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장만족도

Search Result 17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직장의 교육훈련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 Training on Job Stress)

  • 최태월;강유림;조성도;정미주
    • 산업진흥연구
    • /
    • 제2권1호
    • /
    • pp.63-68
    • /
    • 2017
  • 본 연구는 직장에서 교육훈련을 1회 이상 참여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2016년 10월 10일부터 10월 28일까지 총 63부를 설문 조사 분석하였으며, 교육훈련이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였다. IBM SPSS Statistics 2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32개 문항을 사용하여 4개 요인을 도출하였고 유의확률 p=.000로 검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직장의 교육훈련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직장의 OJT 교육이 직무 스트레스 해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훈련이 업무스트레스 간의 상관성은 OJT 교육(p<.01, ${\beta}=.526$)과 Off-JT 교육(p<.01, ${\beta}=.508$)이 업무스트레스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에 따른 업무 스트레스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은 10년 이상보다 3~6년 미만이 업무스트레스에 더 민감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교육훈련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Strengths in Dual-Income Teachers)

  • 최정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3-173
    • /
    • 2006
  • 이 연구는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남지역의 맞벌이교사 289명이며,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는 7점 만점에 평균 5.22점으로서 결혼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맞벌이 기혼교사들의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관련변인은 성별, 교육수준. 종교 유무, 가족형태, 가사조력자, 자아존중감, 직업만족도 등으로 나타났다. 2. 맞벌이교사들의 가족건강성은 5점 만점에 3.88점으로 가족건강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맞벌이 교사들의 가족건강성에 유의한 관련변인은 가정의 월수입정도, 자아존중감, 직업만족도. 결혼만족도 둥으로 나타났다. 3.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족건강성도 높아져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간의 불가분의 관계를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는 양호하며 가족건강성도 높아서 직장과 가정생활을 잘 양립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의 가족건강성이 좀 더 강화되어 학생들에게 더 나은 삶의 본보기가 될 필요가 있다하겠다.

  • PDF

중년 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on Sleep Quality among Middle-aged Male Workers)

  • 김혜숙;박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615-623
    • /
    • 2017
  • 본 연구는 중년 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남지역 사업장의 중년 남성 근로자 127명이며, 자료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 보고식으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와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으로 SPSS/WIN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면의 질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직무 스트레스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무만족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 중 하위영역 직무요구, 직장문화와 직무만족 중 하위영역 직무자체가 수면의 질을 24.5% 설명하였다. 이에 중년 남성 근로자들의 수면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과 직업만족도를 높이고 직업스트레스를 줄이는 전략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대상자의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해 과도한 업무량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 방안 마련과 건전한 직장문화를 확립할 수 있도록 구성원 간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격자탐색법을 이용한 의사결정나무 분석 최적 모형 선택 : 직장예비군 지휘관의 직장만족도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Selection of the Optimal Decision Tree Model Using Grid Search Method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Workplace Reserve Force Commanders)

  • 정철우;정원영;신다윗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9-2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grid search method for selecting an optimal decision tree model. It chooses optimal values for the maximum depth of tree and the minimum number of observations that must exist in a node in order for a split to be attempted. Therefore, the grid search method guarantees building a decision tree model that shows more precise and stable classifying performance. Through empirical analysis using data of job satisfaction of workplace reserve force commanders, we show that the grid search method helps us generate an optimal decision tree model that gives us hint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labor conditions of Korean workplace reserve force commanders.

병원근무 간호사의 직장애착도와 관련요인 (Factors Affec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 제갈봉순;이성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5-73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Method: The questionnaire-based research was done with 989 hospital nurses between January and March, 2004. Results: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met expectations, compensation and welfare status of hospital, work involvement, positive affectivity had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of size, however, vertical conflict and job opportunity had negative direct effect in order of size.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listed in order of size, had significant total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met expectations, vertical conflict, compensation and welfare status of hospital, positive affectivity, work involvement, job opportunity, job autonomy, work definiteness, division justice, stability of employment, expectations before entering a hospital.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programs for job satisfaction promotion, met expectations promotion, adequate compensation and welfare of hospital, work definiteness and work autonomy, solving conflict, positive affectivity promotion should be implemented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 PDF

주5일 근무제도 실시의 노동시장 외적 효과 (A Study of the Non-market Effects of Five-day Workweek)

  • 박철성
    • 노동경제논집
    • /
    • 제37권4호
    • /
    • pp.59-88
    • /
    • 2014
  • 주5일 근무제도의 노동시장 외적 효과를 개인-일자리 고정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직장에서 주5일 근무제도의 실시는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향상시키고 운동 횟수를 늘렸으며, 직업훈련 외의 교육이나 연수를 받을 확률을 늘리고 근로자의 주관적 삶의 질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 활동이나 여가에 사용하는 지출을 늘렸으며 근로자가 일과 직장에 대해 갖는 만족도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의 상당 부분은 단순한 근로시간의 단축보다는 휴일이 추가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기혼여성 재택근무자의 가정 및 직장생활에 관한 연구 - 직장근무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amily Life and Work of Married Female Home-Based Workers - the comparison with married female out-of-home workers -)

  • 이수진;이기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7-6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 of household/work characteristics,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between home-based workers and out-of-home workers. The data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230 married womens(home-based worker : 103 cases out-of-home worker : 127 cases) living in seoul.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Home-based worker's consumption expenditure structure, wive's housework time, schedule flexibility and degree of interruption, work loa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ut-of-home workers. 2) Home-based worker's average monthly wage of her own and work tim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out-of-home jokers. 3) Home-based worker's child care satisfaction and time us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ut-of-home workers. Out-of-home worker's self-fulfillment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relation with supervisor, job stability satisfaction, work tim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home-based workers.

  • PDF

화물자동차운송업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Road Freight Transportation Industry Workers by Type of Employment)

  • 유헌종;안승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68-378
    • /
    • 2015
  • 본 연구는 화물운송업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차이를 분석함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설문항목에 대한 신뢰성 타당성 검토를 위해 신뢰성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화물자동차운송업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성 분석과 요인분석 결과 설문항목들은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분산분석 결과 비정규직과 특수형태근로 간 직업만족도 차이는 전체 항목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직업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보수/소득, 업무시간, 작업조건, 복리후생, 직장안정성 항목에서 정규직의 만족도가 비정규직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규직과 특수형태근로 간 직업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보수/소득, 업무시간, 복리후생, 건강을 돌볼 여유 항목에서 정규직의 만족도가 특수형태근로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의 직무만족도 형성에 대한 연구: 정서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및 직무성취도의 영향 (A study on the formation of worker's job-satisfacti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support, resiliency of self-efficacy, stress and job-performance)

  • 박영신;이경란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4호
    • /
    • pp.469-491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직무만족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 동료의 정서적 지원, 직장인의 어려움극복효능감과 스트레스 및 직무성취도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최종분석대상은 456명이었으며, 그 중에 중소기업 회사원이 253명(남 89명, 여 164명), 중학교 교사가 203명(남 44명, 여 159명)이었다. 측정변인의 신뢰도는 Cronbach α=.83~.91로 양호하였다. 회사원과 교사 집단 각각을 대상으로 경로분석과 효과분석을 하였을 때, 변인들간의 관계 구조가 유사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직장 동료의 정서적 지원은 직장인의 어려움극복효능감을 증진시키고, 향상된 어려움극복효능감은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직무성취도를 향상시켰다. 결과적으로 높은 어려움극복효능감과 낮은 스트레스와 높은 직무성취도는 직장인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의미있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효과분석 결과에 의하면, 어려움극복효능감이 직장인의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정적인 값의 전체효과가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직무성취도, 정서적 지원의 순서로 의미있는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변인들과 달리, 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대해 부적인 효과를 보였다.

  • PDF

피부미용사의 스트레스와 근무환경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tress and Woking Environment on Occupation Satisfaction of Skin Care Experts)

  • 최외숙;민경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663-666
    • /
    • 2011
  • 본 연구는 피부미용사들을 대상으로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스트레스가 직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근무환경 만족도, 스트레스, 직업 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피부미용사들의 직업적 긍지를 높이고 그들의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고자 시도 되었다. 전국의 여성 피부미용사 35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후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자의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40세 이상, 유배우자, 부부와 자녀가 같이 사는 경우, 대졸이상의 학력자, 고소득자, 질병이 없고 건강할수록 높았고, 직업특성별 근무환경 만족도는 복합 상가, 1~2명의 직원수, 10년 이상 근무기간, 경영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는 30~39세, 무배우자, 혼자 사는 경우, 고졸이하 학력, 저소득자, 질병이 있고 건강하지 않는 경우가 가장 높았다. 또한 5명 이상의 직원수, 근무기간이 짧은 경우, 경영자직책이 가장 높았다. 직업만족도는 40세 이상 연령이 가장 높았고 배우자 유무와 동거형태에 따라서는 유배우자와 부부와 자녀가 같이 사는 경우, 학력에서는 대졸 이상, 월 소득은 소득이 많은 경우, 거주지역에서는 대도시, 건강상태와 질병 유무에 따라서는 질병이 없고 건강한 경우 직업만족도가 높았다. 직장위치는 복합상가가 가장 높고 근무기간과 직책에 따라서는 근무기간이 길고 경영자, 직원 수는 1~2명, 피부미용업 선택이유와 장래 근무계획에서는 적성에 맞아서와 계속근무가 직업만족도가 높았다. 근무환경, 스트레스, 직업만족도에 관하여 공분산 구조분석을 한 결과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스트레스가 적었고(p<0.001),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직업만족도가 높았다(p<0.0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