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축제주제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8초

문화해설사의 역할이 방문객의 축제주제인식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Role on Visitors' Festival Theme Awareness and Satisfaction)

  • 양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437-446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 개발의 가치를 축제 콘텐츠 화 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축제는 양적인 풍성함에 비하여 질적인 빈곤이라는 비판으로 자유롭지 못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축제콘텐츠의 다양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대안적 개발운동으로서 슬로시티에서는 지역주민의 공동체 유지와 방문객의 볼거리 제공차원에서 슬로시티 특화된 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슬로시티 지역 축제에서 문화관광해설사가 개발가치를 전달하고 방문객은 축제주제로서 개발가치를 인식 가능하게 될 것인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영월 슬로시티 김삿갓면에서 개최된 김삿갓축제 방문객 18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화관광해설사의 역할로서 해설형식과 해설내용은 방문객의 축제주제인식에, 축제주제인식은 재방문의도와 실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화관광해설사의 성공적인 역할 수행은 방문객의 축제주제인 슬로시티 개발가치를 이해하고 만족뿐만 아니라 느림의 생활운동을 실생활에서 실천해 나가는 선순환 과정을 확보해나갈 수 있다.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은 논의에 포함시켰다.

지역축제 활성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Study on the Revitalization Plan of Local Festival)

  • 안혜원;이민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78-385
    • /
    • 2010
  • 지역축제가 성공하고 활성화 되기 위한 기존 선행연구 검토 결과, 지역축제의 성공요인으로 주제의 명확성, 참여성, 기반성, 구조성, 집객성의 다섯 가지로 설명하고 있는데, 명확성은 독창적인 주제(테마), 명확한 주제(테마), 명확한 목표, 명확한 축제 참여 대상 선정 등으로 정의할 수 있고, 참여성은 주민의 축제 전 과정에의 참여와 축제 즐거움의 향유 등으로 정의하며, 기반성은 지역축제를 위한 인재개발 및 교육, 지역의 특성화 등으로 설명하고, 구조성은 지역축제 조직체계, 예산확보, 전문성 등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집객성은 홍보 및 마케팅, 접근성, 친절성, 편리성, 관광지 연계성, 먹거리 및 쉴거리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북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어떠한 요인에 더욱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설문조사를 토대로 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하여, 향후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지역축제 활성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Study on the Revitalization Plan of Local Festival)

  • 안혜원;류상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87-592
    • /
    • 2009
  • 지역축제가 성공하고 활성화 되기 위한 기존 선행연구 검토 결과, 지역축제의 성공요인으로 주제의 명확성, 참여성, 기반성, 구조성, 집객성의 다섯 가지로 설명하고 있는데, 명확성은 독창적인 주제(테마), 명확한 주제(테마), 명확한 목표, 명확한 축제 참여 대상 선정 등으로 정의할 수 있고, 참여성은 주민의 축제 전 과정에의 참여와 축제 즐거움의 향유 등으로 정의하며, 기반성은 지역축제를 위한 인재개발 및 교육, 지역의 특성화 등으로 설명하고, 구조성은 지역축제 조직체계, 예산확보, 전문성 등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집객성은 홍보 및 마케팅, 접근성, 친절성, 편리성, 관광지 연계성, 먹거리 및 쉴거리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북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어떠한 요인에 더욱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설문조사를 토대로 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하여, 향후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행사 - '위대한 탄생' 주제로 진행된 2014 청주직지축제

  • 임남숙
    • 프린팅코리아
    • /
    • 제13권11호
    • /
    • pp.46-47
    • /
    • 2014
  • 2014 청주직지축제가 지난 10월 15일부터 19일까지 청주고인쇄박물관과 예술의전당 일원에서 열렸다. 올해 8회를 맞은 직지축제는 현대의 인쇄술과 미래의 미디어 문명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점에 착안 '위대한 탄생'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 PDF

유로피아나 모델 기반 지역 축제 정보 플랫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gional Festivals Information Platform based on the Europana Model)

  • 박성환;최희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1-162
    • /
    • 2017
  • 지방자치제 실시 후 지역 축제는 꾸준히 증가하였다. 2014년을 기준으로 봤을 때 1,214개의 축제가 개최되었고, 1억 3,125만 명이 지역 축제를 방문하였다. 이처럼 축제에 대한 접근성은 높아졌으며, 주변에서 흔히 관람하고 직접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 지역 축제 정보에 대한 접근성은 높지 않았다. 축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려면 지역의 오프라인 홍보, 지역 축제 포스터 또는 각 지자체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정보를 검색해야 했다. 축제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축제형 아카이브(플랫폼)를 개발해야 한다. 축제형 아카이브는 지역 축제를 지역별, 분야별, 주제별 기준을 설정하여 축제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실제 진행되었던 축제의 동영상을 보여줄 수 있는 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 축제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기존의 방문객보다 더 많은 방문객의 방문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역사문화축제의 마케팅적 접근: 대가야체험축제의 2005-2006년 비교 (Daegaya History Experience Festival of 2005-2006: Marketing Perspective)

  • 정강환;노용호;김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29-139
    • /
    • 2007
  • 본 연구는 역사문화축제인 대가야 체험축제의 '05년과 '06년 행사 2년간을 비교 연구하고, 방문객 만족을 향상시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행해졌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방문객들은 '교육적 효과'의 항목에 매우 만족한 것으로 분석되어, 본 축제가 역사 교육형축제로서의 자리매김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축제 체험프로그램 중 가족이 참여하기 좋은 프로그램으로는 딸기수확체험이 1위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대가야토기체험 등의 순으로 밝혀졌다. 셋째, 암각화체험 프로그램 등 일부 축제 체험프로그램의 유료화를 통한 생산적 축제로의 변화를 시도하였고, 축제의 자생력을 키우는 노력을 기울였다. 넷째, 지역 자원봉사자의 전문화를 통해 안내서비스가 향상되었다. 축제 행사시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가야와 연계한 주제 반영 형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역 상인들의 주제와 부합한 대가야 복식착용 등의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방문객 만족의 영향요인과 방문객 만족 및 행동의도간 상관관계 등의 실증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EVENT in Story - 곡예, 노래, 춤에 능통한 최초의 대중연예집단! - 2010 안성남사당 바우덕이축제

  • 한국오리협회
    • 오리마을
    • /
    • 통권88호
    • /
    • pp.100-101
    • /
    • 2010
  • 경기도 안성시내 강변공원에서는 '남사당 짱! 바우덕이 짱!'이라는 주제로 '2010안성남사당 바우덕이축제'가 열렸다. 올해 바우덕이 축제는 9월 6일, 전야제인 곰뱅이트기 의식을 시작으로 12일까지 6일간에 거쳐 개최됐다. 축제의 꽃이라 할 수 있는 남사당 6마당놀이와 아이를 동반한 가족이 함께 배울 수 있도록 몸으로 배우는 풍물놀이, 줄타기 체험 및 악기 강습, 살판, 탈놀음 등으로 구성된 멋진 공연은 관객들에게 뜨거운 환호를 받았다. 또한 조선시대 옛날장터를 재현하여 체험, 교육장소로 제공했으며 1,500명 이상의 풍물인이 참여하는 '바우덕이 전국 풍물 경연대회'등 축제기간 내내 200개가 넘는 이벤트가 펼쳐졌다.

  • PDF

전시회 - 2012 서울사진축제(Seoul Photo Festival)

  • 임남숙
    • 프린팅코리아
    • /
    • 제11권12호
    • /
    • pp.112-115
    • /
    • 2012
  • 2012 서울사진축제(Seoul Photo Festival)가 11월 21일부터 12월 30일까지 40일간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서울시청사, 서울역사박물관 등 서울 곳곳에서 펼쳐진다. '천 개의 마을 천 개의 기억' 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제3회 서울사진축제는 본전시, 특별전, 시민워크숍, 시민강좌, 사진의 달, 사진 공모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 PDF

전남지역 문화관광축제의 공간적 전개과정과 특징 (Spatial Evolution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in Chonnam Province of Korea)

  • 이정록;우연섭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33-247
    • /
    • 2003
  • 본 연구는 전남지역에서 개최되는 문화관광축제의 공간적 전개과정과 그 특징을 고찰하였다. 전남지역의 축제는 1995년 이후에 주로 많이 만들어졌다. 개최시기별로는 가을과 봄철에 48개(82.7%)의 축제가 집중되었다. 1960년대부터 목포시와 여수시, 구례군에서 개최된 지역축제는 1995년 이후 전남의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축제의 공간적 확산과정은 초기단계(1995년 이전), 확산기(1995${\sim}$1999년), 심화기(2000년 이후) 등의 3단계로 구분되었고, 단계별로 뚜렷한 공간적 차이를 나타냈다. 확산의 초기단계에는 21개(36.2%), 확산기에는 30개(51.7%), 그리고 심화기에는 7개(12.1%)의 축제가 각각 새롭게 개최되었다. 전남의 문화관광축제는 초기에는 주민화합형 축제가 확산기에는 관광형이 많이 개최되었다. 축제주제는 지역의 전통과 문화, 자연특성과 관련된 축제가 초기에 많았고, 최근에는 생태환경과 역사의 축제가 많이 개최되고 있다. 축제의 전개과정 또한 초기의 토착형에서 토착진화형으로 그리고 최근의 상업형 축제로 전환되었다.

  • PDF

축제참가자의 지역축제 의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관한 연구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대상으로 - (A Study of Assessment and Awareness by Local Festival Participants' to the Significance of Local Festival : Case Study of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 황화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9-272
    • /
    • 2015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1"을 대상으로 축제참가자의 지역축제 의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관해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에 참가한 축제참가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은 대졸학력의 20~40대 연령층과 가족단위의 방문객이 주를 이루었으며, 외지인과 지역주민 간의 인구학적 특성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역축제 특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지역축제가 지역문화자원 활용정도와 지역축제의 주제 반영정도에 대하여 두 집단 모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주제의 반영정도는 지역주민들의 사례축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축제의 의의는 지역주민 화합, 지역 경제활성화 그리고 지역 홍보 및 지역 이미지 제고이다. 여기서 지역주민과 외지인들은 지역 홍보 및 이미지 제고를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한데 비해 지역주민 화합에는 다른 설문항목에 비하여 긍정적인 인식이 낮았다. 따라서, 사례축제가 보다 지역사회에 깊게 뿌리내림 하기 위해서는 축제를 통한 지역주민들의 문화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보다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그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지역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마련과 축제의 기획, 집행, 평가 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가능한 다양한 창구를 마련하여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확대할 것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