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등수학 도형영역

Search Result 8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Development of Rich Internet Application in the Space Figure of Elementary Mathematics (초등학교 수학과 입체도형 영역의 학습 RIA의 개발)

  • You, Tae-Ho;Kim, Kab-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1a
    • /
    • pp.192-197
    • /
    • 2008
  • 초등학교 수학과 도형 학습은 매우 추상적인 분야로 직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구체적인 조작이 요구되는데, 그 중에서 컴퓨터를 활용한 도형 학습은 학생들의 구체물을 이용한 학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Flex와 Flash를 이용하면 입체도형의 가상물의 제작 및 동적인 학습은 물론 사용상의 제약이 적어 시,공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과 제 7차 교육과정의 입체도형 영역을 분석하여 학습요소를 추출하고 플래시의 드로잉 메서드를 바탕으로 학습요소별로 속성과 메서드를 정의하고 클래스를 설계하여 입체도형 객체를 생성하고 플렉스의 컴포넌트로 구성된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틀을 설계하여 입체도형 객체가 플렉스의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 개발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첫째, 초등학교 수학과 수준에 맞는 속성과 메서드를 갖도록 개발한 입체도형 객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입체도형에 자유로운 탐구활동 기회를 제공하여 보다 직관적이고 구체적으로 도형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둘째, 플렉스를 활용함으로서 학습자의 쉬운 접근을 돕고 학습 어플리케이션 틀을 활용하여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수학과 플래시 파일들을 활용한 다른 수학과 영역의 학습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개발의 시간과 노력을 단축시키는데 있다.

  • PDF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도형영역 교수단위 추출 연구

  • Kim, Hyeo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
    • 2010.08a
    • /
    • pp.143-156
    • /
    • 2010
  •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수학교육과정도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잘 대처하기 위해서 교사는 수학교육의 방향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함께 수학, 교육학, 심리학 등 수학교육과 관련된 학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교사에 대한 시대적인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으로 Wittmann(1984)은 수학교과의 특성상 변하지 않는 요소들을 교수단위(Teaching Units)라 하고, 수학교육을 통합시키는 개념으로 교수단위이론으로 제시하였다. 교수단위는 수학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들을 목적, 자료, 활동, 배경 등의 4요소에 따라 작은 단위로 조직화한 것으로, 이를 통해 수학연구자나 교사는 가르쳐야 할 내용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와 체계적인 조직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나아가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도형영역의 교수단위를 학년별로 추출하고, 추출된 교수단위의 특징과 제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수단위가 수학교육과정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도형영역의 교수단위(TU)는 특징과 제목에 따라 '개념알기형', '개념적용형', '관계알기형'의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의 도형영역 교육과정은 대체로 개념알기형, 개념적용형, 관계알기형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념적용형이 개념알기형보다 조금 더 많다. 이는 도형영역 교육과정이 학습한 개념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여러 활동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도형의 개념을 좀 더 명확하게 알게 되는 초등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교수단위(TU)는 수업자가 도형학습주제에 맞게 수업을 재구성하거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수준별 맞춤자료를 제작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수학연구자들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수립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교수단위는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고 계속 보완되고 진화될 수 있는 모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많은 수학연구자나 현장교사의 참여로 교수단위가 보다 더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추출된 교수단위를 교사나 학생들이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용 소프트웨어로 개발하려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Presented in Shapes Area and Measurement Area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초등수학 교과서의 도형 및 측정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특성)

  • Do, Joowo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5 no.4
    • /
    • pp.313-32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presented in shapes area and Measurement area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e types of questions presented in shapes area and measurement area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their working function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by area and by grade clust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questions per lesson increased sharply in the 3rd and 4th grade cluster compared to the 1st and 2nd grade cluster in both shapes area and measurement area. In these two areas, the most common reasoning questions are presented. It is presented relatively more in measurement area than in shapes area.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questions presented in shapes area and measurement area. In common with the two areas, questions mainly were acted as a function to help students learn to reason mathematically, a function to help students to determine whether something is mathematically correct, and a function to help students learn to conjecture, invent, and solve probl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identified in this study can provide teaching/learning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questions suitable for the guidance of shapes area and measurement area, and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when writing mathematics textbooks.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and China: Focused on the area of Geometry (우리나라와 중국의 초등수학 교과서의 도형영역 비교.분석)

  • Yu, Jaehyuk;Lee, Daehyu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6 no.1
    • /
    • pp.57-70
    • /
    • 2013
  • This study is aimed to compare the area of geometry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and china.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some guidelines in order to develop geometric curriculum and textbooks in korea and to search for more efficient methods of learning mathematics. For this, we have looked throug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geometry domain in mathematics curriculums and the textbooks in korea and china. Furthermore, we have fou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hile comparing specific contents in the two countries.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is divided into 'figure' domain, but the one in china is divided into 'space and figure' domain, which deals with figure and measurement. And china constructs the contents of the basic figure as a whole unit. Second, korea gives clear learning aims about contents whereas china gives learning activities. Lastly, when starting teaching a plain figure, korea focuses on checking and finding definitions and characters through fundamental figures. However, china focuses on figuring out components and the relations among them throughout various plain figure activities.

A Study of Improvement of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and Achievement through 3D Software Application - Focused on Diagram area in 6 Grade Elementary School - (3D 탐구형 소프트웨어 활용을 통한 수학적 사고력 및 수학 성취도 향상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

  • Lee, Hye-Mi;Hong, Ki-Che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1a
    • /
    • pp.198-205
    • /
    • 2008
  • 오늘날과 같은 지식 정보화 사회는 지식과 정보를 기초로 한 사회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래서 교육현장에서도 학습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정보의 주체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특히 수학 교과 내용 중 도형 영역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각적 경험과 탐구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Sketchup이라는 상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도형 영역에 적용시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학생들이 수학을 재미있고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방안을 내세우기란 쉽지 않지만,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수학과목의 도형영역에 대한 수학적 사고력과 성취도를 높이고 Sketchup과 같은 탐구형 소프트웨어의 효과적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마련할 수 있는 기틀이 되고자 한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a in Korea, China, Japan, and USA (한국·중국·일본·미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 Pang, JeongSuk;Lee, Ji-young;Lee, Sang Mi;Park, Youngeun;Kim, SuKyoung;Choi, InYoung;SunWoo, Jin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8 no.3
    • /
    • pp.311-334
    • /
    • 2015
  • This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 of Korea, China, Japan, and USA, as a part of efforts to compose contents of global elementary mathematics. This paper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of mathematical contents in the domain of geometry. On the basi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this paper included implications that are expected to be informative in the revision of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A Study on Defining and Naming of the Figure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 focusing to 4th grade Geometric Domains- (정의하기와 이름짓기를 통한 도형의 이해 고찰 -초등학교 4학년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 Choi, Su Im;Kim, Sung Joon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5 no.4
    • /
    • pp.719-745
    • /
    • 2012
  • This research is a study on student's understanding fundamental conception of mathematical curriculum, especially in geometry domain. The goal of researching is to analyze student's wrong conception about that domain and get the mathematical teaching method. We developed various questions of descriptive assessment. Then we set up the term, procedure of research for the understanding student's knowledge of geometry. And we figured out the student's understanding extent through analysing questions of descriptive assessment in geometry. In this research, we concluded that most of students are having difficulty with defining the fundamental conception of mathematics, especially in geometry. Almost all the students defined the fundamental conceptions of mathematics obscurely and sometimes even missed indispensable properties. Prior to this study, we couldn't identify this problem. Here are some suggestions. First, take time to reflect on your previous mathematics method. And then compile some well-selected questions of descriptive assessment that tell us more about student's understanding in geometry.

  • PDF

Study on California Common Core States Standards for Mathematics -Focused on the Geometry Domain of Elementary School-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수학과 교육과정 고찰 - 초등학교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

  • Kang, Hong Jae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0 no.2
    • /
    • pp.239-257
    • /
    • 2016
  • The Common Core States Standards was developed by building on the best state standards in the U.S.; examining the expectations of other highperforming countries around world; and carefully studying the research and literature available on what students need to know. The Common Core States Standards for Mathematics are reshap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in California classroom using the California Common Core States Standards for Mathematics(CA CCSS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serve CA CCSSM. The CA CCSSM were established to address the problem of having a curriculum that is 'a mile wide and an inch deep'. And it have two types of standards. One is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which are the same at each grade level, the other is standards for mathematical content which are different at each grade level. This study focused on standards for mathematical content, in particular, on Geometry domain in elementary level, using Mathematics Framework for California Public Schools.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Learning Objects of Geometry Based on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기반 도형영역 학습 객체 개발 및 적용)

  • Lee, SangYoon;Kim, Kap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6 no.4
    • /
    • pp.451-462
    • /
    • 2012
  • In this study, our primary areas of mathematical shapes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sixth grade math and geometry around the area in addition to the real world, the virtual objects to explore on their own learning, heuristic principles and learning concepts are developed. To this end, second-class sixth grade in Seoul class M is selected and the area of Augmented Reality class shape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ure to affect how much agreed. experimental study was developed and then applied to the actual class content across pre and post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subsequent academic achievement leve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an the class of interested students and class satisfaction, a statistically higher achievement. Learning on augmented reality, which shapes have the gumption to participate in classes, and concepts related to shape the formation and indicates that academic achievement is rel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