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업적

검색결과 3,243건 처리시간 0.025초

직업과 조직에 관한 만족과 몰입이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and Commitmen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s at Occupation and Organization)

  • 임창희;홍용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4호
    • /
    • pp.377-39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몰입의 선행변수인 직업만족, 조직만족, 직업가치가 직업몰입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를 분석한다. 또한 몰입변수들이 직업전환의도와 조직전환의도와는 어떤 영향을 보이는지를 연구한다. 그동안 선행연구에서는 조직몰입에 대한 구성요인에 초점을 둔 연구가 많았으며, 연구초점은 세 가지 몰입을 구성하는 개념 간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직업과 조직에 대한 개념을 구분하여 만족-몰입-전환의도 간의 차이성을 밝혀보았다. 이를 위해 156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확정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직업몰입과 조직몰입의 세 가지 선행변수와 두 가지 직업전환의도와 조직전환의도 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적인 가설이 지지되었지만, 직업에 만족(몰입, 전환 의도)하는 것과 조직에 만족(몰입, 전환의도)하는 것에 작은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는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지나치게 몰입에 대한 개념을 폭넓게 정의하고 있었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직업과 조직을 구분하여 분석단위나 분석수준의 초점에 따라 판별타당성 문제까지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 PDF

과학영재 중학생들과 일반 중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 비교: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 중심으로 (The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Science-related Career Between General and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신세인;이준기;하민수;이태경;정영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673-696
    • /
    • 2015
  • 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은 이공계 직업동기와 과학학습동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미래의 국가 과학기술발전의 핵심 동력인 과학영재학생들이 지속적으로 과학을 하는데 있어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과 관련된 직종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구조화 한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두 집단의 인식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과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네트워크를 비교분석한 결과, 첫째, 과학영재들은 일반학생들에 비하여 과학과 관련된 직업의 종류에 있어 다양했으며, 직업명의 구체성이 있었다. 둘째, 물질과학자와 의사는 과학영재와 일반학생 모두의 과학관련 직업 인식망에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또한 교수, 컴퓨터 및 수학 관련 직업은 과학영재의 인식망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중심성을 나타낸 반면, 일반학생의 인식망에서는 낮은 중심성을 보이며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셋째, 기술적 직업은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인식망의 외곽에 위치하여, 학생들은 기술적 직업을 과학과 관련된 직업으로 쉽게 떠올리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영재 학생들의 진로 지도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 취업 가능성 및 관련 직업 특성 탐색 (The Possibility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at Humanities College Graduates are Employed in a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Occupations)

  • 장현진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77-99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현직자가 인식하는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직업 특성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17)'에서 이공계 현직자 2,600명이 응답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은 정보통신 및 제조 가공 분야의 일부 직업을 제외하고는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의 특성은 입직 시 학력의 중요성이 낮고, 전공의 중요성이 낮고, 자격증의 중요성이 낮고, 직업훈련의 중요성은 높으며, 경력단절 이후 복귀가 용이하고, 양성평등 수준이 높으며, 근무 환경이 쾌적하고, 고용 유지도가 높으며, 자영업으로 수행하기에 적합하고, 일자리 수가 증가 등의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인문계 대졸자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직업적인 측면의 방안으로 세부 직업 분야와 특성을 감안한 정책 설계 접근, 인문계 전공자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세부 직업의 발굴과 융합 직업의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이 때 이 연구에서 밝힌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의 취업 가능성과 직업 특성 요인들의 관련성에 대한 정보가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치위생과 신입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에 대한 요인분석 (Factor Analysis in the Work Values Types of Freshmen's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 이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5-60
    • /
    • 2004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새로운 직업가치관 유형을 구명하는데 있으며, 3개 대학 치위생과 신입생 28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242매를 분석하였다. 2차에 걸친 요인분석에 의해 직업가치관을 유형화 하였으며,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위생과 신입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은 (1) 지위 (2) 경제적 보상 (3) 사회 기여 (4) 성취 (5) 능력 (6) 직업흥미 등 6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사회기여, 성취, 능력, 직업흥미 유형은 내재적 가치관으로, 지위와 경제적 보상 유형은 외재적 직업가치관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치위생과 신입생들의 외재적 가치관(4.24점)은 내재적 가치관(3.86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4. 치위생과 신입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업가치관 유형은 경제적 보상(4.39점), 지위(4.09점), 성취(4.07점), 능력(3.98점), 직업흥미(3.91점), 사회기여(3.46점)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전공만족도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 Value and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지재훈;허성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83-193
    • /
    • 2019
  • 본 연구는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전공만족도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B 지역 내 치위생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후 SPSS 24.0 및 AMOS 24.0 프로그램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외재적 직업 가치관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정(+)의 효과와 매개변수인 전공만족도에 부(-)의 효과가, 내재적 직업가치관은 전공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정(+)의 효과가 있음이 검정되었다. 또한, 외재적 직업 가치관과 내재적 직업 가치관은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이는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한 직업 가치관 형성과 전공 만족 수준을 높여야 함을 시사하며,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진로 및 교육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융복합시대 에코부머세대의 직업 스트레스 궤적과 예측요인 (Job Stress Trajectories of the Eco-boomer Generation in the Convergence Era and Predicting Factors)

  • 손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05-409
    • /
    • 2017
  • 본 연구는 종단적 연구를 통하여 융복합시대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 변화궤적을 추정하여 예측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직업 스트레스 정도와 그 변화 따라서 개인의 경험하는 직업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사회 중심이 될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부담 완화를 위한 사회복지 개입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활용한 종단연구로서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 ~ 7차년도 데이터를 잠재성장모형(LGM)을 적용하여 분석 하였다.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 예측요인을 확인한 결과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부분 에코부머 세대의 경우 초기 측정시점이 대부분 학생에 해당되어 직업 스트레스의 수준이 덜했으나, 시간의 변화에 따라 직업에 대한 부담이 점차 증가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또한 그 변화의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와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초등학생 진로교육을 위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areer Education App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휘;전석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65-272
    • /
    • 2019
  • 과거 사회는 직업이 단순하고 사회 변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가정에서 부모님들이 진로 지도를 하고, 학교에서 진로 교육에 관한 전문적 교육과정, 지식이 없어도 진로 교육이 가능했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직업 자체가 복잡해지고 직업 안에서도 전문적 기능, 지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직업 세계에 변화가 이루어져 직업이 사라지기도 하며 존재하는 직업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세분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일과 직업에 대한 가치관을 확립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진로 교육이 매우 중요해주고 절실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재미있는 진로 교육 수업을 하기 위해 초등학교 5-6학년 군의 진로 교육 교육과정을 구현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수업의 효과를 검증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생용 직업 교육 앱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직업교육 수업이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살펴본다. 직업교육 앱을 활용한 총 8차시의 수업을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 적용했다. 그 결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그들의 직업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되었고 또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민의 직업선택모델 비교연구: 미국의 과학기술직 사례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migrant Occupational Selection Model : The Case of Scientific-technical Jobs in the U.S.)

  • 이세재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7-42
    • /
    • 2006
  • 기술집약적인 경제성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공계 진학과 과학기술직종선택의 감소는 성장잠재력에 가장 근본적인 위협이 된다. 이를 유지하려는 여러 가지 정책이 교육학적이나 사회학적 근거에서 제시되고 있으나 이를 분석하는 이론적 경험적 틀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직업선택모델은 사회학적인 접근법이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경제적 동인에 대극 분석이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2000년 미국 센서스 데이터에 나타난 가장 국제화된 미국의 과학기술직 사례를 통해 인적자본 모델을 기준으로 하여 기술직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한다. 이민의 직업선택모델의 관점에서 원주민의 경우와 비교하며, 동시에 타 직업군과 비교한다. 직업선택에서 미래소득에 대한 예측이 대체로 정확하나 실제의 선택이 다르다는 기존 논문들의 주장은 성간 차이의 문제를 제외하고는 현격하지 않다. 민족적 차이의 효과도 인적자본효과에 비해서는 크지 않다. 과학기술직은 고급 화이트칼라 직종에 비해 결혼과 교육 언어 경험면에서 저급한 직종의 특성을 보인다. 여성의 과학기술직 기피는 남성프리미엄이 높아서는 아니지만 합리적인 차별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 교사의 음성 특성과 음성장애 위험 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Voic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Voice Disorder of Korea Teachers)

  • 차슬기;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49-154
    • /
    • 2018
  • 직업적 음성 사용자들의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음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교사는 음성장애 위험이 높은 직업군에 포함되기 때문에 음성문제 발생과 음성장애 발병 요인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사의 음성 특성과 음성장애 위험 요인에 대한 체계적 연구 분석을 통해 교사의 음성장애 위험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직업', '교사', '직업적 음성 사용자', '음성', '음성장애', '위험' 키워드를 조합하여 414편의 연구가 검색되었으며 그 중 8편의 연구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질적 평가는 Qualsyst: checklist for assessing the quantitative studies 항목을 수정하여 비뚤림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음성 사용에 있어 음성의 오남용이 자주 발생하였으며 이는 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의 음성 오남용 환경 개선과 주기적인 음성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