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지적 간호교육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1초

신생아 중환자실 온라인 대체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미숙아 발달지식, 발달지지간호역량 및 발달지지간호 수행간의 관계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knowledge, development-supportive nursing competency, and development-supportive nursing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online alternative training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이영자;오재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11-21
    • /
    • 2024
  •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 온라인 대체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미숙아 발달지식, 발달지지간호 역량 및 발달지지 간호수행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9월 1일부터 2022년 9월 3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학년과 발달지지간호 역량이 발달지지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수의 설명력은 22%였다. 결론적으로 미숙아의 발달지지간호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년별 학습수준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임상실습 교육내용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학생간호사의 윤리역량에 대한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Ethical Competence)

  • 서형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98-407
    • /
    • 2018
  •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의 방법을 이용한 학생간호사의 윤리역량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이다. 최근 10년 간 윤리역량에 대한 국내 및 국외 선행연구 최종 11편을 선정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생간호사의 윤리역량의 개념은 윤리적 민감성, 윤리적 판단력, 윤리적 행위에 대한 실천의지, 윤리적 행위의 실행력이 속성으로 도출되었다. 선행요인은 자기이해, 지지적 환경, 윤리적 갈등 경험, 윤리교육 경험이었으며, 결과는 간호전문직관,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 환자안전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간호사의 윤리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다차원 간 균형적인 성장과 발달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학생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 윤리적 판단력, 윤리적 행위에 대한 실천의지, 윤리적 행위의 실행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간호사 스스로 충분한 자기이해와 학생간호사를 지원해줄 수 있는 지지적 환경, 과거에 윤리적 갈등상황에 직면했던 경험 및 윤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의 경험이 선행되어야 하며, 학생간호사의 윤리역량 향상은 결과적으로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하고,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며, 환자안전에 기여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학생간호사의 특성을 반영한 윤리역량의 속성이 잘 반영된 도구 개발 연구를 제언하며, 학생간호사의 윤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및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지지적 간호교육이 신증후군 환아어머니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Mothers of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

  • 백승남;성미혜;조결자;변창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721-73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Mothers of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group of 67 mothers of nephrotic syndrom patients (34 in the intervention group, 33 in the control group) from July 1, 1998 to Dec, 30, 1998. Measurements were burden and quality of life from both groups at pre and post intervention. The supportive nursing educational program consists of individual lectures and discussion at the individual level. Listed are the summarized results : 1. The intervention group had a lower level of burden (p<0.05) than the control group at post intervention. 2.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was not significant during the intervention. According to this study a developed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s effective for reduction of the burden. For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hat experiments concerning quality of life in mothers of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be conducted.

  • PDF

한국 농촌 지역의 가정간호 요구에 관한 연구 (HOME NURSING CARE NEEDS IN RURAL KOREA)

  • KIM, SUNG SILL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4-69
    • /
    • 1988
  • 보건의료기술이 고도로 발달되었다 하더라도 의료의 혜택이 필요할 때 누구에게나 언제든지 제공될 수 없는한 전체 국민의 건강요구를 포괄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제도나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사회 집단의 최소 단위인 가정을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는 지역사회 가정간호의 합리적 수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가정간호 요구의 사정 및 가정간호 수행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가정 간호(Home Nursing Care, Home Health Care)는 추후관리를 받아야 할 대상자, 고령자, 만성질환자에게 규격화되어 있는 병원간호를 가정이라는 친숙한 분위기에서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가정 중심의 심리적 안정은 물론 시간과 경비를 절감하는 효과적 간호수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농촌가정의 가정간호의 요구는 무엇이며 그 요구의 원인은 무엇인가\ulcorner 둘째, 농촌가정에서 가지고 있는 상병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행하여 지고 있는 가정간호의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ulcorner 셋째, 가정간호 수행자는 누구이며 이에 대한 수혜자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ulcorner 본 연구의 방법은 1985년 6월 18일 부터 8월 7일 까지 C군에 거주하는 주민중 11개소 보건진료소가 소재한 반의 주민 전체 1,027명 중 상병자 159명과 30세 이상의 인구 440명, 가구주 239명을 대상으로 가정방문을 통한 면접으로 질문지를 기록케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첫째 간호요구의 측정을 위한 도구로 Virginia Henderson의 기본간호활동 14가지를 기초로 지역주민 50명과 현직 간호원 50명에게 개방질문으로 얻은 내용을 중심으로 제작하였으며 둘째, 가정간호수행에 대한 도구로 Orem의 간호이론 중 간호방법 5가지를 근거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보건진료원에 의하여 사정된 간호요구와 그 원인들을 인간의 기본요구 영역별로 분류하여 가정간호진단을 위한 지역사회 가정간호사정 및 진단도구로 쓸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상병자에 대한 가정간호 수행은 수행빈도와 수행내용에 따른 수행자와 수행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1. 가정간호요구에 대하여 1) 가정간호요구 측정은 신체영역 중 몸을 청결히 하고 몸차림을 단정히 하여 피부를 보호하기 내용에서 더위나 추위에 대하여 옷을 맞추어 조절하기의 요구, 적절한 식사와 수분섭취하기 내용에서 배변의 요구, 또한 몸을 움직이고 바람직한 체위를 유지하기 내용에서 한가지 자세를 계속하기의 요구가 높았고 정상호흡하기 내용에는 일상활동시 호흡에 대한 요구가 높은 편이었다. 사회, 심리, 영적 간호요구 영역에서는 자신이 신앙에 따라 예배하기 내용에서 신앙으로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요구가 높았으며 여러가지 오락의 형태를 취하여 이에 참여하기 내용에서는 취미생활의 요구가 높았다. 2) 가정간호요구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고 성별로는 여자의 가정간호요구가 남자보다 높았으나 내용별 요구의 차이는 없었다. 2. 가정간호수행에 대하여 1) 가정에서 수행되는 가정간호내용으로는 직접간호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내용으로는 구강청결, 옷 갈아 입기, 투약, 음식투여, 대ㆍ소변보기의 빈도가 많았다. 건강한 환경제공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적당한 실내온도 유지하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내용에서는 투약요령 알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보호와 지지내용과 교육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현 상태 인정하기와 투약 방법에 대한 교육하기의 간호수행빈도가 가장 많았다. 2) 간호수행자에 있어서 직접간호 수행은 본인 스스로 하는 빈도가 가장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 및 교육의 간호수행은 전문가가 많았고 보호와 지지간호는 가족이 많았고 건강한 환경제공간호는 배우자에서 더 많았다. 3) 간호수행자에 대한 만족도는 직접간호 방법에서는 가족이, 안내와 지도는 배우자가, 보호지지, 건강한 환경제공 및 교육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간호수행 만족도가 높았다. 4) 상병상태에 따른 주 증상은 관절통 요통이 가장 많았고 상병자는 남자가 많았고 주 중상에 대한 성별간의 큰 차이는 없었다. 이상 가정간호요구와 정도 및 가정간호 수행의 내용을 기반으로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이 시급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으며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을 위한 제도적 보완개선책이 요구된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 PDF

간호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n nursing work performance among nurses)

  • 최은비;유경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33-341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cting factors of nursing work performance.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8 nurses working in S university hospital in P city. The scales included social support,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II (HPLP-II),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A descriptive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social support,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Th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of nursing work performance were the emotional support subscale of social support (β=.31, p<.001)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 subscal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β=.32, p<.001). These two subscales explained 27% of nursing work performance. Conclusion: Nursing education programs should include an emphasis on developing methods of emotional suppor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in order to improve nursing work performance among clinical nurses.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의 난임 간호 교육 요구도 조사 (Educational Needs of the Infertility Care among Nurses Caring Infertility Patients)

  • 박점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31-138
    • /
    • 2020
  • 본 연구는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의 난임 간호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5개의 난임 전문 병원과 1개 보건소에서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 194명이었다. 자료는 난임 질환과 증상에 대한 정보, 난임 대상자의 일상 생활에 대한 정보 제공, 난임 대상자의 지지와 상담 내용을 포함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난임 질환과 증상에 대한 정보 요구도의 평균 점수는 3.52점이었고, 난임 대상자의 일상 생활에 대한 정보 제공 교육 요구도는 평균 3.36점이었으며 난임 대상자의 지지와 상담에 대한 교육 요구도는 평균 3.32점이었다. 각 하부 영역중에서는 '난임 치료 과정과 중재', '운동', '배우자와의 지지 체계 형성'이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들의 교육 요구도 항목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난임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교육을 하기 위해서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는 난임 간호 교육에 대한 분명한 개념인식과 목적을 가지고 그들의 신체적, 심리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략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희망의 관계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Hope among Nursing Students)

  • 박미정;전원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4-41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hop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166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8.0. Results: The mean scores for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hope were above-average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hope according to relig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s. Hope correlated positively with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hope included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major.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12.7% of hope. Conclusion: To improve hope in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ors should focus on promoting their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major.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the Major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박현정;오재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417-426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를 알아보고, 간호대학생의 바람직한 간호 전문직관 정립을 위해 나아갈 간호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상관성 조사연구로써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 대학생 3,4학년 2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4월 1부터 5월 30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Program 20.0을 이용하여 t값,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고, AMOS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에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설명력은 30%였고, 간호 전문직관에는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설명력은 53%였다. 결론적으로 자신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준비를 바탕으로 간호학의 가치를 알고 만족할 수 있도록 돕는 지지적 교육중재와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구조화되고 체계화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사회적지지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A Social Support Measure : Reliability and Validity)

  • 이선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3-125
    • /
    • 2001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ancy reliability of the social support and family support measuring tool. Two procedures were used : 1) Campbell and Fiske's multitrait-multimethod approach and item total correlation with Chronbach's $\alpha$. The result suggest that SNM, NSSQ, SNM/family, NSSQ/famliy is a valid and a reliable instrument for measuring social support. But PRQ part2 is low in convergent validity. The results further suggest that we have to more attention to a valid and reliable likert type scale for social support.

  • PDF

간호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Job-Seeking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 장현정;이정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62-70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3개 대학 간호학과 재학 중인 228명을 편의표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첫 희망진로, 취업준비정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순이었으며,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9%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예방, 대처 및 완화를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가를 위한 차별화된 취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