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접간호중재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6초

가정간호를 위한 간호과정 정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Nursing Process Information System for the Home Health Care)

  • 조현;강인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126-1132
    • /
    • 2009
  • 본 연구는 가정간호사의 표준간호중재를 개발하여 이를 근거로 각각의 진단과 연결된 중재를 분류하고 프로토콜을 전산화하여 사용함으로써 의료기관간, 또한 의료인간의 격차를 없애고 서비스의 질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은 크게 가정간호 표준중재 개발과정과 개발된 가정간호 표준중재 프로토콜을 전산화하는 과정으로 나누었는데, 가정간호 표준중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국내외 가정간호사의 직무분석, 대상자 사정 프로토콜 개발, 대상자 진단 프로토콜 개발, 대상자 중재 프로토콜 개발의 4가지 연구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가정간호 표준 중재 프로토콜을 전산화하는 과정으로, 크게 가정간호 정보시스템을 위한 전략수립과 가정간호 정보시스템의 분석, 설계, 운영 및 평가 등의 4개 연구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P시에서 가정간호사업 실시 기관에 근무하는 가정간호사를 대상으로, 가정간호 정보시스템 매뉴얼을 사용하여 직접 시범, 교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준 가정간호중재에 속하는 구성요소를 가정간호정보조사지, 가정간호경과기록지, 가정간호경과요약서, 가정간호종결 요약서 양식에 포함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표준 가정간호중재가 개발됨으로써 가정간호사업부서 간의 정보교환이 용이하고 기록의 누락 및 중복을 막을 수 있으며 EMR, HMR 개발시 병원용어의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oretical substruction : 심부정맥 환자의 피로감 (Theoretical Substruction: Fatigue in Cardiac Arrhythmia Patients)

  • 강윤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430-437
    • /
    • 2001
  • 모든 질병에서 피로감은 환자가 경험하는 매우 흔한 증상으로서 임상간호현장에서 쉽게 간과 되어져왔다. 최근까지 건강관련 학문분야에서 피로감에 관한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지만. 임상간호현장에 도움이 될 만한 연구결과, 즉 임상 간호사의 간호사정과 간호중재에 지침이 되는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구체적인 연구 계획에 앞서, 연구의 이론적인 배경과 근거, 이론에서 추출된 개념, 변수와 연구 도구들간의 전체적인 일관성이 매우 중요하다. 추상적인 이론으로부터 개념과 변수를 거쳐 연구에 직접 사용될 구체적인 연구도구를 일관성 있게 선택하는 일련의 과정을 'Theoretical Substruction'이라 한다. 심부정맥환자가 지각하는 피로감에 관한 연구에 앞서, 본 글을 통해 심부정맥과 피로감의 이론적인 연관성과 이 연구를 위한 개념과 변수, 구체적인 연구도구를 선택하는 과정, Theoretical Substruction에 대해 토의될 것이며, 이에 따른 연구질문도 제의 될 것이다.

  • PDF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수행능력, 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Stress, Performance Ability, Satisfaction, and Critical Thinking on Nursing Professional Self Concept)

  • 주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213-224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 만족도, 임상 수행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 만족도, 임상 수행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직접 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수행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비판적 사고성향에 수행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임상실습 만족도에 임상 수행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직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이에 따라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의 영향 요인을 고려하여 근거중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결론에 도달하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교수법 적용과 교육환경 등 다각적인 변화와 임상 수행능력과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임상실습 스트레스 줄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f Nursing Students on Nursing Professionalism :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 정미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5-141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J소재 3개 대학교의 간호대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간호전문직관, 지각된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능력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는 대인관계능력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대인관계능력은 내현적 자기애와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은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간호전문직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강화하기 위해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국소마취 백내장 수술환자의 불안에 대한 직접간호중재로서의 손잡아주기 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s of the Hand-holding Program as an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Patients with Anxiety in Local Anesthesia)

  • 김귀분;김광주;이향련;신혜숙;채정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4권1호
    • /
    • pp.7-20
    • /
    • 1999
  • Operation usually brings about psychological stress as well as physical stress to the patient and it greatly influences the maintenance of the homeostasis. Until now, most of the nursing research concerning the anxiety of the patient undergoing an operation has been done while the patient was under general anesthesia. Under local anesthesia, the anxiety of the patient who undergone operation is short. However, there is much demand of the operational nurses to mediate between the patient who is undergoing operation when fully conscious, as they are aware of the patient's anxiety and to decrease the patient's anxiety of this local anesthesia. Therefore, this research trie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Hand-holding program on the anxiety of the operational patient undergoing local anesthesia and affirms the role of the nursing intervention. As an u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s, this research selects out 20 control groups and 21 experimental groups at random who have received cataract operation while under local anesthesia and after implementing the Hand-holding program to the experimental groups while undergoing the operation,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was observed. By observing the Epinephrine, Cortisol, blood pressure, and pulse for the physical indexes before an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hand-holding, and using the measurement of Speilberger(1972) for the psychological indicators for the anxiety of the patient before and after hand-holding,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SAS program. As a results, intervention of hand-holding had a remarkable effect to decrease the anxiety felt by the patient and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also was effectively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decrease of the systolic blood pressure was also observed,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pinephrine and Cortisol indicators, the intervention of hand-holding was revealed to have an insignificant effect. The Hand-holding was revealed to have an indicators, the intervention of Hand-holding was revealed to have an insignificant effect. The Hand-holding program may be said to have an effect which decreases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the patient undergoing local anesthesia.

  • PDF

상급종합병원과 여성전문병원 간호사의 산후 간호중재 조사 (Tertiary Hospitals' and Women's Special Hospitals' Postpartum Nursing Intervention Survey)

  • 박현순;김하운;김희정;김순익;박은혜;강남미
    • 임상간호연구
    • /
    • 제25권1호
    • /
    • pp.55-66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ssess development and postnatal care interventions in postnatal care intervention records for maternity ward nurses in tertiary hospitals and women's hospitals in South Korea. Methods: This mixed-method research was a Time-Motion (TM)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external observation of 12 nurses in 4 wards over 24 hours. Mann-Whitney U test and independent t-test were employed for the analysis of frequency and provision time of direct/indirect care activity. $x^2$ (Fisher's exact test)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frequency between two groups. IBM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was employed for calculation.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at ${\alpha}=.05$. Results: According to the KPCS-1 (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1), women's hospitals are group 3 and tertiary hospitals, group 4. With respect to time difference in direct care, tertiary hospitals showed 791 minutes and women's hospitals, 399 a difference of 392 minutes. For time difference in indirect care, women's hospitals had 2,415 minutes while tertiary hospitals, 2,080, a difference of 335 minutes for women's hospitals.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verage total care workload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Individual time also showed no difference (p>.05). Conclusion: High-risk maternal care strength in tertiary hospitals and breast-feeding strength in women's hospitals need to be benchmarked with each other.

요양병원 입원노인환자의 행복지수 영향요인에 관한 융복합 연구 (Factors influencing the happiness index of elderly patients hospitalized in nursing hospitals Convergence Research)

  • 주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413-42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입원노인환자를 대상으로 행복지수의 영향요인을 구조모형으로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G시 6개 요양병원 237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는 무력감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인지된 건강상태, 경제상태, 간호만족도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은 행복지수를 66% 설명하였다. 경제상태는 무력감, 간호만족도, 인지된 건강상태를 통해 행복지수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직접, 간접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입원기간은 무력감과 간호만족도를 통한 간접효과만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력감을 줄이고 인지된 건강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개인별 상황에 맞는 지지체계 지원 및 간호중재 제공 등 통합적인 관리체계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부모 애착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자율적 동기와 통제적 동기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 Attachment on Eating Habit among Nursing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Autonomous Motivation and Controlled Motivation)

  • 박문경;이윤정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75-82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부모 애착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동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중재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총 125명이다. 자료는 SPSS/WIN 26.0,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식습관과 자율적 동기, 부모 애착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통제적 동기는 자율적 동기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부모 애착은 자율적 동기와 식습관에 유의한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주고, 자율적 동기는 식습관에 유의한 직접적인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애착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자율적 동기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𝛽=.09, p=.003, 95% CI: 0.29~0.19).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부모 애착과 더불어 자율적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재입원 여부에 따른 심질환자의 간호요구 비교 (Comparison in nursing needs of heart disease patient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readmitted)

  • 최영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519-526
    • /
    • 2014
  • 본 연구는 재입원 여부에 따른 심질환자의 간호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2년 3월부터 6월까지 심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에게 자기 스스로 직접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입원을 경험하지 않은 신규 환자의 경우 전체 간호요구는 $4.12{\pm}.49$점, 재입원한 대상자는 $3.89{\pm}.63$ 점이었고,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46). 두 군 모두 간호요구 하위 항목 중 치료중재 간호요구항목이 다른 간호 요구 항목 보다 높았다. 또한 재입원에 따라 두 군 간에 간호 요구 하위 영역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항목이 있었고, 간호 요구 순위도 각각 달랐다. 간호요구 하위 항목 중 신체적, 사회 심리적, 교육적, 치료적 간호요구는 모두 서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이 환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요구에 기초 한 간호수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뇌졸중 환자 대상의 연하재활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연구 논문 분석 (Analyses of Studies on Swallowing Rehabilita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 곽혜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394-740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5년간(2010-2014) 뇌졸중 환자 대상 국내에서 실시된 연하재활중재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문헌검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www. riss4u.net), 국회도서관과 한국학술정보(kiss.kstudy.com)를 통해 검색하였으며, 총 12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간호학 전공 논문은 4편이었으며, 8편은 작업치료학과 등 타과 논문이었다. 논문의 질적 평가는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2013)에서 제시한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평가 틀을 이용하였다. 논문의 질적 평가내용을 종합한 결과, 10점 만점에 7점인 연구가 4편이었으며, 5-6점인 연구는 6편, 4점인 연구가 2편이었다. 연하 재활 중재내용을 분석한 결과 평균 25분을 시행하였으며, 1주일에 평균 4.1회의 빈도로 총 시행횟수는 평균 33.7회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인두를 포함한 구강 운동과 호흡운동의 포괄적 중재, 직접 삼킴 훈련이 삼킴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이를 간호학 중재로 활용하여 근거기반 간호 실무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