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규모

Search Result 4,15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Relation Between Local Magnitude and Moment Magnitud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남부 지역의 지역규모와 모멘트규모의 관계)

  • Choi, HoSeon;Noh, MyungHyun;Choi, KangRy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7 no.3
    • /
    • pp.185-192
    • /
    • 2004
  • We calculate moment magnitudes of earthquakes occurr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January, 2001 to February, 2004 and compare them with local magnitudes published by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KIGAM(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From this study, we find that local magnitudes of KIGAM have higher correlation with moment magnitudes than local magnitudes of KMA have. We induce a proper conversion formula by analyzing relation between published local magnitudes and calculated moment magnitudes. The induced formula can be used to unify kinds of magnitudes in earthquake catalogues and unified earthquake catalogues can be applied as necessary factors for analyzing earthquake characteristics, seismic hazards or attenuation formula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PDF

A Study on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Estimation the Optimal Size of Rainwater Storage (빗물저류조의 적정 규모 산정에 있어서의 지역적 특성에 대한 연구)

  • Gankhuyag Uugantsetseg;Dong Jun Kim;Jung Ho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77-477
    • /
    • 2023
  • 빗물이용시설은 집수면적에 내린 빗물을 모아 이용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시설이며, 일정 면적 이상의 건축물에는 법적으로 빗물이용시설을 설치·운영하여야한다. 빗물이용시설의 저류조 용량은 간편식과 시뮬레이션, 수문모형으로 산정가능하며, 설계계획 수립시 대상지역의 강우 특성, 사용수량 등 지역 특성과 목적을 고려하여 저류조 용량이 결정된다. 저류조 용량 산정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는 방법은 수문모형 사용에 비하여 용이하지만, 일단위 물수지분석을 구현하는데까지 시간이 소요된다. 간편식은 집수면적에 규모계수 0.05를 곱하여 간단히 구할 수 있지만, 지역 특성과 목적이 고려되어있지 않으며 초기 계획수립 및 개략 평가를 제외하고는 활용에 제약이 존재한다. 이에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빗물저류조의 적정 규모 산정을 위해 개선된 간편식을 개발하였다. 빗물이용시설 물수지 분석 Excel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해당 물수지분석 결과에 상수대체율 효율을 기준으로 지역별 적정 저류조 규모 산정을 위한 규모계수를 도출하였다. 빗물사용 용도로써 폭염저감, 미세먼지저감, 조경, 화장실을 채택하였으며, 용도별 1일 사용수량을 산정 및 적용하였다. 7개의 연구대상지역 물수지분석을 위해 연구지역의 최근 10년 강우·미세먼지·기온데이터를 기상청으로부터 적용하였으며, 집수면적은 500-2500m2까지 500m2씩 증분, 저류조용량은 5-700m3까지 5m3씩 증분하여 지역별 적정 저류조 용량 규모계수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지역의 적정 저류조 용량산정시 완도군의 규모계수는 평균 0.058이었으며, 보령시의 규모계수는 평균 0.040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용도의 빗물사용처에 따른 지역별 저류조 용량 선정을 위한 지원도구로써 사용될 것으로 판단한다.

  • PDF

지방세 비과세·감면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18개 시군을 중심으로

  • Jeong, Seong-Ho
    •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 /
    • v.48 no.3
    • /
    • pp.437-461
    • /
    • 2014
  • 최근 재정건전성에 관한 논의가 확산되면서 비과세·감면제도는 유용성 관점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경기부양 등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차원에서 비과세·감면제도를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과세·감면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이를 위해 강원도 18개 시·군을 대상으로 지방세 비과세·감면이 지역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관해 패널분석(PCSE)을 수행하였다. 패널분석 결과, 비과세·감면, 비과세, 감면 등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시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비과세·감면 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정(+)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면 군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변수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비과세·감면정책이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것이라는 정부의 주장은 다소 설득력이 낮다. 시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감면총액과 감면(조세특례제한법, 감면조례)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지방세법 상 감면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군의 경우 지방세법 상감면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감면조례에 근거한 감면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분석결과에 근거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정부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과세·감면을 시행하면서 지방세수확충을 위해 또 다른 재정보전을 하고 있으나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그리 크지 않고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비과세·감면의 규모를 줄이고 세수 확충을 통한 재정지출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시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지방세법상 감면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고, 군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감면조례에 근거한 감면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Review on $M_L$ Scales in Southern Korea (한반도 남부의 지역규모식 검토)

  • Shin, Jin-Soo;Chi, Heon-Cheol;Cho, Chang-Soo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8 no.4
    • /
    • pp.207-209
    • /
    • 2005
  • The local magnitude scales yield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following the Richter's original definition are reviewed. In order to compare the previous ML scales, the new distance correction term of ML scale is derived as - log A 0 = 1.017 log ( r/17) + 0.00028 ( r-17)2 + 2 .0 using broadband velocity seismograms from 126 local events occured from 2000 to 2004. The attenuation rate of this formula fall between those of western and eastern North America. This result is in nearly accord with the ML scales proposed by Kim and Park(2002). The differences between various ML scales is owing to insufficient seismic data not to distribute whole area of Southern Korea.

  • PDF

A Study on Effects of Changes in the Optimal Population Density and Traffic Volume Impact of Urban Size (최적인구와 통행량분포가 도시규모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oo, Inhye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1 no.1
    • /
    • pp.21-42
    • /
    • 2015
  •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urban expansion and the 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can be achieved through new city development. The results show that regardless of the starting point (origin) or destination point, traffic increases closer to the origin for the purpose of transportation and decreases farther from the origin. However, traffic tends to increase in districts 20 to 40 km away from the origin. Hence, building a new city in this district may be effective in terms of geography and functionality.

Development of Evacuation Algorithm from Coastal Inundation (해안침수 대피경로 알고리즘 개발)

  • Kim, Won Beom;Jung, Woo Chang;Son, Kwa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55-355
    • /
    • 2020
  • 최근 쓰나미와 해일 등 이상기후에 의한 해수면 상승 등으로 인한 해안지역의 침수가 빈번해지고 있다. 태풍 매미의 경우, 피해규모는 인명피해 130명, 이재민 4089세대 10975명, 재산피해 4조 7810억원이며 침수피해는 규모는 주택 21,015동과 농경지 37,986ha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태풍은 경남 사천시 부근 해안에 상륙할 때의 중심기압은 950hPa로 중심부근 최대풍속 40m/s 이었으며 풍속 15 m/s 이상으로로, 태풍의 강도는 [강], 크기는 [중형]이었음에도 그 피해는 과거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내륙과는 달리 해일 등의 피해로 인한 해안지역의 침수피해 저감기법은 월파방지 파라펫 설치 또는 침수예상 지역의 지반고를 높이는 이외에는 확실한 대책이 없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따라서 해안지역 침수예방은 월파방지 파라펫과 함께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충분한 선행시간을 통한 대피안내와 가장 효율적인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최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 창원지역의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지역 침수를 모의할 수 있는 2차원 부정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매미 당시 창원지역의 침수피해 결과와 비교하여 프로그램 모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해안을 따라 다양한 높이의 월파방지 파라펫을 모의하여 시간대별 대상지역의 침수규모를 시간대별로 예측하였다. 모의결과 월파방지 파라펫 규모 별 침수규모와 이에 따른 경제적 피해규모를 산정하였으며 경제성 원칙에 따른 최적의 파라펫 규모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때 시간대별 침수범위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시간대별 등침수선을 제시하고 일정 시간대별 등침수선을 모의결과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도로 경사와 대피자의 연령 등을 고려한 대피소요 시간을 산정하여 침수 소요 시간과 비교하여 대피가 가능한 대피경로를 제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에 알려진 대피경로와는 달리 다양한 침수저감 기법규모에 따라 다양한 대피경로를 제안할 수 있었으며 이는 추후 다양한 대피 시나리오를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Basic Study on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lassroom in Korea for Making Policy in Optimal School Scale I - Centered on 17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sangnam-do - (적정규모 학교 정책수립을 위한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수와 학급수에 관한 기초 연구 I - 경상남도 17개 시군을 중심으로 -)

  • Yoon, Yong-Gi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7 no.3
    • /
    • pp.54-64
    • /
    • 2018
  •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mainly in the Gyeongsangnam-do province are as follows : First, 31.6% (65 schools) of the total elementary schools in the eight Cities Dong Districts of Kyungsangnam-Do Province are larger than the appropriate schools. 51.9% (107 schools) are the most suitable schools. The number of small schools with less than 300 students was 35 (17.0%). Of the 138 elementary schools in City Up-Myun districts, 11.6% (16 schools) account for big schools larger than the appropriate size. The number of schools with adequate size is 18.1% (25 schools), while 97 schools with 70.3% of small schools occupy the majority. Of these, 10.1% (14 schools) account for less than 150 small schools. Second, three large schools (2.2%) are larger than the appropriate schools among the 137 elementary schools in the nine districts of Gyeongsangnam - do, and 17 schools (12.4%) are suitable for small schools. Less than 300 small schools 117 schools (85.4%), of which 111 small schools (81.0%) accounted for the majority.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the subdivision into the provinces, municipalities, and counties, small - scale school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municipalities and counties. Therefore, considering the loc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ppropriate school proper size policy differentiated from municipal school.

Review on $M_L$ Scales in Southern Korea (한반도 남부의 지역규모식 검토)

  • Shin Jin Soo;Chi Heon Cheol;Cho Chang-Soo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43-46
    • /
    • 2005
  • The local magnitude scales yield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following the Richter's original definition are reviewed. In order to compare the previous $M_L$ scales, the new distance correction term of $M_L$ scale is derived as $-logA_{0}$ = 1.017log(r/17)+0.00028(r-17)2+2.0 using broadband velocity seismograms from 126 local events occured from 2000 to 2004. The attenuation rate of this formula fall between those of western and eastern North America. This result is in nearly accord with the $M_L$ scales proposed by Kim and Park(2002). The differences between various $M_L$ scales is owing to insufficient seismic data not to distribute whole area of Southern Korea

  • PDF

Analysis on ICT literacy Level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by Region (지역규모에 따른 초·중학생의 ICT 리터러시 수준 차이 분석)

  • Ahn, Sung Hun;Kim, Chong Min;Lim, Hyunjung;Kim, Han S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20 no.5
    • /
    • pp.69-77
    • /
    • 2017
  •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difference of ICT literacy which can show the educational power of student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s a result, the average score of ICT literacy test by elementary school was high in the order of big city, small city, rural area. In case of middle school, the score was high in the order of small city, big city, rural area. ICT literacy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differ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egion. However,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scores of rural stud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urban students. Therefore, it need the policy of ICT education for students of rural area. And, as the ICT literacy level gap between urban and rural students is concern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for thi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data on the necessity of systematic ICT literacy education policy according to school and region characteristics.

A Study on the trend of change in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do (제주도 초등학교 학생수 변화 경향에 대한 조사 연구)

  • Kim, Hyung-Jo;Yoon, Yong-Gi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9 no.3
    • /
    • pp.1-10
    • /
    • 2020
  • The results of a survey on 113 elementary schools in Jeju-do in December 2018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newly established schools in the last 30 years were long-term decline Type 3 (56 schools), followed by Type 9 (W-type, 24 schools), which was more than 30 years old. Second, one of the main achievements of this study is the discovery of four types (type 1, type 2, type 8 and new-type) that are well characterized by Jeju province. Third, the most smaller school has 50 schools (44.3%) and small schools (less than 300 students) are 77 schools, accounting for 68.1% of the total ; 6 the most largest elementary schools (5.3%), 13 large schools (11.5%), 17 optimal sized schools (15.0%), 27 small schools (23.9%). In particular,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almost all schools are small schools except for a few schools in Jejudo Ub-Myun areas. This means that it may cause serious problems if it is adopted as a standard of abolition of small schools in the same standard of management rather than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Jejudo provi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