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점 영역 검출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Fabrication of computer-interfaced photon counter for single molecule detection in solution (용액내 단일 분자 검출을 위한 컴퓨터 인터페이싱 광자계수기의 제작)

  • 고동섭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8 no.1
    • /
    • pp.42-46
    • /
    • 1997
  • In order to acquire the fluorescence burst signals emitted from single dye molecules that pass through a detection space defined by a confocal microscope, a computer-interfaced photon counter has been fabricated. The maximum count rate is about 80 MHz, which is limited by the counter devices used. Using both the operating computer program written by BASIC and the 486 PC computer, the minimum bin-width of 25 $mutextrm{s}$ has been achieved. The characteristics of fluorescence burst signals emitted from JA22 molecules at about 1$\times$$10^{-11}$m mol/L in ethylene glycol are discussed briefly.

  • PDF

Effective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eDQE) Evaluation for the Influence of Focal Spot Size and Magnification on the Digital Radiography System (X-선관 초점 크기와 확대도에 따른 디지털 일반촬영 시스템의 유효검출양자효율 평가)

  • Kim, Ye-Seul;Park, Hye-Suk;Park, Su-Jin;Kim, Hee-Joung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23 no.1
    • /
    • pp.26-32
    • /
    • 2012
  • The magnification technique has recently become popular in bone radiography, mammography and other diagnostic examination. However, because of the finite size of X-ray focal spot, the magnification influences various imaging properties with resolution, noise and contrast.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agnification and focal spot size on digital imaging system using eDQE (effective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Effective DQE is a metric reflecting overall system response including focal spot blur, magnification, scatter and grid response. The adult chest phantom employed in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was used to derive eDQE from eMTF (effectiv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eNPS (effective noise power spectrum), scatter fraction and transmission fraction. According to results, spatial frequencies that eMTF is 10% with the magnification factor of 1.2, 1.4, 1.6, 1.8 and 2.0 are 2.76, 2.21, 1.78, 1.49 and 1.26 lp/mm respectively using small focal spot. The spatial frequencies that eMTF is 10% with the magnification factor of 1.2, 1.4, 1.6, 1.8 and 2.0 are 2.21, 1.66, 1.25, 0.93 and 0.73 lp/mm respectively using large focal spot. The eMTFs and eDQEs decreases with increasing magnification factor. Although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focal spot size on eDQE (0), the eDQEs drops more sharply with large focal spot than small focal spot. The magnification imaging can enlarge the small size lesion and improve the contrast due to decrease of effective noise and scatter with air-gap effect. The enlargement of the image size can be helpful for visual detection of small image. However, focal spot blurring caused by finite size of focal spot shows more significant impact on spatial resolution than the improvement of other metrics resulted by magnification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appropriate magnification factor and focal spot size should be established to perform magnification imaging with digital radiography system.

Fast Human Detection Method in Range Data using Adaptive UV-histogram and Template Matching (적응적 UV-histogram과 템플릿 매칭을 이용한 거리 영상에서의 고속 인간 검출 방법)

  • Yoon, Bumsik;Kim, Whoi-Yu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9
    • /
    • pp.119-128
    • /
    • 2014
  • In this paper, a fast human detection method using adaptive UV-histogram and template matching i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detection rate in the scene of complex environment. The method firstly generates U-histogram to extract human candidates and adaptively generates V-histogram for each labled U-histogram, thus it could extract humans correctly, which was impossible in the previous method. The method tries to match the human candidates with the adaptively sized omega shape template to the focal length and distance in order to improve the detection accuracy. It also detects false positives by rematching the template with accumulated foreground images and hence is robust to the occlusion.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superior performance to the Bae's method in the complex environment with about 15% improvement in precision and 80% in recall and has 20 times faster processing time than Xia's method.

Scanning confocal microscope using a quad-detector (4분할 photodiode를 이용한 scanning confocal microscope)

  • 유석진;김수철;이진서;권남익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8 no.2
    • /
    • pp.165-168
    • /
    • 1997
  • We have constructed a scanning confocal microscope using a 780 nm semiconductor laser, an actuator of a compact disk player and a quad-detector. This device detects heights and characteristics of a surface. The laser focus was located at the surface of a sample by using the error signal obtained by a quad-dector, and the current supplied to the actuator for lens was displayed as a height. The materials of a surfac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reflected total intensities and was displayed by different color in a monitor. The device has very samll dimensions of 30 mm$\times$20 mm$\times$20 mm and scan field is 1.6 mm$\times$1.6mm. We obtained two images, one using only reflected light and the other using an error signal from a quad-detector and compared these two images.

  • PDF

광학 분석 시스템용 수.발광 소자 집적 모듈 개발

  • Song, Hong-Ju;Lee, Jun-Ho;Park, Jong-Hwan;Han, Cheol-Gu;Park, J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311-312
    • /
    • 2012
  • 본 발표에서는 광학적 분석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발광소자(광원)과 수광소자(광센서)를 집적화시키는 모듈(수 발광 집적모듈)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수-발광 집적모듈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신호 감지를 위한 광통신용 송-수신 모듈(optical communication), 의료/진단 분야에서 단백질/DNA/박테리아 등의 검출 및 분석에 관한 바이오 센서(bio-sensor), 그리고 대기(가스)/수질 모니터링에 관한 환경센서 등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 해당되는 요소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들 분야들 중 바이오 물질을 분석하고 검출하는 광학적 바이오 센서 기술은 높은 경제적 가치와 산업적 성장 잠재력으로 인해 오랫동안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광학적 바이오 센서에서 가장 범용적인 방법 중 하나가 항온-항체 면역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형광 검출(fluorescence detection) 기법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광원, 광학계, 그리고 센서로 구성되는데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형광 현미경의 경우는 민감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상당히 고가이고 부피가 크며 복잡한 광학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고민감도를 확보하면서 휴대성, 고속처리, 저가 등의 특성을 가진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기술 중의 하나가 수-발광 부분을 집적화 시키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센서 기술의 하나로서 형광을 측정하여 혈액내의 진단 지표인자를 검출할 수 있는 휴대용 혈액진단기기에 적용되는 소형 수 발광 집적 모듈을 개발하였다. 혈액내의 검출 성분의 양에 따라 형광의 세기가 변화하게 됨으로써 정량적인 검출이 가능한 원리이다. 모듈의 구조는 크게 광원(발광소자), 광학계, 그리고 광센서(수광소자) 세 영역으로 나누어 진다. 광원은 635 nm 적색 레이저다이오드로서 형광체(Alexa Fluor 647/발광파장: 668 nm)를 여기 시키는 기능을 하며 장착된 볼렌즈 의해 샘플의 형광체 영역으로 집광된다. 광학계는 크게 시준렌즈(collimating lens)와 광학필터로 구성됨으로써 샘플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적절하게 수광소자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광학필터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Distributed Bragg's Reflector(DBR) 구조로써 실리콘(Si) 포토다이오드 상부에 모노리식(monolithic)하게 형성되며 검출 샘플로부터 진행되는 레이저 광(잡음의 주원인)은 차단하고 형광(광신호)만 통과 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신호 대 잡음비(S/N ratio)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밀한 광 필터링 기능이 요구됨으로써 박막의 세밀한 공정 조건과 구조적-광학적 특성 분석이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포토다이오드 소자는 일반적인 구조 이외에 중앙에 원형 구멍이 형성된 특별한 구조가 적용된다. 이것은 포토다이오드 구조에 변화를 줌으로써 모듈 구조를 효율적으로 응용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포토다이오드의 전기적-광학적 측정 분석을 통해 잡음 및 감도 특성이 세부적으로 조사되며 형광신호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작된 모듈은 약 $1{\times}1{\times}1cm^3$ 내외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요약하자면 본 발표에서는 광학적 바이오센서에 적용할 수 있는 소형 수-발광 소자 집적모듈을 소개한다. 전체 모듈 설계는 최소한의 부피를 가짐과 동시에 측정의 정밀성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세부요소인 광학필터와 포트다이오드의 경우 잡음 및 민감도에 미치는 중요성 때문에 세밀한 공정 및 특성분석이 수행되었다. 결론적으로 독자적인 설계 및 공정을 통해 휴대성 및 정밀성 등의 목적에 부합한 경쟁력 있는 수-발광 소자 집적모듈 제작 기술을 확보하였다.

  • PDF

Reproducing Summarized Video Contents based on Camera Framing and Focus

  • Hyung Lee;E-Jung Choi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10
    • /
    • pp.85-92
    • /
    • 202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story-based abbreviated summaries from long-form dramas and movies. From the shooting stage, the basic premise was to compose a frame with illusion of depth considering the golden division as well as focus on the object of interest to focus the viewer's attention in terms of content delivery. To consider how to extract the appropriate frames for this purpose, we utilized elemental techniques that have been utilized in previous work on scene and shot detection, as well as work on identifying focus-related blur. After converting the videos shared on YouTube to frame-by-frame, we divided them into a entire frame and three partial regions for feature extraction, and calculated the results of applying Laplacian operator and FFT to each region to choose the FFT with relative consistency and robustness. By comparing the calculated values for the entire frame with the calculated values for the three regions, the target fram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condition that relatively sharp regions could be identified. Based on the selected results, the final frames were extracted by combining the results of an offline change point detection method to ensure the continuity of the frames within the shot, and an edit decision list was constructed to produce an abbreviated summary of 62.77% of the footage with F1-Score of 75.9%

Reversible Watermarking Using JPEG Compression Data (JPEG 압축데이터를 이용한 리버서블 워터마킹)

  • Cui, Xue Nan;Kim, Jong-Weon;Choi, Jong-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c
    • /
    • pp.573-575
    • /
    • 2006
  • 기존에 연구되어온 리버서블 워터마킹 기법은 주로 군사영상이나 의료영상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 되어왔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리버서블 워터마킹 기법은 일반사용자를 위한 서비스에도 사용가능하다. 즉 서비스 제공업자가 돈을 지불한 사람에게는 워터마크 추출기를 제공하여 좋은 화질의 영상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돈을 지불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워터마크가 삽입되어져 있는 저화질의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터넷상에서는 JPEG 압축형태의 영상들이 많이 유통된다. 본 논문에서는 JPEG 압축데이터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리버서블 워터마크를 수행한다. 사용된 알고리즘은 삽입영역을 선정하여 Shift기법을 이용하여 워터마크 삽입하고 추출하였다. 실험결과 256*256 lena 영상을 QF 10-99사이에서 1600-2900 비트가 삽입되었고 워터마크 검출 및 복원은 완벽하게 되었다.

  • PDF

The comparative algorithm of the design data in the photomask inspection machine with high resolution (Photomask 고해상도 검사기에서 설계 데이터 비교 알고리즘)

  • Kim, Hoi-Sub;Oh, Chang-Seog;Ahn, Tae-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v.10 no.1
    • /
    • pp.1-9
    • /
    • 2006
  • Three categories such as the design of a machine, control and software are necessary in the development of the photomask inspection machine with high resolution. Among them, the design of a software detects inferiority through the comparison of CAD data and real data read by camera from photomask. The block matching algorithm is used since the domain is large and the comparison of data by pixel is accomplished. To correct the error arising from the assembly of a machine, calibration algorithm is used and prefocusing algorithm is suggested to correct the surface of the photomask.

  • PDF

Extraction of camera Motions Using Parameterized Model (파라미터 모델을 이용한 카메라의 동작 추출)

  • 장석우;최형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8.03a
    • /
    • pp.161-164
    • /
    • 1998
  • 카메라이 동작 정보는 컴퓨터 비전, 영상 코딩 및 비디오 검색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강력하고 중요한 특징이다. 특히, 최근에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는 내용기반 비디오 검색을 위한 자동색인에서 장면전환 검출이나 이동 물체의 동작 정보 추출 등에 값지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파라미터 모델을 이용해서 카메라의 동작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영상의 공간적인 특성을 고려하면서 전체 과정의 속도를 탐색 영역 내에서 동적 백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동작 벡터를 파라미터 모델에 적용하여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카메라의 동작을 파라미터들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정의하므로써 최종적인 카메라의 동작을 추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계산 시간상의 비용을 축소시켰고, 화소 단위가 아니라 셀 단위로 카메라의 동작을 추출하므로 다른 방법에 비해 잡음에 보다 강건하다. 또한, 이동 물체의 움직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대한 배재한다.

  • PDF

Human Friendly Recognition and Editing Support System of Korean Language (인간에게 친밀한 한글 인식 및 편집 지원시스템)

  • Sohn, Yo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7 no.4
    • /
    • pp.494-499
    • /
    • 2007
  • In this paper we realized a system, if a user selects the area of the important parts or the arrangement parts when he reads the books or the papers, which amends, stores and readjusts the characters that are included in the selected area by outputting the characters to the word processor in sequence. If a user selects what he wishes lot with his finger, the system detects the movement of the finger by applying the hand recognition algorithm and recognizes the selected area. The system converts the distance of the width and the length of the selected area to the number of the pulse, and controls the motor to move the camera at the position. After the system scales up/down the zoom to be able to recognize the character and controls the focus to the regulated zoom closely, it controls the focus in detail to get more distinct image by using the difference of the light and darkness. We realize the recognition and editing support system of korean language that converts the obtained images to the document by applying the character recognition algorithm and arrange the important p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