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대세포밀도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1초

당근(Daucus carota L.) 세포 배양시 세포의 크기, 밀도, Conditioned 배지 및 pH가 배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ell Size, Density, Conditioned Media and pH on Carrot (Daucus carota L.) Cell Embryogenesis)

  • 백기엽;이철희;황주광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2호
    • /
    • pp.141-148
    • /
    • 1985
  • 당근(Daucus carota L.) 세포 배양시 무성배 발생에 미치는 세포의 크기, 세포의 밀도, conditioned medium및 배지의 pH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포배양시 구상형 배의 발생은 배양 4일째 최대에 달했으며 그 이후부터는 심장형 및 어뢰형 배로 발달되었다. 세포의 밀도가 높을수록 배 발생수가 증가하였으며 MS배지보다는 conditioned medium에서 양호하였고 배의 발달도 촉진되었다. 세포의 크기가 작을수록 생체중 및 배의 형성수가 증가하였으며 9o$\mu\textrm{m}$이상의 세포에서는 현저히 억제되었다. 배지의 pH가 4.0 혹은 7.0일때는 세포의 건물중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배의 발생도 억제되었다. 그러나 pH 6에서 건물중이 최대에 달하였고 배의 발생도 양호하였다.

  • PDF

실내 배양시 부착기질 크기에 따른 저서성 미세조류 Nitzschia sp.의 성장 특성 (Effect of Attachment Substrate Size on the Growth of a Benthic Microalgae Nitzschia sp. in Culture Condition)

  • 오석진;윤양호;산본민차;양한섭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1-95
    • /
    • 2009
  • 저서성 미세조류의 성장에 미치는 부착기질의 영향을 알기 위해 서로 다른 크기의 glass bead를 첨가하여 저서성 미세조류 Nitzschia sp.(진해만 클론)의 성장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glass bead의 크기는 0.09-0.15 mm(G1), 0.25-0.50 mm(G2), 0.75-1.00 mm(G3) 그리고 1.25-1.65 mm(G4)이며, glass bead를 첨가하지 않는 대조구도 설정하였다. Nitzschia sp.의 가장 높은 성장속도(0.37/day)와 최대세포밀도($9,232{\pm}840$ cells/mL)는 가장 작은 크기의 glass bead를 첨가한 G1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성징속도와 최대세포밀도는 glass bead 크기의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다(G4의 성장속도와 최대세포밀도는 각각 0.24/day와 $6,397{\pm}524$ cells/mL였다). 더욱이 대조구의 성장속도는 실험구 G1에서 G3의 성장속도보다 상당히 낮았다. 이 결과에서 Nitzschia sp.와 같은 저서성 미세조류를 위한 부착기질은 성장속도 뿐만 아니라 세포밀도에도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착미세조류의 생리실험을 위해서는 예비실험으로 부착기질의 유무 및 대상 종에 적합한 부착입자의 크기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FISH 세포영상에서의 군집세포 분할 기법 (Segmentation Method of Overlapped nuclei in FISH Image)

  • 정미라;고병철;남재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6B권2호
    • /
    • pp.131-14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입력된 FISH 세포영상을 군집세포영역과 독립세포영역으로 분류하고, 군집세포영역에 대해서는 하나의 세포를 분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먼저 입력된 영상에 대해서 가우시안혼합모델과 세포의 명암도 값에 대한 최대 우도 함수를 사용하여 세포영역과 배경영역을 분할해줄 임계값을 정의하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전경세포영역에 대해서 보다 정확한 세포 분석을 위해서 군집세포와 독립세포를 분류하게 된다. 세포 영역의 분류과정을 위해서는 베이지안 네트워크와 확률밀도함수를 사용한다. 학습데이터로부터 밀집도(compactness), 평활도(smoothness), 후-모멘트(Hu-moment)에 대한 형태학적 특징값을 추출하여 확률밀도함수를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두 영역을 분류하게 된다. 군집세포로 분류된 영역에 대해서는 그 군집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독립세포로 각각 분리한다. 먼저, 명암도 기울기 변환(intensity gradient transform) 영상과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군집세포 영역을 작은 영역으로 분할하게 된다. 작게 분할된 영역을 하나의 세포영역으로 병합시키기 위해서, 군집세포에 존재하는 독립세포의 수만큼의 마커를 결정 침식 연산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마커를 중심으로 단계적 병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166개의 FISH 세포를 사용하여 테스트한 결과 99.29%의 정확한 분리결과를 보여줬으며 기존의 다른 알고리즘보다도 뛰어난 성능과 빠른 실행시간을 보여주었다.

B. amyloliquefaciens 세포 성장에 미치는 포도당 및 부산물 농도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By-product on the Growth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23350)

  • 차월석;김종균김종수
    • KSBB Journal
    • /
    • 제8권5호
    • /
    • pp.457-464
    • /
    • 1993
  • 회분식 배양을 통해 탄소원으로 초기 glucose 농도를 5g/$\ell$, lOg/$\ell$, 20g/$\ell$, 30g/$\ell$ 로 변화시키고, 초기 glucose 농도 20g/$\ell$ 에 저해제의 초기 acetIcacid 농도를 19/$\ell$, 2g/$\ell$, 3g/$\ell$, 4g/$\ell$, 5g/$\ell$ 로 변화시키면서 Bacillus amyloliquefacieηs 23350 균주를 이용하여 최적의 세포성장과 생성물 생산을 얻기 위한 배양을 시도하였다. 최대 건조세포밀도는 초기 glucose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저해제로 acetic acid를 첨가하면 세포의 성장이 감소하였다. 탄소원 중 최대 $\alpha$-amylase의 생산은 초기 glucose 농도 lOgje 일 때 225unit/ml이었으며, 배양 기질 중 초기 acetic acid 농도가 2g/$\ell$ 일 때가 376unit/ml이었고, 최대 비세포성장속도와 최대 $\alpha$-amylase 의 비생성속도는 초기 glucose 농도가 109/E 일 때 $0.1239(hr^{-1})$ 과 2.34930unit/mg-hr로 최적이었다. 최적의 $\alpha$-amylase 생산 및 비생성속도를 얻기 위해서는 저해제로서 초기 acetic acid 농도를 2-4g/$\ell$ 정도 첨가하여 배양을 행하여야 한다.

  • PDF

거제도 장목항에서 적조원인생물 Akashiwo sanguinea(Dinophyceae): 형태, 분자계통학적 특성 및 온도와 염분에 따른 성장 특성 (Bloom-forming dinoflagellate Akashiwo sanguinea(Dinophyceae) in Jangmok Harbour of Geoje Island, Korea: Morphology, phylogeny and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growth)

  • 한경하;;윤주연;강병준;김현정;서민호;서호영;신현호
    • 환경생물
    • /
    • 제37권2호
    • /
    • pp.119-128
    • /
    • 2019
  • 거제도 장목항에서 분리한 Akashiwo sanguinea의 형태와 계통학적 특성을 명확히 하고, 여러 온도와 염분구배에 따른 성장조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A. sanguinea의 세포는 오각형이었고, 세포의 길이는 54.7~70.3 ㎛, 폭은 31.5~48.5 ㎛로 나타났다. 핵은 세포의 중심에 위치하였고, 엽록체는 황갈색으로 세포 전체에 퍼져있었다. 상추구는 알파벳 e 모양이었다. 계통분석 결과 장목항에서 분리한 본 배양주는 ribotype A에 포함되었다. 온도 및 염분구배에 따른 성장 실험은 5℃ 이하의 온도를 제외한 모든 온도구배에서 성장이 나타났다. 그리고, 최대성장속도는 온도 20℃, 염분 20 psu에서 0.50 day-1로 나타났고, 최대세포밀도는 온도 25℃, 염분 30 psu에서 1,372 cells mL-1였다. 이 결과는 A. sanguinea가 가을철에 한국 연안에서 최대 증식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햄스터 망막에서의 광수용체 분포 (Populations of Rod and Cone Photoreceptors in the Hamster Retina)

  • 유성희;김현진;이경필;이은실;이제영;전창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4호
    • /
    • pp.291-29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햄스터 망막의 추상과 간상 광수용체의 양적 분석을 하였다. 추상 광수용체를 과산화 효소로 표지된 피넛 렉틴(peroxidase-labeled peanut lectin)을 사용하여 염색한 뒤 광학 미분간섭 현미경(DIC,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optics)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추상 광수용체에 위치한 M/L-옵신과 S-옵신을 염색한 뒤 공초점 형광 현미경(confocal microscope)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추상세포의 평균 밀도는 9,307 $cells/mm^2$이며 전체 추상세포는 293,060개였다. 추상세포의 최대값(12,857 $cells/mm^2$)은 맹점(시신경 유두, optic disk)로부터 코 쪽 망막(nasal retina)으로 0.3 mm 떨어진 곳에 위치하였다. 간상세포의 평균은 300,082 $cells/mm^2$으로 전체 간상세포는 9,448,150개였다. 간상세포의 최대값(340,000 $cells/mm^2$)은 맹점으로부터 등쪽 망막(dorsal retina) 방향으로 0.3 m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다. 평균적으로 전체 광수용체 중, 간상세포의 전체 분포는 96.99%이고 추상세포는 3.01%를 차지하였다. 또한 간상과 추상의 평균 비는 32.24 : 1이었다. 햄스터의 추상세포는 M/L-와 S-옵신을 가진다. 본 연구 결과는 햄스터가 일부 명소시를 가지는 강한 간상 우세 망막임을 제시한다.

시 최적화 제어기구의 설계방법에 관한 비교연구

  • 이양범
    • 전기의세계
    • /
    • 제29권3호
    • /
    • pp.170-176
    • /
    • 1980
  • 이 논문은 제어신호가 이상적인 포화특성을 갖은 제작조건하의 시불변, 선형 제어계의 시최적화 제어기구의 설계이론을 비교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어떤 초기상태에 있는 계를 특정된 최종상태로, 최단시간내에 이행시켜 가는데 요구되는 제어기구의 설계문제는 여러해 동안 흥미있는 연구과제로 학계에 등장되었고 이러한 문제를 처리하는데에는 여러가지의 설계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최적화 제어기구의 설계 이론중, 상태천이법에 의한 방법, 최대원리의 적용에 의한 방법 및 동적 프로그래밍기법에 의한 방법들을 서로 비교하여 2차계의 시최적화 설계사례에 이들을 적용시킴으로써 그 설계법상의 문제점을 비교 검토하여 보려는데 목적을 두었다. 설계사례 2차계는 시불변, 선형인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초기상태벡터 및 최종상태벡터는 모두 특정된 값으로 지정되고 제어신호는 이상적인 포화특성으로 제약받으며 스윗칭 시간이 유한크기가 아닌 정규형인 경우에 한정시켜 다루었다. 어느 설계이론을 적용시키나 시최적화를 위한 제어측은 단속제어방식으로 결과되었으나, 시최적화 문제의 특수성때문에 최대원리 및 동적 프로그래밍기법의 적용사례에서는 자연경계조건 및 Transversality 조건 등이 스윗칭시간 또는 최종시간을 직접 결정하여 주는 관건은 되지 못하였으며 계통의 상태방정식 또는 보조상태방정식을 구속제약된 양단상태량을 만족하도록 최적에어측을 적용하여 풀므로써 스윗칭시간과 최종시간이 얻어진다. 따라서 어느 한가지 방법의 적용만으로는 수학적인 처리상의 애로는 피할길이 없었으며 Hamiltonian함수의 변화성질을 보조적으로 활용하여 가면 이러한 번거로움이 덜하여 지긴하나, 다루는 계통의 차수가 높을 수록 이러한 수치해를 얻기위한 번거로움은 여간한 험로가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시최적화문제의 설계에는 몇가지의 혼용적용이 바람직하다고 결론된다. 이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고, 우선 여기서는 당면문제로서 대처하지 않으면 안될 자동주파수제어문제및 계통의 경제운용문제만에 한정하여, 이것을 우리나라의 현상과 관련시켜 개설하고, 이들의 자동화에 관한 기본적인 문제를 간단히 적어 보겠다. 가능하다. 제작완료된 ASIC은 기능시험을 완료했으며 실제 line-of-sight(LOS) 시스템 구현에 적용중이다. 시대를 살아 갈 회원들이다. '컨텐츠의 시대'가 개막되는 것이며, 신세기통신과 SK텔레콤은 선의의 경쟁 과 협력을 통해 이동인터넷 서비스의 컨텐츠를 개발해 나가게 될 것이다. 3배가 높았다. 효소 활성에 필수적인 물의 양에 따른 DIAION WA30의 라세미화 효율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그 효율은 감소하였다. DIAION WA30을 라세미화 촉매로 사용하여 아이소옥탄 내에서 라세믹 나프록센 2,2,2-트리플로로에틸 씨오에스터의 효소적 DKR 반응을 수행해 보았다. 그 결과 DIAION WA30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반응 전환율과 생성물의 광학 순도는 급격히 향상되었다. 전통적 광학분할 반응의 최대 50%라는 전환율의 제한이 본 연구에서 찾은 DIAION WA30을 첨가함으로써 성공적으로 극복되었다. 또한 고체 염기촉매인 DIAION WA30의 사용은 라세미화 촉매의 회수 및 재사용이 가능하게 해준다.해준다.다. TN5 세포주를 0.2 L 규모 (1 L spinner flask)oJl에서 세포간의 응집현상 없이 부유배양에 적응,배양시킨 후 세포성장 시기에 따른 발현을 조사한 결과 1 MOI의 감염조건 하에서는 $0.6\times10^6$cell/mL의 early exponential시기의 세포밀도에서 72시간 배양하였을 대 최대 발현양을 나타내었다. 나타내었다. $\beta$4 integrin의

  • PDF

남해안에서 분리한 유독 와편모조류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Dinophyceae): 형태, 분자계통학적 특성 및 온도와 염분에 따른 성장 특성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Graham(Dinophyceae)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morphology, phylogeny and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growth)

  • 한경하;;강병준;윤주연;신현호
    • 환경생물
    • /
    • 제37권1호
    • /
    • pp.31-41
    • /
    • 2019
  • 남해안에서 분리한 Gymnodinium catenatum의 형태, 계통학적 분석 및 다양한 온도 및 염분에 반응하는 성장 조건을 파악하였다. G. catenatum의 세포는 세로로 길거나 세로와 가로의 길이가 유사한 오각형이었다. 세포의 길이는 $38.1{\sim}77.4{\mu}m$, 폭은 $26.1{\sim}40.8{\mu}m$로 나타났다. 핵은 세포의 중간에 위치하였고, 상추구는 말굽의 편자 모양이었고, 이는 국내외 배양주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한 결과 였다. 계통분석 결과도 염기유사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 기존에 보고된 배양주와 100% 일치하여 이 종은 단일 계통으로 판단되었다. 온도와 염분에 대한 성장실험에서 G. catenatum은 $15^{\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염분 15 psu를 제외한 모든 염분구간에서 성장을 보였으며, 고온인 $30^{\circ}C$에서는 성장을 하지 않았다. 최대성장속도는 온도 $25^{\circ}C$, 염분 35 psu에서 $0.37day^{-1}$로 나타났고 최대세포밀도는 온도 $20^{\circ}C$, 염분 25에서 $1,073cells\;mL^{-1}$였다. 이 결과는 G. catenatum이 한국 남해안에서 여름철 및 가을철, 특히 평균 수온이 $20^{\circ}C$ 이상인 여름철에 최대 증식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국내 호소에서 autotrophic picoplankton의 밀도 및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에 대한 기여도 (Abundance of Autotrophic Picoplankton and Their Contribution to Phytoplankton Biomass in Korean Lakes)

  • 김범철;전만식;허우명;김호섭;최연규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141-152
    • /
    • 2001
  • 1999년 여름동안 동해안의 7개 석호와, 내륙의 5개 인공호를 대상으로 autotrophic picoplankton (APP)의풍부도와 총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석호에서는 부영양화가 심한 호수에서 주로 나타나는 phycocyanin-rich APP가 우점한 반면 인공호에서는 주로 phycoerythrin-rich APP가 우점하였다. 동해안 석호에서 APP의 세포밀도와 생물량은 각각 $3.6{\times}10^3{\sim} 5.0{\times}10^6\;cells/ml$$1.0{\sim}1,385.0\;{\mu}gC/L$의 범위를 나타냈고 인공호에서는 각각 $3.8{\times}10^4{\sim}3.6{\times}10^5\;cells/ml$$15.3{\sim}128.2\;{\mu}gC/L$의 범위로 동해안석호에서 더 높은 APP의 풍부도를 나타냈다. 특히 경포호에서는 3회조사 모두 $10^6\;cells/ml$이상의 높은 세포밀도를 보였는데 이는 세계적으로 보고된 가장 높은 밀도 수준이다. 소양호에서 APP의 수직분포를 조사한 결과 수온약층에서 최대 세포밀도를 나타냈는데 이는 APP가 낮은 광도에서도 성장이 가능하며 심층의 높은 영양염류를 이용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APP세포밀도는TN/TP비와 음의 상관관계,TP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APP의 풍부도가 호수의 부영양화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에 대한 APP의 기여도는 $0.1{\sim}85.0%$로 호수간의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식물플랑크톤 연구에서 소외되어져 왔던 APP가 호수 생태계의 일차생산자로써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대청호에서 강우와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관계 (Relation between Rainfall and Phytoplankton Community in Daechung Reservoir)

  • 정승현;안치용;최애란;장감용;오희목
    • 환경생물
    • /
    • 제23권1호
    • /
    • pp.57-63
    • /
    • 2005
  • 2001, 2003년의 7월부터 10월까지 대청호에 위치한 댐 지역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 환경요인 및 강우량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동안의 월평균 강우량은 2001, 2003년 각각 91.3, 265.3mm로 조사되었다. 최대 Chl. a의 농도는 2001, 2003년 각각 45.4, 131.5 ㎍ L/sup -1/로 조사되었다. 남조류 세포수는 2003년 최대 49,000 cells mL/sup -1/로 조사되었고, 2001년은 최대 200,000 cells mL/sup -1/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식물플랑크톤 군집에서 남조류의 상대 풍부도는 2001년 97%, 2003년 74%였다. 2001년은 Microcystis spp.가 조사기간동안 우점종으로 조사되었고, 2003년은 Oscillatoria spp., Phormidium spp. Chroococcus spp. 그리고 Microcystis spp. 순으로 우점종의 변화를 보여줬다. 결론적으로 강우량은 식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 및 수화현상을 일으키는 남조류 세포 밀도에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