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변이

Search Result 2,09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omparison of Rice Quality According to Agroclimatic Regions in Gyeoungbuk Province (경북 농업기후 지대별 쌀 품질 비교)

  • Lee Sun Hyung;Won Jong Gun;Choi Jang Soo;Ahn Duok Jong;Choi Ky Yeon;Lee Woo Gyeong;Park So Deuk;Son Jae Keun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0 no.spc1
    • /
    • pp.94-98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ge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rice qualities and palatability in Gyeoungbuk province of Korea. The rice grain qua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analyzed using 513 sampling sites based on different five-agroclimtic regions of Gyeoungbuk province during three years from 2002 to 2004. In rice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the average palatability was low in South eastern coastal and Tabaek semi alpine regions as $67.6\~68.3$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was relatively high as $6.2\~7.4\%$. The average head rice rates were low in South and Central eastern coastal regions as $87.3\~88.2\%$ and CV was high as $8.2\~8.3\%$. The average protein content was high in Central eastern coastal regions as $8.0\%$ and CV was high as $8.2\~8.3\%$. In case of palatability, the variation was differed clearly between high and low agroclimatic regions; it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same agroclimatic region of high CV into two or three areas by CV of palatability. As the results of subdividing each existing agroclimatic regions based on the palatability, the variation of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was become lower than that of existing five-agroclimatic regions. Therefore, the re-establishing of agroclimatic region based on rice grain quality was very important for precise cultivation for rice.

Spatial Variations of Nutrient Concentrations in Pennsylvania Watersheds (펜실바니아 유역 수질의 공간적 변이에 관한 연구)

  • Chang, Heeju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7 no.5
    • /
    • pp.536-550
    • /
    • 2002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patial variations of nitrogen (N) and phosphorus (P) concentrations for 38 watersheds in Pennsylvania using 7 years of hydroclimatic and water quality data. Watersheds with higher percentage of urban and agricultural land uses exhibited larger variations of nutrient concentrations than forested watersheds. N and P concentration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agricultural and urban land uses, respectively.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identified three components - land use and topography related, hydroclimate related factors, and size. Results of partial redundancy analysis showed the joint effect of climate, land cover, and topographic variables for explaining 28.1% of the variance of nitrogen concentrations and a pure effect of land cover for explaining 41.8% of total variance of P concentrations. The geographical pattern of statewide nutrient concentrations demonstrated a strong spatial gradient; low concentration in northwestern PA and high concentrations in southeastern PA. This pattern is associated with combined effects of hydroclimate, land use, topography, and water quality at the regional scale.

Air Temperature Prediction at Higher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 in Pyongchang Mountainous Area (일사 수광량 보정에 의한 평창지역 고해상도 기온분포도 작성)

  • 정유란;윤진일;안재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 /
    • 2001.06a
    • /
    • pp.153-156
    • /
    • 2001
  • 한 지점의 매시 기온 관측값에는 이 지점의 수평 및 수직 위치, 주변 식생, 하천이나 바다 등, 모든 기온결정인자의 영향이 녹아있다고 볼 수 있다. 만약 지표 특성이 이들 관측지점과 동질적이며, 관측점들의 표고에 의해 그 지형이 정확히 표현될 수 있는 넓은 지역이 있다면, 기존의 거리 역산가중법(Inverse Distance Weighting: IDW)에 의해 내삽되는 기온의 공간변이는 실제 기온의 공간변이와 일치할 것이다.(중략)

  • PDF

Stuides on Major Morphological Traits,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Barley II. Variations of Growth and Developmental Patterns, and Grain Yield by Different Locations and Sowing Dates (대맥의 생육 및 수량구성형질연구 제 2보 지역 및 파종기에 따른 대맥의 주요생태와 수량구성 형질의 변이)

  • 류용환;하용웅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1 no.1
    • /
    • pp.97-103
    • /
    • 198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ortant morphological traits, and grain yield and its components on basis of regional variation of barley plant, Olbori was tested at 3 locations Suwon, Daejeon and Jinju for 3 years. It needed seven days around 15$^{\circ}C$ of daily average temperature for seed emergence. 104 to 144 days for Daejeon and 135 to 142 for Jinju after sowing are needed for productive tillers according to the different sowing dates, and % of productive tillers were ranged on 37-77%, showing higher value at the southern region. Young spike elongated slowly at early stage, and after floret differentiation it appeared rapid development with 1.05-1.95 mm elongating per day. Analysis of variance indicated that only number of kernels/spik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locations, but every traits related to grain yields reveal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sowing dates. Little differences between locations existed on grain yield but its large variation appeared between sowing dates, especially indicating more variation at northern regions.

  • PDF

고층 아파트 지기(地氣) 부족, 화단 만들면 보충된다

  • Go, Je-Hui
    • 주택과사람들
    • /
    • s.188
    • /
    • pp.76-79
    • /
    • 2006
  • 풍수가 아파트 가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같은 한강변이라 하더라도 용산구 이촌동, 서빙고동, 강남구 압구정동 등 명당지역의 땅값이 그렇지 못한 지역보다 평당 110만원 이상 비싼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을 이제 집안의 인테리어 배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재물과 건강을 좌우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관련하여 풍수와 관련한 '복을 부르는 행운의 주택과 인테리어 배치법' 등을 연재한다.

  • PDF

'전북운봉지방 목도열병, 신변이균아니다' - 지난해 냉해로 내냉품종재배 - 재래균에 의해 황숙기 피해 발생 -운봉지역의 목도열발생실태와 대책(1)

  • 구영서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2 no.11
    • /
    • pp.49-54
    • /
    • 1981
  • 벼 통일계 신품종이 지난 1971년부터 우리나라에 재배돼면서부터 이들 신품종은 녹색혁명의 총아로 각광을 받게됐으며 더욱이 이들 신품종은 도열병에 대한 내병성이 강한것으로 알려져 증산의 꿈은 조기에 실현될듯 했다. 그러나 1976년 전북진안에서 1977년에는 임실에서 도열병변이균이 발견되더니 급기야 1978년에는 전국적으로 만연, 통일계품종이 이병화 품종으로 전락됐다. 올해는 전북 운봉에서 황숙기에 목도열병이 발생, 일부 지방 및 중앙지에 새로운 도열병이 발생됐음을 보도했다. 그러나 현지 농촌진흥원의 조사결과로는 새로운 변이균이 아니고 재래균으로 판명되고 있어 일단 안심은 돼나 이 지역이 위치$\cdot$기후적으로 새로운 도열병변이균이 발생될 가능성이 많은 지역이라 올해에 문제됐던 운봉지역 목도열병의 발생실태와 대책을 2회에 걸쳐 알아본다.

  • PDF

Spatio-tempers Change Prediction and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기온 및 강수량의 시공간 변화예측 및 변이성)

  • Lee, Min-A;Lee, Woo-Kyun;Song, Chul-Chul;Lee, Jun-Hak;Choi, Hyun-Ah;Kim, Tae-Mi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5 no.3
    • /
    • pp.267-278
    • /
    • 2007
  • Internationally many models are developed and applied to predict the impact of the climate change, as occurring a lot of symptoms by climate change. Also, in Korea, according to increasing the application of the climate effect model in many research fields, it is required to study the method for preparing climate dat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mate. In this study IDSW (Inverse Distance Squared Weighting), one of the spatial statistic methods, is applied to interpolate. This method estimates a point of interest by assigning more weight to closer points, which are limited to be select by 3 in 100 km radius. As a result, annual averag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had increased by $0.4^{\circ}C$ and 412 mm during 1977 to 2006. They are also predicted to increase by $3.96^{\circ}C$, 319 mm in the 2100 compared to 2007. High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for last 30 years shows in some part of the Gangwon-do an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Besides in the study of the variable trend, the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s inclined to increase in Gangwon-do and southern east part, respectively. However, during 2071 to 2100 variability of temperature is predicted to be high in midwest of Korea and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in the east. In the trend of variability, variability of temperature is apt to increase into west south, and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increase in midwest and a part of south.

  • PDF

Studies on the Intraspecific Variations on Geological Distributions of Acusta despecta sieboldiana in Korea (한국산 달팽이 ( Acusta despecta sieboldiana) 의 지리적 분포에 따른 종내 변이에 관한 연구)

  • 이준상;권오길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2 no.1
    • /
    • pp.19-31
    • /
    • 1996
  • 국내 11개 지역(경기도 옹진군 덕적도, 경기도 의정부시 소요산, 강원도 춘천시, 충청남도 태안군 안홍,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도,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흑산도 비금도, 진도, 제주도)에서 채집된 달팽이 (A. despecta sieboleiana)를 대상으로 외부형태 분석과 동위효소를 검출하여 각 지역 집단간의 형태적, 유전적 유연관계와 변이 정도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부형태에 의한 집단간 유연관계는 안홍과 덕적도집단(average taxonomic distance, D=0.358)이 형태적으로 가장 유사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Polyacrylamide gel을 사용하여 11가지의 동위효소를 검출한 결과 AKP, ACP, AO, EST, GPD, HBDH, LDH, SDH, XDH의 동위효소에서 유전적 다형현상이 나타났다. 전 집단의 평균 다형형의 빈도는 59.19%이며 이형접합자 빈도는 0.263이고 각 집단의 유전적 차이치는 춘천과 울릉도 집단이 0.066(genetic distance)으로 가장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지리적 분포에 따른 외부형태 변이와 유전적 변이와의 관계는 유의성이 없었다.

  • PDF

Allow for Illumination Variation Stereo Matching Method Based On Curve Fitting (조명변화를 고려한 곡선접합 기반의 스테레오 매칭 기법)

  • Kim, Dae-Keun;Shin, Kwang-Mu;Chung, Ki-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418-420
    • /
    • 2012
  • 스테레오 매칭의 지역적 방법은 구현의 용이성과 낮은 계산복잡도로 인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역적 방법들은 영상이 외부환경에 변형되었을 때의 경우를 고려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외부환경에 의해 많이 변형된 영상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변이 정보를 추출해내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양쪽 영상에서 곡선접합을 이용하여 서로 대응되는 영역을 찾는 스테레오 매칭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조명과 같은 외부요소에 강인한 특징을 가진다. 이 기법은 전 처리나 후처리 과정에서 부가적인 작업의 수행 없이 기법 자체만으로 외부요소에 대한 보상을 실행한다는 면에서 장점을 가진다. 비록 다양한 영상에서 변이를 추출하는 실험 결과, 거시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곡선접합만으로도 조명에 의해 변형된 영상에 대해서 변이결과를 추출해내었다. 차후 미시적인 방법과의 결합을 통해, 변이정보의 추출의 정확도를 올릴 수 있을 것 이라고 기대된다.

A Study on Weekly Variation of Urban Air Temperature Difference (도시 기온차이의 주간 변동에 관한 연구)

  • Zheng, Hai-Yan;Jin, Ri;Jin, Wen-Cheng;Lee, Kyoo-Seoc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5 no.4
    • /
    • pp.13-21
    • /
    • 2012
  • 도시화, 산업화로 인해 도시는 그 주변지역보다 기온이 높은 도시열섬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인간 활동에 의한 인공폐열 배출량의 증가에 기인한다. 이러한 인간 활동에 의한 도시기온의 변화는 도심과 농촌지역의 차이로 인한 공간적 변이와 아울러 주중과 주간에 기온 차이가 발생하는 시간적 변이를 포함하고 있으나 도시열섬현상의 공간적 변이에 의한 연구에 비해 시간적 변이에 의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도심의 주중과 주말의 기온차이를 다년간 관측을 통하여 주중과 주말의 주간 변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도시 기온의 시간적 변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 강남구를 사례로 2007년 10월 31일부터 2010년 12월 11일까지 약 3년간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5개 관측지점 모두 주중(weekday)이 주말보다 $1.6{\sim}1.7^{\circ}C$ 기온이 더 높았으며 이는 주중에 도시 내에서 방출하는 인공폐열의 양이 더 많음을 의미하며 고밀도지역은 냉난방수요가 많아 토지이용에 따라 기온의 차가 크므로 이를 저감시키기 위한 도시 및 조경계획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