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총 폴리페놀

Search Result 1,17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phenolic acids와 총 폴리페놀 함량

  • 김성란;하태열;이지연;이세은;이현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26.1-226
    • /
    • 2003
  • 최근 쌀 소비량이 감소되고 쌀중심 식생활의 영양적 우수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쌀은 주식으로서 위치가 흔들리고 있다. 그동안 쌀의 영양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주로 탄수화물 급원으로서의 당질에 관한 연구와 미강을 중심으로한 식이섬유, 미강유등에 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 특히 미곡 부산물인 미강으로부터 다양한 유효성분들이 확인되어 그 효능이 보고되고 있으며 일부가 기능성 소재로서 제품화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실제 우리의 식생활에서 섭취되고 있는 백미 또는 현미상태에서의 유효성분의 분포 및 함량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쌀의 영양적우수성을 규명하고자 유효성분 중 phenolic acid와 폴리페놀 함량을 품종 및 도정도에 따라 조사하였다. 조생종인 오대와 만생종인 남평 품종으로부터 현미와 7분도, 10분도 및 12분도로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도정도별 미강을 각각 제조하였다. Ferulic acid 등 쌀과 미강에 존재하는 phenolic acid 는 알칼리로 추출한 후 pH를 조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반복 추출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현미에 함유된 phenolic acid는 ferulic acid가 가장 많아 50% 내외를 차지하였으며 p-coumaric acid, benzoic acid, sinapin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오대 현미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65.9 mg%로서 남평 현미의 57.2 mg%보다 높았으며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백미 중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감소되었다. 미강 중에는 백미의 10배 량에 해당하는 phenolic acid가 검출되었고 benzoic acid와 m-hydroxy benzoic acid는 미강 시료에서만 검출되었다. 도정한 백미 중의 phenolic acid는 28.8∼51.7 mg%, 미강에서 321.4∼438.4 mg% 범위로 나타났다. 현미,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표준 페놀화합물로 카테친을 사용하고 비색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을 때 오대 현미의 폴리페놀 함량은 78.4 mg%, 남평 현미 88.8 mg% 였다. 도정한 백미 중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0.3∼56.9 mg%, 미강이 541.5∼472.6 mg%의 범위였다. 이상과 같이 쌀에는 phenolic acid 및 총 폴리페놀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배유보다는 강층에 많이 존재하므로 이들 성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쌀의 섭취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Mistletoe Cultivated on Prunus mume (매실나무(Prunus mume)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 Heo, Jeong Won;Azad, Md Obyedul Kalam;Park, Cheol 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83-83
    • /
    • 2018
  • 최근 매실나무를 기주로 한 겨우살이의 인공재배에 성공함에 따라, 식 의약품과 화장품의 소재 및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80% 에탄올 및 증류수 초음파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인공재배한 매실나무겨우살이(동결건조) 및 강원도 홍천에서 채취한 자연산 굴참나무겨우살이(열풍건조, $30^{\circ}C$, 7day)의 80% 에탄올, 증류수 초음파추출물에 대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함량 그리고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시료의 농도에 비례하여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매실나무겨우살이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5,000ppm에서 $192.63{\mu}g/ml$로 가장 많았으며, 굴참나무겨우살이의 물 추출물이 100ppm에서 $4.86{\mu}g/ml$로 가장 낮고 매실나무겨우살이가 모든 용매에서 더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굴참나무겨우살이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5,000ppm에서 $83.59{\mu}g/ml$로 가장 높았으며, 매실나무겨우살이 물 추출물이 $4.6{\mu}g/ml$로 가장 낮았고 굴참나무겨우살이가 모든 용매에서 더 많은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80% 에탄올 추출물 5,000ppm에서 매실나무겨우살이 81.75%로 시료 중 가장 높았고, 굴참나무겨우살이 물 추출물 100ppm이 3.55%로 가장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겨우살이를 초음파추출법으로 추출할 때, 80% 에탄올 초음파추출물이 더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여 80%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비교적 적합하였다. 80% 에탄올로 초음파추출 하였을 때 동결건조 한 매실나무겨우살이가 열풍건조한 자연산 굴참나무겨우살이보다 더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고, 더 높은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보여줌에 따라 식 의약품 그리고 화장품의 소재화 및 산업화의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5 Types of Conventional Citrus (Citrus grandis Osbeck, Citus junos, Citrus unshiu × sinensis, Citrus natsudaidai, Citrus × hassaku) (재래귤 5종(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 Ji-Won Seo;Mi-Kyeong Jang;Won-Seob S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65-65
    • /
    • 2023
  • 제주도에서 재배되어 온 재래귤 5종(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5종 재래귤(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가운데 당유자의 외피(244.84mg/g)와 중피(200.70mg/g) 처리구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총 폴리페놀의 함량 측정에서와 마찬가지로 5종 재래귤(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가운데 당유자의 외피에서 102.12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청견과 하귤, 팔삭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폴리페놀 처리구와 같이 당유자 처리구보다 적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의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의 결과에 같은 경향으로 5종 재래귤(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가운데 당유자의 외피(79.39%)와 중피(70.73%)에서 가장 양호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당유자의 두꺼운 과피 구조인 외피와 중피에 에센셜 성분인 limonene, myrcene, β-ocimenes 등과 같은 향기성분들의 영향으로 생각되어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Analysis and comparis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total antioxidant capabilities of Korean brown algae (국내 자생 갈조류의 생리활성 물질 분석 및 총 항산화능력 비교 연구)

  • Lee, Chae-Hyeon;Park, Ye Na;Lee, Sang Gil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2 no.1
    • /
    • pp.54-59
    • /
    • 2020
  • The inconsistent methods of harvest, identification, and preparation of brown algae samples make it difficult to compare the results of certain measurements across different studies, such as total phenolic contents (TPC), total flavonoid contents (TFC),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ies (TAC).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measure and compare TPC, TFC, and TAC in 10 types of standardized brown algae extracts provided by the Bio-Resource Information System of Korea. Among the ten brown algae extracts, Ishige foliacea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of TPC and TAC, followed by Sargassum nigrifolium. TAC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four assays: ABTS, DPPH,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TAC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PC (p<0.05) but not TFC, indicating that Ishige foliacea and Sargassum nigrifolium have potential use as marine antioxidative food material.

Antioxidative Activity and Cytotoxicity on Human KB cell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 (진달래꽃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인체 KB cell에 대한 세포독성)

  • Park Seung-Woo;Kim Sang-Gyo;Kim Mee-Jeoung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3 no.4
    • /
    • pp.501-505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cytotoxicity on human KB cell of extract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flower, and also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The methanol extract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flower was fractionated with various solvents such as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thyl acetate fraction had stronger activity than other fractions. So, antioxidative substances of ethyl acetate fraction were crude purifi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rude purified fraction 2 and 3 were more than 90% at 40 ppm. In the presence of $100{\mu}g/mL$, growth inhibition on human KB cell by WST-1 assay showed 81.2% in chloroform fraction and 74.6% in hexane fraction.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of ethyl acetate traction were 32.70% and 20.30%, respectively, The antioxidative activity showed correlation with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5 Types of Late Maturing Citrus (Citrus hybrid 'Shiranuhi', Citrus hybrid 'Setoka', Citrus hybrid 'Blanco', Citrus hybrid 'Kanpei', Citrus 'Kara')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 Ji-Won Seo;Mi-Kyeong Jang;Won-Seob S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66-66
    • /
    • 2023
  •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의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레드향 과피 처리구(93.97mg/g)에서 가장 높았으며, 천혜향을 제외한 모든 만감류 품종 부위들 가운데, 과피 처리구에서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한라봉 전체 처리구(23.65mg/g)에서 가장 높았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30mg/g 함량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총 폴리페놀 함량 대비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 가운데 과피 두께의 비율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의 경우, 한라봉 전체(81.01%)를 시작으로 한라봉 중피(73.13%), 한라봉 외피(63.94%) 처리구에서만 DPPH radical 함량이 EDA 50% 이상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총 폴리페놀 함량(mg/g)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g) 모두에서 높은 수치를 기록했던 처리구들 가운데 한라봉 중피(79.75, 23.16), 한라봉 전체(75.51, 23.65) 처리구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인 반면, 레드향 과피(93.97, 20.59)의 활성은 49.26%로 DPPH radical EDA 50%에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피와 과육의 에센셜 오일과 성분의 차이에서 기인된 것으로 추측된다.

  • PDF

Optimization of polyphenol extraction from non-edible parts of Aronia melanocarpa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bioconvergence materials (아로니아 비가식 부위로부터 기능성 바이오융복합 소재 개발을 위한 폴리페놀의 추출 공정 최적화)

  • Kim, Hye Rim;Kim, Yeona;In, Man-Jin;Chae, Hee Je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2
    • /
    • pp.85-91
    • /
    • 2020
  • Polyphenols extraction conditions including extraction solvent, temperature, pH and time were optimized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bio-convergence materials using non-edible parts of Aronia melanocarpa including its berry. Water, ethanol, and methanol were used for the extraction of polyphenol from aronia leaves, stem and twigs. Water was selected as an extraction solvent because water gave the highest extraction yields. Among the non-edible parts, aronia leaves ha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The polyphenol extraction conditions from aronia leaves were statistically optimized using a experimental design method: reaction time of 4.5 h, extraction temperature of 79.3℃, and pH 7.2. These optimized extraction conditions could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bio-material.

Antioxidant Effects of Herbal Wine containing Acanthopanax sessiliflorus, Lycium chinense, Schizandra chinensis, Cuscutae semen, Rubus coreanum and Plantaginis semen (오가피, 구기자, 오미자, 토사자, 복분자 및 차전자를 첨가한 한방 약술의 항산화 효과)

  • Oh, Sung-Cheon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3 no.4
    • /
    • pp.693-697
    • /
    • 2016
  • In this study,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herbal wine were examined. The herbal wine was obtained from extract concentration to evaluate its functional properties. The herbal wine were screened for their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ies using test such as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were $21.81{\pm}0.56$ in herbal wine 15% and $40.45{\pm}1.60$ in herbal wine 35%. As the extrac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05).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measures $113.89{\pm}1.79{\mu}g\;GAE/m{\ell}$ in herbal wine 15%, $274.24{\pm}0.71{\mu}g\;GAE/m{\ell}$ in herbal wine 35%. As the extrac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05). Also,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measures $61.75{\mu}g\;GAE/m{\ell}$ in herbal wine, the higher.

Standardization for Analysis Method of Total Polyphenol in Complex of Picao Preto (피카오프레토 등 복합물 중 총 폴리페놀 분석법 표준화)

  • Hu, Soojung;Kim, Ji-An;Moon, Myung-Hee;Lee, Sung-Hye;Yoon, Hae-Seong;Hong, Jin-Hwa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3 no.1
    • /
    • pp.44-49
    • /
    • 2018
  • As generic health functional food items have been expanded, this research project has been conducted to prepare a scientific and systematic standardized analytical method of relevant food item and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method for health/functional foods on sale. Total polyphenol was necessary for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standardized analytical method. The method exhibited high linearity in the tannic acid calibration curve ($r^2$ > 0.999) over concentrations of $5-50{\mu}g/mL$. The limits of detection and quantitation for tannic acid were $5{\mu}g/mL$ and $15{\mu}g/mL$, respectively, while tannic acid recovery was 102.3-112.4% with standard deviations of 0.8-3.2%.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analytical method, the labeled amounts of purchased health functional foods were monitored. The recovery for tannic acid was 105.6% of the labeled amounts. Thus, the new method was suitable for all cases.

Antioxidant Activities in Freeze-dried and Hot Air-dried Schizandra Fruit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t Different Microwave-as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에 따른 동결 및 열풍 건조 오미자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 Park, Eun-Joo;Ahn, Jae-Jun;Kim, Jeong-Sook;Kwon, Joong-H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5 no.6
    • /
    • pp.667-674
    • /
    • 2013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n Schizandra fruit extract dried by two different treatments: freeze-drying and hot air-drying. Two extraction parameters were measured in particular: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Both values were found to increase as the microwave power increased, for both drying processes. However, the extract from the freeze-dried sample exhibit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at from the hot air-dried samples. Additional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the freeze-dried samples increased with the extraction time, whereas they decreased with the extraction time in the case of the hot air-dried sample. Solvent concentration was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highest values for both properties were achieved at 50 and 70% ethanol concentrations, respectively. In summary, a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observed for Schizandra fruit extracted by freeze-drying than that by hot air-dry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