Song, Chang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42-242
    • /
    • 2022
  • 실제 자연하천은 하천의 만곡, 사행 정도와 교각 및 암거와 같은 구조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복잡한 흐름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2차원 흐름해석 모형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이 있음에도 현재 하천흐름해석 분야 실무에서 사용되는 모형은 1차원 모형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그 이유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하천 단면 자료와의 높은 적용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현행 제공되고 있는 하천 단면 자료는 인력 위주의 측량 자료로서 하천 연장의 일정구간 간격으로 단면 자료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2차원 흐름해석 모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간 작업이 필수적이며, 정확성 또한 낮아 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최근 드론을 이용한 측량 기술의 발전으로 LiDAR, 초분광을 활용한 양질의 2차원 하천 하상 자료를 산출하기 시작하였으며, 하천흐름해석 분야에서 2차원 흐름해석 모형의 적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적용하기 어려웠던 사행도가 높은 하천에 대하여 드론 측량 자료를 활용한 2차원 흐름해석 모형 결과와 기존의 측량 방식을 적용한 2차원 흐름해석 모형 결과 비교를 통하여 드론 측량 자료를 활용한 2차원 흐름해석 모형의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arthwork Calculation on Unequal Intervals by Nonlinear Analysis (비선형해석에 의한 부등간격의 토공량계산에 관한 연구)

  • 박운용;문두열;차성열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9 no.2
    • /
    • pp.19-36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lculate the excavation volume of unequal interval grid using nonlinear boundary in earthwork volume determination. The formulas by unmerical annlysis in this paper is compared with linear and nonlinear spot level method of unequal interval grid. As a result algorithm of derived formula by numerical analysis should provide a better accuracy than the linear and unlinear spot level method currently in use. Practical application of each method is illustrated by three model t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