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표선정

Search Result 1,68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Methodologies for Prioritiz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기후변화 적응대책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방법론 분석)

  • Chae, Yeora;Jo, Hyun-Ju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2 no.4
    • /
    • pp.23-44
    • /
    • 2013
  • Climate change affects human and natural environment.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re trying to develop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ies to minimize adverse impacts of climate change. To deal with climate change efficiently, decisions have to be made among many options.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is to analyzes methodologies for prioritiz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Each methodology has strength and weakness and information requirements are differ. We find multi-criteria analysis is one of useful tools considering current level of understanding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We suggest climate change risks(timing, likelihood, intensity of climate change impacts), feasibility of policy (equity, main-streaming, democracy), effectiveness (economic effectiveness, co-benefits, propagation effects) of adaptation measures as main evaluation criteria of prioritization.

  • PDF

A method for selecting the evaluation index of defence R&D project by AHP (계층분석법에 의한 국방연구개발 평가지표 선정에 관한 연구)

  • Park, Seong;Hong, Yeon-Woong;Na, Joong-Ky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3 no.5
    • /
    • pp.961-970
    • /
    • 2012
  • To evaluate companies that participated in the defense R&D project, 27 variables are chosen through literature survey, feature analysis of defense R&D and interviews with military experts. 17 variables are selected after factor analysis which is applied to reduce the number of variables and to detect structure in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at is to classify variables using Likert-type scales. And then 17 variables are prioritized by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It is shown that communication skill & cooperation strategy, level of technology, possession of needs technology have high priorities. However, protection plan of technology leakage, expertise of subcontractors, software development plan have low priorities.

노니(Morinda citrifolia L.) 부정근의 효능평가와 지표물질 탐색

  • Kim, Myeong-Gi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7-7
    • /
    • 2018
  • Morinda 속 식물은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관목으로서 전세계 80여종이 분포하고 있다. 그중 노니는 2000년 전부터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식품, 향신료, 음료, 자양강장제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뿌리, 줄기, 잎, 열매의 식물체 전체 부위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열매는 주스 등 다양한 제품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조직배양된 노니 부정근을 재료로 하여 항알러지의 효능평가를 수행하고 지표물질로 rubiadin을 선정하였으며 이물질에 대한 정제방법 및 구조분석을 통해 정성, 정량적 분석방법을 확립하였다. 항알러지 효능에 대한 측정 결과 노니 부정근 조추출물 $100{\mu}g{\cdot}mL^{-1}$에서 약 85%의 높은 발현 억제 효과를 보였고 이를 분획 추출한 후 분획물별로 histamine 및 $TNF-{\alpha}$ 발현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헥산 및 메틸렌클로라이드층 분획물에서 효과가 우수하였다. 노니 부정근 조추출물이 함유한 유효성분들 중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물질을 선정하기 위하여 용매분획을 실시한 후 preparative LC로 분취하여 항알러지 효과가 높은 분획물을 얻었다. HPLC로 분취한 화합물을 GC/MS/MS, LC/MS-IT-TOF,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rubiadin을 확인하고 이 화합물을 지표물질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니 부정근의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로 이용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in Evaluation Indicators of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 운영평가지표의 개선 내용에 관한 연구)

  • Kim, Hong-Ryul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4 no.2
    • /
    • pp.77-95
    • /
    • 2013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the measures of the Korean Public Library Operation Assessment. The analyz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fulfillment degree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the opinions of librarians for public libraries evaluation indicators. Same tim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library statistical indicators and evaluation indicators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 was selected assessment items that need to delete and modify. The improvement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provide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Public Library Operation Assessment. And may be applied to improve the process of the public library evaluation.

Establishment of Water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Considering Water Quantity and Quality in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 저수지 수량·수질을 고려한 수환경 평가체계 구축)

  • Hong, Eun Bi;Kim, Da Ye;Lee, Gwang Ya;Park, Ji Seong;Song, Chul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99-199
    • /
    • 2021
  •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농업기반시설 및 용수관리로 재해를 예방하고 물관리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유지관리 종합정보시스템인 농업기반시설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중에 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2012년부터 저수지별 일공급량을 측정하여 기록 관리하고 있어, 저수지의 수위차와 공급량을 사용하여 저수지의 일유입량을 산정 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고 저수지 종합건전성 평가를 위해 이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량부문은 수문학적으로 하천환경 및 수생태계에 민감한 영향을 끼치는 인자들로 지표를 구성하였다. 선정된 지표는 High Flow, Low Flow, Seasonality, Zero Flow, Variability로 구성하였다. 수질부문은 자연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 기준에 의한 분류를 통해 저수지의 건전성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였다. 자연적 요인은 환경부의 수질환경기준에 제시된 항목 중 저수지 건전성을 대표할 수 있는 수온, DO, COD, SS, TN, TP 및 TOC를 선정하였다. 농업용 저수지 수량·수질을 고려한 수환경 평가체계 적용을 위해 적누, 이담, 송고 저수지를 선정하였다. 3개 저수지를 대상으로 수량, 수질 부문으로 나누어 부문별 건전성 및 종합건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선정된 지표의 분석단위를 통일시키기 위하여 표준화를 수행하였으며 자료의 왜곡정도가 큰 경우에는 로그변환을 취하여 표준화를 수행하였다. 가중치 적용은 주관적인 견해가 들어갈 수 있는 전문가의 설문에 의한 방법보다는 수학적 방법을 이용한 주성분과 엔트로피 가중치 방법을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정된 지수에 따라 하천별 현황을 주제별, 시기별로 검토하였으며 객관적이고 이해가 쉽게 5개 등급으로 등급분류를 해 저수지별 건전성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election of Optimum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Rainfall Frequency Analysis (강우빈도해석 시 최적분포형 선정에 관한 연구)

  • Choi, Hong-Geun;Kim, Jin-Young;Kwon, Young-Ju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12-412
    • /
    • 2017
  • 강우빈도해석을 위해서는 확률분포선정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사용상의 편리상, 기존 해석결과와의 연속성 등을 이유로 Gumbel 확률분포가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분포형 선정에 따른 확률강수량의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는 점에서 단순히 해석상의 편리성을 기준으로 분포형 선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강우빈도해석 시 분포형 선정은 형식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주로 KS검정, 검정 등 적합도 검정을 통해 고려된 분포형의 통계적 유의성만을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적 분포형 선정이라는 관점에서 이러한 유의성 검정보다는 정량적인 지표를 기준으로 확률분포형 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자료의 설명력이 가장 우수한 분포를 정량적 지표를 기준으로 추정하는 것이 수문통계학적으로 적합성을 갖는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도함수, BIC 및 AIC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주요 강수지점에서 대해서 최적 분포형을 선정하고, 기존 Gumbel 분포를 기준으로 산정된 확률강수량과의 양적차이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 PDF

A Method of Sampling and Validation for Source Selection and Technical Evaluation Indicators in Public Sector (공공IT제안서 기술 평가지표의 추출 및 검증 기법)

  • Kim, Jung-Kyu;Kim, Sang-Il;Rhew, Sung-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203-206
    • /
    • 2011
  • 공개 경쟁에 의한 제안 업체 선정과 객관적이고 공정한 제안서의 평가는 공공IT 부문에 있어서 성공적인 사업 수행을 위한 필수요소이다. '소프트웨어 기술성 평가기준 적용 가이드'에서는 소프트웨어 기술성 평가기준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절차와 단계별 적용방법 및 세부내용 해설과 평가척도 예시를 제시하여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기술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부문별 평가항목 및 평가기준에 대한 부분이 구체적이지 않아 경쟁력 있는 제안 업체의 기술성을 정확하고 공정하게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안 업체의 기술성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평가요소 중에서 기술 평가요소에 대한 부분을 평가지표로 선정하고 통계 기법으로 평가지표를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battery pack electrical characteristics for establishing health indicator with aging (열화에 따른 건전성 지표 수립을 위한 고용량 배터리팩 전기적 특성 분석)

  • Kwon, Sanguk;Lee, Pyeong-Yeon;Han, Dongho;Song, Hyeon-Cheol;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11a
    • /
    • pp.202-203
    • /
    • 2019
  • 본 논문은 배터리 팩 기반 건전성 지표 수립을 위하여 24S1P 고용량 배터리 팩을 총 200cycle동안 열화 실험 하였으며, 배터리 성능과 직결된 내부저항과 방전 용량 및 미소 용량을 건전성 지표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파라미터를 전기적 특성 분석을 통해 열화에 따른 경향성을 분석하고 열화와의 상관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건전성 지표로의 활용성을 제시한다.

  • PDF

Evaluation of Landscape Ecology Indices of Gap Stream Basin on Impervious Cover Changes (갑천 유역의 불투수율 변화에 따른 경관 생태학적 지표의 평가)

  • Choi, Jin-Young;Kang, Moon-Seong;Bae, Seung-Jong;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63-1268
    • /
    • 2010
  • 불투수면 비율은 유역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서 도시화에 따른 도시유출의 특성을 추적하는 모델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고, 기존의 많은 연구를 통해서 수환경과의 밀접한 관계가 검증되었다. 불투수율은 비교적 쉽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으며 유역계획에서 여러 가지 대안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용한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오늘날 토지이용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유역생태계 변화 분석 등은 시,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인간활동에 의한 토지이용의 파편화(Fragmentation)가 어느 정도 발생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파편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의 적용을 위한 경관요소로서 토지피복을 선정하여, 불투수면을 나타내는 시가화지역과 투수면을 나타내는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1) 갑천 유역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경관구조,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2) 갑천 유역 내 6개 단위유역별로도 경관 생태학적 지표를 선정하여 이를 평가하였다.

  • PDF

Evaluation Criteria of Biodiversity in Ecosystem Protected Areas - In Mt. Jiri and Mt. Bukhan National Parks - (생태계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 평가지표 선정 및 적용 연구 - 지리산 및 북한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 Kang, Hae-In;Kang, Kyu-Su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2
    • /
    • pp.114-123
    • /
    • 2018
  • For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we designate and manage the major areas that are habitats of organisms as ecosystem protected area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biodiversity of protected areas relatively in order to establish strategies to protect and secure the biodiversity of protected areas. In this study, we selected evaluation indicators by which we can compare objectively the biodiversity of protected areas corresponding to forest ecosystem, and applied them to Mt. Jiri and Mt. Bukhan National Parks. We reviewed literatures to select evaluation criteria. Frequently mentioned criteria and the structure of the forest which plays an importantrole of forest biodiversity were selected as the evaluation criteria. As the result, the selected evaluation indicators were 7-species diversity, species richness, evenness, rarity, disturbance species, indigenous species, and forest structure. In Mt. Jiri and Mt. Bukhan National Parks, species diversity were 3.492 and 2.943, species richness were 8.998 and 9.793, evenness were 0.849 and 0.680,rarity were 11.976 and 10.783, and disturbance species index were 0.214 and 0.357 respectively. Both national parks had abundant indigenous species and showed various forest physiognomies and stable 4-layer structure. It was found that crown density was higher in Mt. Jiri. Most indicators were implied high biodiversity in Mt. Jiri and Mt. Bukhan national pa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