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 개발가능량

Search Result 15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ethod of estimating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by administrative district (시군구단위의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방안)

  • Chung, Il-Moon;Yoo, Sang-Yeon;Lee, Jeong-Woo;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24-1928
    • /
    • 2008
  • 우리나라 지하수 관리 정책의 기조는 지속가능한 미래 청정 지하수의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하수의 지속적인 조사, 관측 및 체계적인 개발, 이용이 이루어지도록 추진중에 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개발가능량은 10년빈도 갈수시 소유역의 연간 함양량으로 정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준은 1996년 지하수 관리 기본계획시 정해진 기준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은 기저유출분리법, 물수지 분석법, 지하수위 강하곡선법, 분포형 수문모형기법 중 한 가지를 사용하도록 기초조사 지침에 명기되어 있으며 함양량으로부터 개발가능량을 추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결과는 주로 유역 규모의 연단위 대표 함양량을 추정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어 개정지하수법 6조 2항에 의해 시군구 단위에서 수행하는 지역 지하수 관리 계획 수립과 같은 세부계획에는 활용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지표수-지하수 결합모형인 SWAT-MODFLOW 모형을 이용하여 10년 빈도 갈수년에 해당하는 함양량으로부터 시군구별 개발가능량을 산정하고 이를 지역의 이용수량과 비교하여 과부족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Method of Estimating Conservative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보수적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방안)

  • Chung, Il-Moon;Kim, Nam Won;Lee, Jeongwoo;Lee, Jeong 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6
    • /
    • pp.1797-1806
    • /
    • 2014
  • By far, groundwater management has been conducted by 'safe yield' policy based on the estimation of annual average of groundwater recharge throughout the world. However, as groundwater recharge show spatiotemporal variation, dynamic analysis must b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ustainable groundwater resources. In this study, an integrated surface-groundwater model, SWAT-MODFLOW was used to compu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groundwater recharge in Gyungju region. Frequency analysis is adopted to evaluate the existing values of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which is made by the 10 year drought frequency rainfall multiplied by recharge coefficient. The conservative methods for estimating recharge rates of 10 year drought frequency in subbains are newly suggest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values of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This process will promote the limitations for existing precesses used for computing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Status of Exploitable Groundwater Estimations in Korea (우리나라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의 현황과 전망)

  • Chung, Il-Moon;Kim, Jitae;Lee, Jeongwoo;Chang, Sun Wo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5 no.3
    • /
    • pp.403-412
    • /
    • 2015
  • We summarize the status of exploitable groundwater reserves in Korea based on reports of the National Basic Groundwater Plan, and review methods for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rates, as recharge is a key factor in the estimation of exploitable groundwater reserves. We also outline the various methods used to assess exploitable groundwater reserves in previous groundwater investigation reports. Regarding advancements in the estimation of exploitable groundwater, we recommend that enhanced estimation methodologies (e.g., the water balance method and the advanced water table fluctuation method) and sustainable groundwater management concepts be adopted in the near future.

Potential Groundwater Resources for Coastal Aquifers (해안지역의 지하수 개발가능량)

  • Park, Nam-Sik;Hong, Sung-Hun;Seo, Kyung-Soo;Bae,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380-385
    • /
    • 2006
  • 해안 지역의 지하수 최적 개발 또는 관리 이전 단계에 수행될 수 있는 수자원 기본계획을 위한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식이 제안되었다. 산정식은 대수층 특성, 해수침투허용 거리, 지하수 해안유출량 그리고 관정의 위치 등 주요 영향 인자들의 함수이므로 매우 포괄적이며, 잘 알려진 해석 해들을 이용하였으므로 그 근거가 타당하다. 산정식은 관련 변수들의 양 함수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그 적용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근거없이 임의의 값들이 사용되던 관정의 영향반경을 대수층의 수리특성과 양수량 등의 함수로 표현한 합리적인 식이 제안되었다. 가상 유역에 대한 적용과 수치 해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제안된 식들이 보수적인 결과를 산출한다는 것을 보였다. 제안된 식들을 기존 관정들이 존재하는 유역에 적용하면 추가 개발가능량을 평가할 수 있다.

  • PDF

금강 용담, 공주, 규암 수문 자료를 이용한 기저유출 분리방식 지하수 개발 가능량 예비 산정

  • 김형수;원이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143-147
    • /
    • 2001
  • 금강 용담, 공주, 규암의 수문 자료를 활용한 최저 기저 유출 분리를 통해 금강권역 에 대한 지하수 개발 가능량을 예비적으로 산정하였다. 수문 자료 분석 결과, 전형적인 감수현상은 봄에 비해 가을에 나타나며, 본 연구에서 활용한 최저 기저 유출량은, HYSEP의 지역적 최소 방식(local minimal method)을 활용한 기저 유출량에 비해 절반 내외의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 개발 가능량은, 수 십년 간의 전형적 감수 곡선 중, 최소 값을 통해 선정된 최소 기저 유출량을, 특별한 안전율의 적용 없이 대비 시켰으며, 이 결과 금강 유역에서의 지하수 개발 가능량은 하천 유출량 대비 최소 12%에서 최대 25% 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A Method to Estimate the Cell Based Sustainable Development Yield of Groundwater (셀기반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기법)

  • Chung, Il-Moon;Kim, Nam Won;Lee, Jeongwoo;Na, Hanna;Kim, Youn-Jung;Park, Seunghyu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7 no.6
    • /
    • pp.635-643
    • /
    • 2014
  • Sustaiable development yield of groundwater in Korea has been determined according to 10 year drought frequency of groundwater recharge in the standard mid-sized watershed or relatively large area of district. Therefore, the evaluation of groundwater impact in a small watershed is hard to apply. Fot this purpose, a novel approach to estimate cell based sustainable development yield of groundwater (SDYG) is suggested and applied to Gyeongju region. Cell based groundwater recharge is computed using hydrological component analysis using the SWAT-MODFLOW which is an integrated surface water-groundwater model. To estimate the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the existing method which uses 10 year drought frequency rainfall multiplied by recharge coefficient is adopted. Cell based SDYGs are computed and summed for 143 sub-watersheds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When these SDYGs are combined with groundwater usage data, the groundwater usage rate (total usage / SDYG) shows wide local variations (7.1~108.8%) which are unseen when average rate (24%) is only evaluated. Also, it is expected that additional SDYGs in any small district could be estimated.

Groundwater Recharge According to Land Cover Change in Urban Area (도시지역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 Lee, Seung-Hyun;Bae,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13-1917
    • /
    • 2009
  • 국제사회의 분위기와 더불어 국내에서도 에너지 자원의 지속적인 개발과 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 수자원의 지속적인 확보와 개발은 가장 현실적이고 우선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수자원확보/환경/개발 및 이용 등의 여러 분야에서 그간의 정량적 성과가 하나 둘씩 도출되어 적용 단계에 이르기도 하였다. 하지만 지하수의 경우 기초자료의 미흡과 불확실성, 함양량 및 개발가능량에 대한 산정기법의 적용성 문제, 체계화된 개발 및 이용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는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지하수이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잠재적 지하수오염 가능성이 높아져 지하수환경의 악화를 초래하고 이로 인하여 하천 환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하수개발가능량의 평가 및 체계적인 이용과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나 지하수함양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지피복상태가 지속적으로 변화하여 지하수함양량에도 매년 변화가 있으며 이에 따라 개발가능량도 변하고 있어 지하수 개발과 관리 및 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광역시 수영구 일대를 대상으로 도시화 현상으로 변화하는 토지피복상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1961년부터 2007년까지의 지하수함양량 및 함양률을 산정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의 토지피복상태는 1975년 이전까지는 시가화지역이 18.6%, 농업지역이 30.0%, 산림이 48.8%, 초지가 0.1%, 나지가 2.0%, 수역이 0.5%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1980년${\sim}$1985년에 농업지역이 18.3% 감소하고 시가화지역이 15.0% 증가하는 큰 변화가 나타났으며 1995년${\sim}$2000년에도 농업지역이 5.5% 감소하고 시가화지역이 5.4% 증가하는 변화를 나타냈다. 전 연도에 걸쳐 산림지역과 초지, 나지, 수역에서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연구대상지역의 평균 강우량은 1509.3mm이고 지하수평균함양량은 216.0mm이며 지하수평균함양률은 14.3%로 나타났다. 연최대함양량은 강우량이 2138.1mm인 1970년에 408.9mm이며 연최대함양률은 강우량이 1492.6mm인 1984년에 19.8%이다. 연최소함양량은 강우량이 901.5mm인 1988년에 71.9mm이며 연최소함양률은 같은해에 8.0%로 나타났다. 또한 연도의 증가에 따라 강우량은 증가하였으나 지하수함양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Evaluation of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in Chungju Basin by Using Watershed Hydrologic Model and Frequency Analysis (유역수문모형과 빈도해석을 이용한 충주댐 상류유역 지하수 개발가능량의 평가)

  • Lee, Jeong-Eun;Kim, Nam-Won;Chung, Il-Moon;Lee, Jeong-Wo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1 no.4
    • /
    • pp.443-451
    • /
    • 2008
  • Memon(1995) pointed out that the groundwater recharge from the precipitation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occurrence, intensity, duration,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rainfall; air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velocity; the character and thickness of the soil layer above the water table; vegetated cover, soil moisture content, depth to the water table, topography; and land use. To reflect above factors, groundwater recharge in Chungju basin is computed by using the SWAT-K which is a longterm continuous watershed hydrologic model. Frequency analysis is adopted to evaluate the existing values of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which is made by the 10 year drought frequency rainfall multiplied by recharge coefficient. In this work, the recharge rates of 10 year drought frequency in subbains were comput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values of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This process could point out the problems of existing precesses used for computing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Estimation of the Available Amount of Groundwater in South Korea: 1. Development of the Method (우리나라 지하수 개발가능량 추정: 1. 개념 정립과 기법의 개발)

  • 박창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3 no.1
    • /
    • pp.15-20
    • /
    • 1996
  • The potential and the available amount of groundwater are defined precisely based on the hydrologic concept, of which terms are prescribed but not defined in the groundwater law. A simple method to estimate the available amount of groundwater is proposed b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revious methods.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separations of the groundwater components from the hydrograph for the recession period and the recharge period, and may be applied to the hydrograph analysis consistent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