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교과서

검색결과 928건 처리시간 0.022초

이분모분수 덧셈의 핵심 아이디어에 대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이해 (Fifth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on the Big Ideas Related to Addition of Fractions with Different Denominators)

  • 이지영;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4호
    • /
    • pp.793-81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로 이분모분수의 덧셈을 학습한 학생들이 이분모분수의 덧셈에서 전체 단위의 고정성, 통분의 필요성, 재귀적 분할 및 이분모분수 덧셈의 알고리즘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5명의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분모분수 덧셈의 핵심 아이디어에 절차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일부 학생들은 이분모분수의 덧셈 상황에 양적으로 접근하고 단위의 구조에 초점을 맞추면서 이분모분수의 의미 및 알고리즘을 개념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분모분수의 덧셈 지도 방안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본 교사의 발문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Questioning Focused on Mathematical Creativity)

  • 한정민;박만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65-88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도형영역 수업에서 수학적 창의성의 관점에서 교사의 발문 특성을 분석하고, 수업에서 사용되는 자료와 수업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교사 발문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교사의 발문은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 수학적 사고력 향상, 수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나, 수학교육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사의 발문에 관련한 구체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우리나라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4학년 1학기 도형 영역의 삼각형을 주제로 교과서에서 제시한 발문 내용을 분석하고, 실제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교사 발문의 실태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제주교육인터넷 방송국에 탑재 되어 있는 7차 교육과정에 의한 4학년 1학기, 2학기 도형 관련 3개의 수업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사 발문의 특성을 창의성의 하위 요소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관찰 대상 교사들은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으로는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해서 교사는 학생들이 다양하게 사고할 수 있도록 자극할 수 있는 발문을 준비하고, 수업 진행시 하나의 발문에 대해 다수의 반응을 유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증강현실 조합형 마커시스템의 교육효과분석 (Analysis of Educational Effects in Augmented Reality Combined Marker System)

  • 고영남;김종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73-382
    • /
    • 2012
  • 컴퓨팅 기술발달에 따른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교육용 매체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증강현실 콘텐츠는 학습자의 조작활동을 통한 3차원 입체영상을 제공하여 현실감 있는 정보 제공과 학습 경험을 확장시킬 수 있는 교육매체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직접적인 조작활동 강화 및 객체 간의 관계 탐구 향상을 위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증강현실 객체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증강현실 조합형 마커시스템을 제작하였다. 교실수업에서 초등교과서 5학년 과학교과의 "지구와 달" 단원의 학습 콘텐츠로 사용하였으며,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개발된 증강현실 조합형 마커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주의집중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내재적 만족도를 강화하였고, 특히 학습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서 학업성취도의 주요 요소인 지식과 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다.

  • PDF

초등학교 자연과 생물 영역의 교육 목표 분석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on Elementary School Biology)

  • 심규철;이현욱;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39-544
    • /
    • 1998
  • 교육 목표 영역으로 설정된 부분이 실제 각 단원, 소단원 그리고 수업 차시 목표에 균형있게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제 6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초등학교 자연과 생물 영역의 수업 목표를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교육목표설정 영역은 인지적 영역, 탐구과정 영역, 수공적 기능 영역, 창의성 영역, 정의적 영역과 STS 영역 등 6개이다. 인지적 영역의 교육목표가 가장 많았으나, 창의성 영역에 해당하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단원 목표와 소단원 목표에서는 인지적 영역, 탐구과정 영역, 정의 영역, 수공적 기능 영역, STS 영역 순으로 비중이 높았으나, 차시 수업 목표에서는 인지적 영역과 탐구 과정 영역이 대부분이었다. 목표 영역 중에서 인지적 영역과 탐구과정 영역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단원, 소단원과 차시의 수업 목표의 연계성이 부족하였으며, 특히 정의적 영역에서는 대단원, 소단원, 차시 수준으로 갈수록 그 비중이 급속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목표 설정 영역의 형식적인 구분보다는 교과서의 개발시 목표 영역의 일관성 있고, 균형 있는 반영을 고려해야 하며, 또한 목표 설정 영역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안배가 요구된다.

  • PDF

공통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연계를 통한 초등학교 음악과 통합수업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for Inclusive Music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by Linking the Common Curriculum and the Basic Curriculum)

  • 원초롱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1호
    • /
    • pp.69-92
    • /
    • 2022
  • 본 연구는 통합학급의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공통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연계를 통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맞춤형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특성 및 교육적 요구 분석, 음악과 공통 교육과정 및 기본 교육과정 분석,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세분화된 평가준거 성취기준 설정, 공통 교육과정 및 기본 교육과정의 음악과 교과서 분석, 음악과 단원의 교육활동 재구성, 맞춤형 음악과 수업 실시의 6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하여 학교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적 필요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과정 : 라이트봇 게임과 고전 미로 게임으로 시작하기 (Programming Language Curriculum for Computational Thinking : Starting with Lightbot hour and Classic maze)

  • 전병우;신승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987-994
    • /
    • 2021
  • 컴퓨팅 사고력은 분석적 사고 능력으로, 누구에게나 또 어디에서나 필요한 능력이다. 실과 교과서에 제공되어 있는 기존의 컴퓨팅 사고력 개발 교육은 절차적 사고 능력 신장을 위한 언플러그드 활동에서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로 이어진다. 다수의 언플러그드 활동은 놀이를 통한 순차적 사고 과정 연습에 초점을 두어 프로그래밍 언어에 필수적인 추상화나 자동화 과정에 대한 학습이 부족할 수 있다. 또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초등 교육과정에 소개되지 않는 좌표 평면 등의 개념이 등장하여 학생들이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 자체에 부담감을 느끼게 만들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에 기반한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을 통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개발을 위한 수업을 설계하였다. 수업 결과와 그 효과성은 비버챌린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이 수업 전보다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지적 도구로서의 사칙계산기 활용 (Utilizing Calculators as Cognitive Tool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이화영;장경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157-178
    • /
    • 2015
  • 이 논문에서는 계산기에 대하여 복잡한 계산 수행 뿐 아니라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탐구할 수 있는 인지적 학습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계산기가 인지적 공학 도구이며 교수-학습 도구임을 밝혔으며, 국내외의 수학교육과정에서의 계산기 활용 실태를 살펴보았다. 실제적으로 인지적 학습 도구로서의 계산기의 역할을 관찰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수학에서 계산기 활동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3학년, 5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실험 활동을 실시하였다. 활동 결과, 사칙계산기가 지필환경에서는 가능하지 않은 패턴 인식을 통한 귀납, 추론, 원리 탐구를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추어 지필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기존 교과서의 제시 방식에 대안이 될 수 있는 발견적 방식을 대비하여 논의하였다.

초등학교 국정 교과서의 한의학 관련 내용에 관한 분석 연구 (The Analysis of Contents Relevant to Korean Medicine in Elementary School National Textbooks)

  • 김희준;김민유;김기봉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2-39
    • /
    • 2014
  • Objectives: Elementary school national textbooks of 2013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contents related to Korean medicine in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ethods: The contents related to Korean medicine were identified in the 118 elementary school national textbooks of 2013, and their proportion in the total textbooks was calculated. The Korean medicine-related contents were also analyzed. Results: There were twelve parts related to Korean medicine in seven chapters in six courses, and four directly related words and eight indirectly related words were found in twelve parts. The total number of lines for the contents related to Korean medicine were 205, which occupied 0.063% in the total elementary school national textbooks. The contents occupied 0.013% in the second grade, 0.265% in the third grade, 0.036% in the fourth grade, and 0.042% in the fifth grade.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overage of Korean medicine in the elementary school national textbooks in 2013 does not provide enough information on Korean medicine. To help people get to know about Korean medicine and use it in the right way, it would be necessary to include more information about Korean medicine in textbooks, and continuous interest as well as research will be needed.

한국과 핀란드 초등과학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ystem and Contents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Finland)

  • 권치순;조한수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4-141
    • /
    • 2011
  •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llustrations and contents in the 3rd-6th grad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Finland. The analysis of the types and illustrations in the Korean and Finnish textbooks revealed that the textbooks of both counties provide many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so as to deliver data mainly in the form of realistic illustration. In Korean textbooks, photographs were mainly used to guide the students into experiments and to train the students in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In contrast, the Finnish textbooks place more emphasis on pictures and photographs to enhance their interests and curiosity and understand. The Korean textbooks should place more emphasis on the pictures in order to encourag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nterest and understand. As a result the addition of more diverse forms of illustrations and the re-organization of illustrations according to the topic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Korean textbooks.

디지털교과서의 학습만족에 대한 장의존 및 장독립적 인지양식의 조절효과 검증 (The Moderating Effects of Field-dependence and Field-independence Cognitive Style of Learning Satisfaction of Digital Textbook)

  • 김수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3호
    • /
    • pp.79-93
    • /
    • 2010
  •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의 정보품질과 시스템품질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양식 관련요인들, 특히 장의존 및 장독립적 요인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광역시에서 거주하는 초등학교 5학년, 6학년학생들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현재 디지털교과서 연구시범학교에서 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 325명으로부터 자료를 얻어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디지털교과서의 학습만족이 정보품질과 시스템품질의 만족도에 영향력을 받을 때, 인지양식 변수들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받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