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취약성인식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Study on Teenager's Specific Fear of Crime (청소년의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대한 연구)

  • Oh, Bong-Y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45-146
    • /
    • 2018
  • 본 연구는 2014년도 전국범죄피해조사 자료를 통해 10대 청소년 1,161명을 대상으로 구체적 범죄 두려움의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근거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SAS 9.4와 HLM 6.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인 수준에서 성별, 장애유무, 취약성인식으로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장애 청소년이 비장애 청소년보다 그리고 청소년이 취약성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구체적 범죄 두려움이 높았다. 그러나 지역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요인이 없었다. 이에 사회복지사는 성별, 장애유무, 취약성인식을 근거로 안전의 욕구에 관심을 갖고 가정-학교-지역사회가 연계한 공동체 운동 및 안전한 마을 만들기 등의 실천적 개입이 요구된다.

  • PDF

Mediated Effect of Mobile Financial Crime Fea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Financial Crime Vulnerability Perception and Mobile Financial Using (모바일금융범죄 취약성인식과 모바일금융 사용 간의 관계에서 모바일금융 범죄두려움의 매개효과)

  • Kwon, Joon-Sung;Gong, Jung-Si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4
    • /
    • pp.305-314
    • /
    • 2020
  • Mobile environment is relatively free from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d has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not applying physical and social vulnerability because of it's non-face-to-face channel. Since such spatial and temporal speciality is likely to appear in a different form from psychological action and action in a general face-to-fac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 that has been studied as major psychological variables of action in mobile environment. However, advance research have not been conducted in earnest on the vulnerability and anxiety of the consumers in a new environment called mobile finance. so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the basis through empirical research. As a result, women among traditional vulnerable groups perceived themselves to be vulnerable in mobile financial environments than men and felt fear of crime strongly. In addition, the vulnerability of mobile financial crime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obile financial use, but it was confirmed that mobile crime fear was mediated completely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mobile financial use.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food intakes in adults aged 50 or older according to depression status (50세 이상 성인과 노인의 우울여부에 따른 식습관 및 식품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 Lee, Seungjae;Kim, Yuri;Seo, Sunhee;Cho, Mi Sook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7 no.1
    • /
    • pp.67-7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dietary habits and food intake status according to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adults. Methods: A total of 496 subjects, 224 men and 272 women aged 50 to 100 years were recruited from more than 13 cities in Korea.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life status, food intakes, the mean mini dietary assessment and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questionnaire of the subjects to ask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pression. Depression statu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Korean form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Results: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depression or normal group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13.8% (male) and 23.9% (female). People aged 65 or older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to be bereaved. People in the depression group had poor appetite, almost never dined-out, and ate alone. The food intake of miscellaneous cereals, beans, tofu, chicken/duck meat, cabbage, carrot/amber, fungi, apple, pear, strawberry, grapes, and banan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rmal group compared with the depression group. In particular, significantly higher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was observed in the normal group. In addition, subjects in the depression group ate more fatty meat and were more dissatisfied with food-related life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may affect the dietary habits, food intake, and dietary behaviors in the older adult population.

The dental management of infantile osteopetrosis: case report (유아형 골화석증 환아의 구강관리: 증례보고)

  • Lee, Hyo-Seol;Song, Je-Seon;Lee, Jae-Ho
    • The Journal of Korea Assosiation for Disability and Oral Health
    • /
    • v.4 no.2
    • /
    • pp.77-81
    • /
    • 2008
  • 골화석증(Osteopetrosis)은 전신의 뼈가 대리석 모양으로 골 경화를 일으키며 골수강의 폐쇄 및 골의 취약성을 보이는 드문 질환이다. 성인형(Adult form)은 우성 유전되며 경미한 증상을 나타낸다. 반면에 유아형(Infantile form)은 열성 유전되면서 심각한 증상을 나타내고, 조기에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골화석증은 골격계, 조혈계, 신경계에서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본 증례의 목적은 드물게 발생하는 유아형 골화석증을 가진 2 명의 환아를 치료한 후, 그 질환과 치과적 관리에 대해 고찰하고자 함이다. 첫 번째 증례는 골화석증으로 진단된 5세 8개월 남환이었다. 임상 및 방사선 검진 결과 악골 및 치아의 변형을 나타내었으나, 특별한 병적 소견이 없어 예방 치료 및 주기적인 검진 시행하였다. 두 번째 증례는 중증도의 치아우식증을 가진 환아로 의료진과의 협조 하에 수혈한 후 발치하였다. 유아형 골화석증은 다양한 구강 합병증을 유발하며, 질환의 심각성에 의해 치료 자체도 어렵다. 치과의사로서 골화석증 환아를 관리할 때에는 건전한 구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예방 치료가 필요하며, 아무리 간단한 발치나 치과 술식이더라도 의료진과 협조를 해야 한다.

  • PDF

Association between Dental Fear and Anxious Thoughts and Tendencies and Dental Experience of Dental Patients (치과내원 환자의 불안취약사고 경향 및 치과경험과 치과공포의 관련성)

  • Hwang, Hye-Rim;Choi, Ha-Na;Cho, Young-Sik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1 no.1
    • /
    • pp.15-21
    • /
    • 2011
  • Introduction The aim of this study, personal trait and their dental care based on experience level of dental fear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Catastrophizing is an irrational belief that something is far worse than it actually is. Because it makes it possible to analyze patients' anxious thoughts and tendencies. Methods The Dental Fear Survey(DFS) and Anxious Thoughts and Tendencies(AT&T) were used as measuring tools, an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mean value of the summated scale scores and the standard deviation. On the factors to dental anxiet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Demographically, the total DFS score was higher in women($25.73{\pm}8.27$) than in men. Also, AT&T was higher in women($31.01{\pm}7.05$) (p<0.05). Dental fear was intense in the group of patients who visited dental clinics only problems($25.29{\pm}8.57$) than in those regular visited($22.29{\pm}7.78$). In relation to dental experiences, the DFS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In many cases, patients experienced therapeutic pains in children($26.40{\pm}9.54$) (p=0.004). Also in many patients, dental anxiety began to occur in adolescence(44.3%).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it was found that dental treatment pain and their AT&T wielded great influence upon dental fear.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Features of 6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Chest Compression Depth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체격과 흉부압박 깊이 간의 상관 관계 분석)

  • Uhm, Tai-Hwan; Park, Jeong-Hyun;Roh, Sang-Gyun;Moon, Tae-Young;Kim, Je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493-499
    • /
    • 2009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구조 및 응급처치에 관한 교육의 대상자로 일반시민인 구급차등의 운전자, 여객자동차운송사업용 자동차의 운전자, 보건교사, 경찰공무원 등에게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여 26,900명이 과정을 수료(한국, 2007)하였으나 초중고 학교 교과과정 중에는 체계적인 응급처치 교육이 없고 교육강사, 교육장비 등이 취약(한국, 2005)하여 교육체계의 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Kerschaver 등(1989)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훈련을 하는 것은 효과적이고 11살 부터 단순화한 내용으로 보다 쉽게 교육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으며 Lester 등 (1996)은 지식과 술기 능력 간에는 상관이 없으나 중학교 1학년 때가 적절한 훈련시기라고 했고 Urey 등(2003)은 의무과목으로 6-7살 초등학생을 위한 응급처치 프로그램, Lubrano 등(2005)은 8-11살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응급처치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을 보고했다. 박 등(2006)은 초등학교 5-6학년 학생과 성인 간의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를 분석하여 학생군이 과정에 대한 이해는 우수했으나 술기에서는 적절한 흉부압박이 미흡했다는 결과를 제시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이론 교육이 효과가 있었으나 실습 교육은 체격에 제한을 받는다는 점을 시사했다. 체격은 물리적으로 측정, 확인할 수 있는 사람 몸의 상태로써 성별, 키, 몸무게 등의 전체적인 것과 각 부위의 크기, 모양, 비율 등의 부분적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키, 몸무게가 흉부압박에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체격조건(키, 몸무게)과 성인 마네킨 흉부압박 깊이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회귀식을 도출하여 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대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related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alcoholic patients (영양교육이 알코올중독자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영양섭취상태에 미치는 효과)

  • Kim, An Na;Lim, Hyeon-Sook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7 no.4
    • /
    • pp.277-286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nutrition-related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alcoholic patients and how nutrition education affects these nutritional behaviors. Methods: Subjects included 37 adult male alcoholic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five lessons over a five-week period. An each 80-minut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per week was implemented for the alcoholic patients over a five-week period. Both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heir nutrition-related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were assessed and nutrient intake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subjects showed drinking habits of considerably high frequency, a large quantity of alcohol consumption, and preference for soju (a liquor) over beer. They had proper weight, height, and BMI, and came from relatively poor socioeconomic backgrounds with a low-level of self-rated health status and a comparatively high rate of suffering from disease. Mean score of their nutrition-related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was quite low. They consumed less energy, dietary fiber, vitamin C, thiamin, riboflavin, folic acid, Ca, and K, but more Na compared to each Dietary Reference Intake (DRI). After implementing the nutrition education, mean score of nutrition-related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ddition, the meeting rate of each DRI of several nutrien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cluding energy, carbohydrate, dietary fiber, vitamins A, C, and $B_6$, thiamin, riboflavin, niacin, pyridoxine, folic acid, Ca, P, K, Fe, and Zn, while that of Na decreased.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lcoholic patients had various nutritional problems, such as lack of nutrition-related knowledge, bad dietary habits, and insufficient nutrient intakes, however, these problems can be positively modified by implementation of a relatively short-term nutrition education program.

미취학 아동에 있어 신체발달, 손목 골밀도 및 영양섭취와의 상관성

  • 나현주;명금희;최미경;김애정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51-1052
    • /
    • 2003
  • 미취학 아동기는 생후 1년 동안의 급격한 성장 이후로부터 학령기가 되기 전까지 성장이 완만해지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아동들은 혼자 먹는 행동을 익히게 되고 식품에 대한 기호가 형성되는 등 식생활에서도 뚜렷한 개인특성을 갖게되며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은 성인까지 이어지게 된다. 이 시기에 영양부족에 따른 신체발달의 지연이나 영양과잉에 따른 비만과 같은 과다한 신체발달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어 올바른 식습관 형성은 신체발달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우리나라는 취약한 칼슘섭취 부족에 따라 골격건강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모든 질환이 그러하듯이 골격질환도 치료보다는 예방적인 관리가 다양한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따라서 골격건강과 최적의 신체발달을 위한 식사인자는 매우 중요하며, 일생의 성장시기에 따라 서로 다른 인자들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장이 이루어지면서 식품선택의 독립성이 확립되는 미취학 아동에 있어 신체와 골격 발달에 관련성이 있는 영양섭취 요인을 찾아봄으로써 골격과 신체 발달을 위한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46~84개월의 미취학 어린이 총 62명(남자 37명, 여자 2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대상자의 신체계측(InBody, Biospace)과 손목의 골밀도(DEXA, Medilink)를 측정하였다. 설문지는 어린이와 부모의 일반사항, 어린이의 건강상태, 식습관 및 활동조사표와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식사조사표로 구성하였다. 식사섭취조사 결과는 CAN-Pro를 이용하여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으며, 모든 연구결과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녀 어린이의 평균 월령은 62.43$\pm$7.26 개월과 62.12$\pm$8.85개월이었다. 출생시 신장과 체중은 남자 어린이가 50.92$\pm$2.14 cm와 3.36$\pm$0.42kg, 여자 어린이는 각각 50.29$\pm$1.36cm와 3.32$\pm$0.39kg이었다. 현재 신장과 체중은 남자 111.65$\pm$5.44 cm와 19.60$\pm$3.52kg, 여자 109.04$\pm$5.04 cm와 18.67$\pm$2.81kg이었으며, 비만지수는 남녀 각각 -2.13$\pm$9.09%와 0.22$\pm$10.49%였다. 손목의 골밀도는 남녀 어린이 각각 0.25$\pm$0.04g/cm, 0.24$\pm$0.03g/$\textrm{cm}^2$이었다. 에너지 섭취량은 남녀 어린이 각각 영양권장량의 66.43$\pm$18.58%와 70.46$\pm$20.31% 수준이었으며, 남녀 어린이 모두 단백질(124.97$\pm$37.55%, 131.24$\pm$45.49%), 비타민B$_{6}$ (152.48$\pm$47.01%, 152.95$\pm$61.77%), 엽산(106.87$\pm$40.44%, 104.52$\pm$50.16%), 비타민 E (121.04$\pm$52.79%, 113.48$\pm$75.78%)를 제외한 영양소 섭취량이 권장량에 미달되는 섭취수준을 보였다. 특히 성장기에 중요한 칼슘도 남녀 어린이 각각 권장량의 62.21$\pm$39.46%와 70.07$\pm$34.52%로 낮게 섭취하고 있었다. 모든 영양소 섭취량은 남녀 어린이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체계측치와 영양섭취와의 관계에서 체중, 체수분량, 제지방량은 각각 동물성 철 섭취량과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p<0.01, p<0.01). 골밀도와 영양섭취와의 관계에서 손목 골밀도는 식물성 칼슘 섭취량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5), 특히 위쪽 손목 골밀도는 동물성 단백질, 동물성 철 섭취량과 각각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다(p<0.05, 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성장이 진행되고 있는 미취학 아동에 있어 신체상태와 골밀도는 동물성 단백질, 식물성 칼슘, 동물성 철 섭취량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앞으로 이들 영양소의 섭취가 신체와 골격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elated Factors to Health Behavior by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건강신념모형에 기초한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 관련요인)

  • Lee, Eun-Sun;Na, Baeg-Ju;Lee, Moo-Sik;Lee, Jin-Yong;Hong, Jee-Young;Lim, Young-Shi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1057-1060
    • /
    • 2011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의 주요 변수와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를 촉진하고 더 나아가 만성질환 보건사업 및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09년 07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총콜레스테롤이 240mg/dl 이상이고, 중성지방이 200mg/dl 이상으로 고지혈증을 진단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14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SPSS WIN(14.0 한글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ronbach's alpha의 신뢰성 분석, 요인분석,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TG에 대한 인지수준 중 TG에 대한 인지가 가장 높았고, 3가지 모두를 인지한 경우는 28.08%였다. 또한 9가지 항목에 대한 고지혈증 지식수준은 9점 만점에 평균 6.51이었으며,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건강행태수준도 높았다. 둘째, 요인분석을 통하여 10개의 건강행태를 2개 요인으로 재분류 하였다. 그 결과, 건강행태 요인 1은 '식이, 운동 습관 및 고지혈증 검사 및 관련 검사요인', 건강행태 요인 2는 '흡연, 음주 습관 및 고지혈증 치료 관련 요인'이었다. 건강행태 요인1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건강신념변수는 심각성, 이득, 장애로 나타났고, 취약성은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신념 요인들과 건강행태 간의 상관되는 순서는 이득(r =.455), 심각성 (r=.38), 장애(r=-.244) 순으로 나타나 고지혈증에 대한 이득 인식이 건강행태 요인1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건강행태 요인2는 건강신념변수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동계기에 따른 건강행태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육을 받았을 때 건강행태 요인1과 요인2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이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 주었다. 넷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고지혈증 건강행태 요인1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유의한 요인으로 인지된 심각성 및 이점 신념요인, 교육여부, 보건소 교육정도 이었다. 건강행태 요인2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여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건강신념모형이 고지혈증 건강행태를 예측하는데 적합한 모형이라고 판단 할 수 있으며, 건강행태 요인 특성에 따라 건강신념변수 중 고지혈증 예방에 대한 이득을 높이 인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교육목표를 설정하면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PDF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blood and urinary compositions, and dietary habits and depressed mood in Koreans at the age of 40, a life transition period (만 40세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수검자의 우울기분과 영양 생활습관 및 건강특성과의 관련성)

  • Chu, Ji Eun;Lee, Ji Min;Cho, Han-Ik;Park, Yoon Ju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6 no.3
    • /
    • pp.261-275
    • /
    • 201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depressed mood with obesity, blood and urinary compositions, and dietary habits in Koreans at the age of 40, a critical transition to the middle adulthood stage. A total of 27,684 people who have taken the Life Transition Period Health Examination at the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in 2011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depressed mood group (DG) and the non-depressed group (NG) according to results of the primary questionnaire for mental health.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health examination criteria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Women and medicaid recipients showed higher incidence of depressed mood than men and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People with underweight in BMI or abdominal obesity showed correlation with depressed mood,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metabolic syndrome. Regarding blood and urinary compositions, DG was related to a higher level of hemoglobin and lower levels of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lthough the relationships diminished after adjustment for other confounder effects. According to dietary habits, more people in DG were categorized as a group for "Needs Much Improvement", and the odds ratio of the depressed mood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frequency of food items such as milk products, animal proteins, Kimchi, and fruits was observed between DG and NG. In addition, a higher portion of subjects in DG did not consume regular meals and various kinds of food. In conclusion, the depressed mood of 40 year-old adult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underweight, higher waist measurement, and undesirable dietary habits. Results of our study can be applicable as a basic resource for development of effective nutrition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for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promotion during the critical transition to the middle adulthood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