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촬영

검색결과 8,319건 처리시간 0.039초

이동형 로봇을 활용한 새로운 추적 촬영시스템 제안 (An Autonomous Video Capturing System by Vehicle Robot)

  • 김영애;조성만;전지혜;박구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35-337
    • /
    • 2016
  • 리얼리티 예능 TV 프로그램이나 다큐멘터리, 스포츠 중계, 인터넷 개인 방송 등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기존의 촬영시스템과 다른 새로운 기기와 방법을 도입하고 있다. 특히 드론을 활용한 항공 촬영시스템으로 사람이나 지미짚 카메라로 촬영이 불가능했던 높은 구도에서 촬영하고, 액션 캠을 활용한 촬영시스템으로 사용자가 직접 휴대하거나 신체에 부착하여 역동적인 영상을 촬영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 및 도입되고 있는 시스템들은 실내 촬영에 어려움과 영상 가장자리 왜곡 발생, 배터리 수명 문제로 장시간 촬영에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사용자를 검출하고 추적하면서 주변 환경과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는 이동형 촬영 로봇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사용자의 제어 없이 실시간 촬영 및 저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로봇 스스로 카메라 영상을 통해 사용자를 검출,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동하여 추적함으로써 근거리 영역을 유지한 상태로 새로운 기법과 구도에서 촬영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 PDF

등각촬영법과 평행촬영법에서의 실책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Rate of Error with Bisecting Angle Technique and Paralleling Technique)

  • 이경희;박일순;정정옥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5-161
    • /
    • 2011
  • 본 연구는 치근단 필름 촬영에 있어서 촬영법에 따른 실책율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효율적인 촬영기술 습득과 학생의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시행되었다. 2009년 3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D 보건대학 및 S 보건대학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촬영한 필름 14,402매를 분석하고, 등각촬영법과 평행촬영법의 촬영 실습수업을 이수한 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현상과정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등각촬영법으로 촬영한 경우 상 하악 모두 대구치부에서 실책율이 가장 높았다. 2. 평행촬영법으로 촬영한 경우 상악에서는 소구치부, 하악에서는 대구치부에서 실책율이 가장 높았다. 3. 촬영기술상의 실책은 등각촬영법과 평행촬영법 모두 필름위치의 부정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등각촬영법이 평행촬영법에 비해 실책율이 높게 나타났다. 4. 현상기술상의 실책은 등각촬영법과 평행촬영법 모두 어두운 상과 밝은 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등각 촬영법이 평행촬영법에 비해 실책율이 높게 나타났다. 5. 학생들은 현상과정에서 현상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살펴볼 때, 치근단 촬영 시 실책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구강 내 형태학적, 해부학적 구조의 이해가 필요하며,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여러 번 반복 촬영하여 숙련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의 피폭선량 경감을 위한 수동 촬영조건의 가이드라인 제시 (Suggestion of The Manual Exposure Condition Guideline for Reducing Patient Dose in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 홍은애;이인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483-491
    • /
    • 2016
  • 유방촬영 시 디지털 유방촬영 후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을 한 60명 환자에 대한 촬영 조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을 한 환자에 대한 피폭선량이 많음을 알았고 그 대책법으로 ACR 팬텀으로 촬영조건을 자동노출조건이 아닌 수동노출조건으로 변경하여 영상의 식별능과 환자피폭선량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CC(Cranio-Caudal)촬영인 경우 촬영조건 중 kVp는 디지털 유방단층촬영 시 디지털 유방촬영보다 2kVp 높게 설정되어 있었다. 또 mAs는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이 55.2% 감소되어 약 60mAs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환자의 평균유선선량(AGD)은 디지털 유방촬영에서는 1.65mGy,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에서는 1.87mGy로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에서 0.22mGy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팬텀을 이용한 실험에서 kVp는 자동노출조건인 29kVp로 고정하고, mAs을 수동조건으로 감소시키면서 실험한 결과 mAs를 80% 줄여도 영상의 식별능 평가 기준인 10점 이상으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평균유선선량(AGD)도 0.66mGy로 줄일 수 있었다. 디지털 유방촬영시행 후 디지털 유방단층촬영 시 자동노출조건을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는 수동노출조건으로 mAs조건을 감소 시켰을 때 영상의 진단적 가치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피폭선량경감에 효과가 있었다. 최근 디지털 유방단층촬영의 유용성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본 연구에서 수동촬영조건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서 진단적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환자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동형 구내방사선촬영기와 벽걸이 구내방사선촬영기로 촬영한 치근단 방사선촬영에서 환자의 흡수선량과 유효선량 평가 (Absorbed and effective dose for periapical radiography using portable and wall type dental X-ray machines)

  • 한원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84-190
    • /
    • 2012
  •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상악 전치부와 하악 구치부 치근단 방사선촬영시 이동형 구내방사선촬영기와 벽걸이 구내방사선촬영기로 촬영한 경우에서 환자의 방사선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방사선량 측정은 선량 측정용 두경부 마네킨의 23부위에 열형광선량계 소자를 위치시키고 해당 치근단 방사선촬영을 하였다. 열형광선량계 판독기로 흡수선량을 구하였고 방사선 조사된 조직의 비율을 곱하여 방사선 가중선량을 구하였다.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에서 2007년에 공지한 조직 가중계수를 이용하여 각 방사선촬영의 유효선량을 구하였다. 결과: 환자의 흡수선량은 이동형 구내방사선촬영기로 촬영한 상악 전치부와 이동형 및 벽걸이 구내방사선촬영기로 촬영한 하악 구치부 치근단방사선촬영의 경우 하악체에서 가장 높았다. 유효선량은 상악 전치부 치근단 방사선촬영에서는 이동형 촬영기로 촬영한 경우 $4{\mu}Sv$, 벽걸이 촬영기로 촬영한 경우 $2{\mu}Sv$였고 우측 하악 구치부 치근단 방사선촬영에서는 각각 $6{\mu}Sv$, $2{\mu}Sv$였다. 결론: 벽걸이 구내방사선촬영기보다 이동형 구내방사선촬영기로 촬영한 치근단 방사선촬영에서의 유효선량이 더 많기 때문에 술자는 구내방사선촬영기에 따른 방사선 노출 정도를 충분히 인지하고 이를 사용하여야 한다.

김은주의 Theme Photo - 네번째 - 꽃과 곤충 사진(Flower, Insect)

  • 김은주
    • 광학세계
    • /
    • 통권134호
    • /
    • pp.65-68
    • /
    • 2011
  • 풍경을 촬영하다 보면 꽃의 아름다움과 함께 생태계의 독특한 신비로움을 담고 싶을 때가 있다. 그 중에서도 접사촬영을 통한 꽃의 촬영은 다양한 해석과 정서를 담아낼 수 있고 곤충촬영 역시 작은 세상을 가깝게 들여다 볼 수 있는 흥미로운 일이다. 이번호에서는 접사촬영을 통한 꽃과 곤충사진 촬영방법을 알아보자.

  • PDF

UAV의 waypoint비행 및 촬영 정확도 평가 (Assessment of Flying and Shooting Accuracy for UAV Using Waypoint Planning)

  • 한승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5-296
    • /
    • 2016
  • UAV를 이용하여 정사영상과 수치지도제작을 위해서는 촬영계획대로 촬영해야 한다. 그러나 풍속, 풍향 및 시스템의 결함으로 촬영정확도가 저하된다. 저가 UAV의 waypoint기능을 활용한다면 다소 실수를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waypoint기능을 이용하여 비행정확도를 평가하고 모의촬영을 통해 촬영정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 PDF

UAV 기반 복수의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시스템 설계 연구 (Design of Photographing System for Multiple Users based on UAV)

  • 곽정훈;성연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79-480
    • /
    • 2018
  • 최근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에 부착된 카메라로 사용자를 촬영함으로써 레저 및 여행 중 영상을 기록하기 위해 활용하고 있다. UAV에 부착된 카메라로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조종하거나 NUI/NUX 기술을 활용한다. UAV가 비행해야 되는 비행경로를 미리 설정하거나 단일 사용자를 추적해서 자동적으로 UAV가 비행하며 UAV에 부착된 카메라로 단일 사용자 중심으로 촬영한다. 하지만 레저 및 여행 중 영상을 기록하는 과정에서 단일 사용자 중심이 아니라 복수의 사용자를 고려하여 촬영해야 되는 경우가 있다. UAV가 복수의 사용자 위치를 고려하여 복수의 사용자를 촬영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복수의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시스템을 설계한다. 촬영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위치의 변화를 기반으로 UAV를 제어한다.

수중 입체촬영을 위한 수면호버링 드론 설계 (Design of Water Surface Hovering Drone for Underwater Stereo Photography)

  • 김형균;김용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7-12
    • /
    • 2019
  • 수중촬영을 위해서는 촬영자가 장비를 갖추고 수중으로 진입하여 촬영해야 한다. 촬영자가 직접 수중에 진입하기 때문에 수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장애물이나 깊은 수심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수중 입체촬영을 위한 수면호버링 드론에 대해 제안하였다.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수위측정을 통해 드론이 일정 높이의 수면에서 호버링한 상태에서 촬영부만 수중으로 이동시켜 수중상태를 입체로 촬영하는 최적의 기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안한 수중 입체촬영기법은 수중촬영에 드론을 사용함으로써 촬영자가 직접 수중으로 진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안전사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저비용으로 수중입체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입체촬영용으로 제안한 캠의 촬영각을 분석하여 적정한 입체영상의 시청이 가능한 조건을 수중 18cm높이에서 바닥면 거리가 41.4cm 일 때로 규정하고 수면호버링 드론의 엘리베이션 체인에 의해 하강하는 촬영부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제안하였다.

다각촬영 카메라 제어 장비 개발 (Development of Multi-looking camera Controller)

  • 신진수;설일환;원종현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5-326
    • /
    • 2009
  • 다각촬영카메라를 제어하고 GPS/INS와 동기화하기 위해서 다각촬영 카메라 제어 장비(MLCC)를 개발하였다. 이는 5대의 카메라에 촬영신호를 보내고 촬영시각을 GPS/INS와 동기화 하여 정확한 촬영시각을 기록하기 위한 장비이다. 개발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Applanix사의 POS 시스템과 Leica-Geosystem의 IPAS20을 병렬로 연결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다각촬영 카메라를 제어하기에 충분한 정밀도를 보여 주었으며, 차기년도 경량화를 진행하고자 한다.

  • PDF

GIS를 활용한 지상영상 촬영 계획 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GIS-based Planning System for Terrestrial Imaging)

  • 고인철;서수영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0-334
    • /
    • 2010
  • 지상사진측량 시 카메라를 통한 영상 획득에 있어서 촬영 시간과 노력 등의 비용 감소를 위하여 카메라 촬영 위치의 최적화를 통해 촬영의 효율성을 고려하고 그에 따른 영상 촬영을 위한 계획을 구상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GIS기반의 지상영상 촬영 계획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목표로 그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활용하여 1:5000 수치지도에서 추출한 2차원의 건물 지도로부터 카메라 렌즈의 화각에 따라 건물의 외벽의 촬영 범위를 결정함으로써 최적의 촬영 지점을 계획하기위한 실험을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GIS를 활용한 지상영상 촬영 계획 시스템의 구축 가능성에 대하여 평가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