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단판단

검색결과 888건 처리시간 0.026초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교육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to the academic achievement)

  • 유지연;박창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123-139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통계청에서 실시한 2011년도 사교육비 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학생의 학업성취도,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보완 사교육비, 일반 사교육비 사이의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구조적 효과가 성, 지역, 학교급 집단 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모형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사교육에 대한 지출이 커지는 경향이 있지만 학업성취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성, 지역, 학교 집단 모두 학생의 학업성취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교육비의 집단 간 구조적 효과의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 현상 중에서 학업에 대한 열의가 사교육으로 많이 집중되어 나타나는 사교육 문제에 있어 학생의 학업성취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교육비가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을 2011년 사교육비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교통관리자의 자기평가에 근거한 교통관리 평가 (Evaluation of Traffic Management Status Based on Self-Evaluation by Practitioners)

  • 오흥운;오승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5D호
    • /
    • pp.641-648
    • /
    • 2011
  • 교통관리업무에서는 교통관리지원 장비뿐만 아니라 교통관리자 개인의 판단, 지식의 역량 등 인적요소에 의하여 교통성과의 차이가 난다. 따라서 특정조직에서 교통관리 소속원의 자기평가는 교통관리조직의 성과진단 혹은 상태진단을 하는 간접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국내 다양한 교통관리집단과 일본특정교통관리집단의 자기평가를 통하여 국내 특정 도시간선도로관리기관의 교통관리 상태를 평가하여 적정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로서 국내 간선도로관리집단의 조직이 성과, 활동, 미래지향성, 고객 지향성 등에서 다른 집단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집단에 대하여 근무지별로 상세 평가를 하였다. 근무지별로는 본부, 지역본부, 현장, 정보센타, 연구원으로 구분하였다. 근무자들은 소속된 근무지의 교통관리 특성에 맞게 다양한 교통관리 요소의 개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신한류에 대한 Psychographics에 따른 시장세분화 -중국인 및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Neo-Han Ryu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Psychographic profile among Chinese and Japanese visitors)

  • 정희진;백용창;이계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006-3015
    • /
    • 2011
  • 국가의 브랜드 파워와 국가 이미지를 강화시킬 수 있는 문화원천으로 판단되는 신한류는 꾸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신한류의 주요 소비자인 일본 및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신한류에 관한 관여 요인, 신념, 태도 요인을 근거하여 이들 집단들을 세분화하고, 한국관광에 대한 만족도, 충성도 및 여행경비 등의 관광행동에 있어서의 차이와, 각 집단별로 다양한 장르의 신한류 참여활동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신한류에 관한 적극적인 관여와 신념, 태도를 보이는 집단이 한국을 재방문하고자 하는 계획과 의도 및 주변인들에게 한국 방문에 대한 추천의사가 매우 높았으며 이러한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방문 시 지출하는 금액이 많다는 결과를 토대로 신한류가 갖고 있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입증하였다.

중학교 과학 수업의 온.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효과 (Effects of cooperative Blended learning in secondary science instruction)

  • 김성완;권소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249-252
    • /
    • 2011
  • 이 연구는 중학교 과학 수업의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에 대한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과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의 수행에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중학교 1학년 과학 내용 중에서 연구 단원을 선정하여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한 'K'중학교 1학년 학생들 중에서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와 학습태도 검사에 의해 동질집단으로 확인된 2개 학습 79명이다. 연구대상 중 1개 학습 40명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의 실험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기존의 면대면 협동학습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변화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Ver.12.0을 이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하였고, 학습태도는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의 결과 첫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면대면 협동학습과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실험집단이 면대면 협동학습 통제집단보다 학업성취도의 하위 영역 중 기억 영역에 그 효과성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면대면 협동학습과 학습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첫째,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료 수집, 분석, 정리 단계에서 정보의 공유를 통해 적극적으로 학습을 유도하였다고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이 면대면 협동학습보다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학습태도에 효과적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 따라서 학습자의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교수 학습방법을 다각화하고 교과와 학습목표에 맞는 적절한 학습방법의 지속적 활용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MBTI의 인식기능(S/N), 판단기능(T/F)에 대한 PR-VEP 특성연구 (Study about PR-VEP Characteristics on Perception Function and Judgement Function of MBTI)

  • 설지용;박병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485-549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MBTI의 인식기능(S/N)과 판단기능(T/F)에 대한 문양역전 시각유발전위(PR-VEP)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36명을 대상으로 2013년 7월부터 8월까지 2개월 동안 PR-VEP와 MBTI검사를 실시하였다. PR-VEP검사는 32채널 뇌파측정기를 이용하여 O1, O2에서 측정하였고, MBTI검사는 Form-M 온라인검사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S지표 선호집단에서 PR-VEP의 N75와 P100 사이의 시간간격(Duration)이 5.49 ms 유의미하게 짧았고, F지표 선호집단에서 PR-VEP의 N75가 나타나기까지의 잠복기(Latency)가 O1에서 4.83 ms, O2에서 4.27 ms 유의미하게 짧았다. 이는 S유형과 F유형의 특징이 시각적 인지기능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MBTI의 인식기능/판단기능 각 지표에 대한 뇌과학적 해석을 더할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가 갖는 의의이다.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Oxidase I 유전자 마커에 의한 한국.중국 낙지의 종판별 및 집단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Genetic Structure of Octopus minor from Korea and China on the Basis of Partial Sequences of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 강정하;유기환;김상규;박중연;김봉석;안철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5-290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무안, 태안, 여수, 제주 지역 및 중국 영성, 대련 지역의 낙지 개체군의 종 및 집단분석을 위해 미토콘드리아 CO1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유전자 분석은 총 60 개체로부터 6개의 haplotype이 조사되었다. 제주 개체군인 경우 모든 개체 (N = 10) 가 다른 집단에서는 관찰되지 않은 A haplotype으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지역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들 haplotype은 MEGA 4 분석에 의해 두 개의 clade로 나뉘어지는데 하나는 무안, 태안, 여수, 중국 대련집단이었고 다른 하나는 제주, 중국 영성집단으로 나뉘는 구조를 하고 있었다. 집단 간 유연관계 분석에서도 같은 현상이 관찰되었다. Group A에 속하는 무안, 태안, 여수, 대련 집단의 낙지 개체군은 group B (제주, 영성) 에 속하는 집단 개체군 보다 유전적 거리가 아주 가까웠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CO1 universal primer는 종 판별 유전자 마커로서 낙지류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었으나 partial CO1 유전자 내의 변이가 많지 않기 때문에 집단분석에는 한계가 있으나, 지역적 거리 및 장벽 그리고 서식지 차이 등에서 오는 제한적 gene flow에 대한 논의는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새로운 자원관리 및 환경 패러다임에 대한 산림정책 이해관계자 집단의 태도 (Attitudes of Korean Forest Policy Interest Groups toward the New Environment and Resource Management Paradigms)

  • 김용하;김세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4호
    • /
    • pp.374-384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 산림청의 다양한 이해관계자 집단이 서구사회에서 제기되고 있는 새로운 자원관리 패러다임 및 환경 패러다임에 대해 어떤 태도를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2차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1차 조사는 1995년도 9월부터 11월까지 산주단체, 임산업단체, 한국산악회, 자연공원협회, 임정연구회 등 5개 집단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2차 조사는 2006년도 12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임업후계자협회 강원지회, 강릉 생명의숲, 백두대간보전회 등 3개 집단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해관계자 집단에 따라 산림의 다목적 이용,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과 산림자원관리 패러다임 등에 대한 태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산주단체, 임산업단체, 임업후계자협회 등과 같이 목재생산 중심의 임업을 중시하는 집단은 자연공원협회, 생명의숲, 한국산악회, 백두대간보전회 등과 같은 환경보전 지향적인 집단에 비해 산림의 다목적 이용을 더 선호하는 반면 새로운 자원관리 패러다임과 환경 패러다임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을 지지하는 선구집단은 환경보전단체라는 기존의 연구 결과들과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산림정책 방향 설정과 산림자원의 이용과 관리방식 결정 등과 관련된 한국의 산림정책 이해관계자 집단의 태도를 이해하는데 좋은 정보를 제공해 주며, 앞으로 산림자원관리와 관련된 정책결정에 있어서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수학과 CAI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AI program Model And Its Application)

  • 강희태;권연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권1호
    • /
    • pp.53-64
    • /
    • 1998
  • 수준별 학습자에 따른 CAI 프로그램 요소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CAI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CAI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단원 3. 시간과 각도 중에서 '각도 4차시' 분에 대하여 하나는 열린 문제를 포함하는 'CAI 프로그램 1'을 개발하였고, 두 번째는 기존의 방법으로 'CAI 프로그램 2'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 대상은 안동송현초등학교 4학년 243명 (실험 집단 122명, 비교 집단 121명)을 선택하였으며, 통제 변인은 CAI 프로그램의 종류만 다르게 하였다. CAI 프로그램 적용 결과의 자료 분석은 t 검증과 학습자 면담을 병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우수아 집단에서는 p<.0023 수준에서 t<3.2268로, 보통아 집단에서는 p<.0706 수준에서 t<1.8211로 'CAI 프로그램 1'을 투입한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나, 부진아 집단에서는 p<.8073 수준에서 t<.2458로 의미 있는 차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면담 결과 우수아, 보통아 집단의 경우에는 열린 문제에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석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부진아 집단의 경우에는 별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열린 간제(열린 마당, 열린 평가)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개인차에 따른 모든 집단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수학과 CAI 학습 프로그램 모형으로 열린 문제를 포함하는 'CAI 프로그램 1'의 모형을 앞으로의 CAI 프로그램 개발 시 활용할 모형으로 제시한다.

  • PDF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평가가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 변은진;전평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1권
    • /
    • pp.259-277
    • /
    • 2001
  • 본 연구는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평가가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수학적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평가 방법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소재의 C중학교 2학년 1개반과 S중학교 2학년 1개반을 임의로 선정하여 한 반은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평가 집단으로 하고 다른 한 반은 전통적 평가 집단으로 무선 할당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두 집단에게 서로 다른 유형의 평가를 실시하는 것으로, 실험집단은 개방형 문제를 평가과제로 하여 실험집단 담임 교사가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객관식 및 주관식 단답형 문제를 평가과제로 하여 비교집단 담임교사가 전통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수학적 창의력 검사로 사전 사후검사 모두 같은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사후 수학적 창의력 검사의 평균의 차를 t-검정한 결과 유의도p=.025(p < .05)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적 창의력의 각 요소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후 창의력 검사의 각 요소별로 평균의 차를 t-검정한 결과, 유창성과 융통성은 각각 유의도 p=.030, p=.040으로 p <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독창성은 유의도 p=.052로 p <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평가가 전통적 평가보다 수학적 창의력 향상에 더 효과적이며, 수학적 창의력의 세 가지 요소(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의 향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평가가 수학적 창의력 신장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질공학적 특성의 위도별, 깊이별 변화는 탄산질 퇴적물과 규질 퇴적물의 분포, 수층의 생산성 및 수심변화에 따른 용해도와 퇴적을 차이 그리고 침식 및 재퇴적작용 등 퇴적 과정이 위도별로 달랐기 때문으로 판단된다.haetoceros resting spores/Chaetoceroe vegetative cells도 80 cm 보다 상층에서는 높게 나타나 규조온도지수 분포와도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상의 규조군집 분석 결과에 의하면, 홀로세의 후빙기동안 본 연구 지역인 동해 북동부에는 대마 난류의 유입이후 현재와 유사한 환경이 우세하게 발달했으나, 난류종 P. doliolus의 변화는 동해내에서 대마난류의 세기가 반복되었음을 지시하고 있다./3 수준으로 높다. 결론적으로 풍부한 화학물질들을 함유한 제주해류는 남해 및 동해의 생지화학적 과정들에 있어 상당히 중요함을 시사한다.다. 수조 상층수 중 Cu, Cd, As 농도는 모든 FW, SW수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관성 있게 감소하였고, 제거속도는 Cu가 다른 원소에 비해 빨랐다. 제거속도는 FW 3개 수조 중 FW5&6에서 세 원소 모두 가장 느렸고, SW 3개 수조 중에서는 SW1&2에서 가장 빨랐다. SW와 FW간 제거속도 차이는 세 원소 모두 명확치 않았다 Cr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SW에서는 실험 초기에 감소하다 24시간 이후에는 증가 후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Pb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SW에서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 후 다시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Pb 또한 Cu, Cd, As와 마찬가지로 SW1&2에서 제거속도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FW 상층수 중 Hg는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했고,

  • PDF

유기성 슬러지 먹이에 대한 두 근연종인 줄지렁이(Eisenia fetida)와 붉은줄지렁이(Eisenia andrei)의 생식반응 비교 (A comparison of the reproduction of two closely related species, tiger worm(Eisenia fetida) and red tiger worm(Eisenia andrei) when the organic sludge was suppied to them)

  • 배윤환;신현곤
    • 유기물자원화
    • /
    • 제29권3호
    • /
    • pp.27-33
    • /
    • 2021
  • CO I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경북농약연구소에서 독성실험에 이용되고 있는 경주집단 Eisenia속 지렁이의 '분자생물학적 종'은 줄지렁이(E. fetida)로 동정되었고 유기성 폐기물 재활용에 활용되고 있는 영동집단 Eisenia속 지렁이의 '분자생물학적 종'은 붉은줄지렁이(E. andrei)로 동정되었다. 이들 두 분자생물학적 종의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생식반응을 비교한 결과 줄지렁이 집단의 산란률과 차세대 성충으로의 성장률이 붉은줄지렁이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거나 또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 교잡 후 생산되는 산란수나 차세대 성충 생산수는 같은 집단내 개체들로부터 생산된 것들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줄지렁이 집단과 붉은줄지렁이 집단 간에 완전한 생식적 격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이 두 집단 간에 생물학적 종분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