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건강생활실천센터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Effect in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Community Networ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Community Child Center (지역사회 협의체 중심의 지역아동센터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 Yum, Jong Hwa;Kim, Hye-Jin;Kwon, Myoung-Hwa;Shin, Sun-Ju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4 no.2
    • /
    • pp.214-222
    • /
    • 2014
  • This study measures the effect of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community networ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 The community networking were constructed of community health center,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and school of dental hygiene in community. First, we were educated the student and teacher of community child center, separately. Community health center planned and evaluated the program, and school of dental hygiene ran the maintenance program once a month for 3 months and evaluated the program. The teacher of community health center were supported and monitored the children. The comparison was done in independent t-test of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of children of community child center in both lower grades and upper grades and paired t-test of patient hygiene performance (PHP) index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As a result, PHP index and oral health knowledg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oral health program in lower grades and upper grades (p<0.001). The positive attitude for oral health about "Whatever I do, my tooth-will be decayed" increased more in upper grades better than lower grades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p<0.05). We suggest that oral health program based on community networking should be constructed for oral health pro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

A Qualitative Study about the Function and Relationships of Social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Health Family Support Centers for Family Welfare Practice (가족복지실천을 위한 종합사회복지관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 및 관계에 대한 질적연구)

  • Lim, Hyoyeon;Lee, Sara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9 no.2
    • /
    • pp.75-95
    • /
    • 2013
  • This study searched for the common and different aspects of social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health family support centers for family welfare practice of the community. We also tried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workers and the performance function for each institution. Through the interviews and review of literature, and comparative analysis of operating status, we looked for the common and different aspects,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hich evolved family welfare into the community by way of function and relationships of both institutions.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pursued common purposes. They however made aware of the issues of discrimination about social values and each institution's functions. We suggest that the social community welfare center focuses on individuals and families, in order to integrate the community. A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should play the role to fulfill needs for family welfare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and have good accessibility for individuals and families in the community.

The Effects of Stress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on Life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SONG, Kee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1
    • /
    • pp.7-16
    • /
    • 2020
  • We aimed that increasing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s, starting from the interest in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stres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using the local children center and the mediated effect of self-este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38 children who were surveyed in 2017. They were originally extracted from the 2nd survey of Community Child Center. For data analysis purposes,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v2.16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ly, school stress has direc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but it has no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Secondly, friend stress and consumption stress have no direc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but they have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the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to reduce school stress and to enhance self-esteem, which are the key to achie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 Study on Model Development for Community based Health Life Enhancement Centers (일 지역 건강생활실천센터 모형개발을 위한 연구)

  • Choi, Song-Sil;An, Hye-Kyung;Kim, Young-Hee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4 no.3
    • /
    • pp.520-532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health status and request of community residents. This study is part of development of efficient health life enhancement program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86 households in a rural community and well-trained interviewers visited every household in the designated area and individually interviewed heads of households for general information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for seven months from March 25 to September 24, 200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by SPSSWIN (v 10.0). Results: 1. 58.9% of subjects were above sixty, and 60.8% of them were women. 2. The most serious problems they identified were health problems (45.6%), and the second was(##-was+were) economic problems(22.0%). 3. Almost half of the study population regarded themselves as healthy (46.2%). The types of illness they had were neuralgia, arthritis, hypertension, diabetes, and heart disease. 4. Most of the study population answered that they didn't do anything special for health enhancement. 5. Among medical facilities, hospitals or medical clinics (55.3%) were most commonly utilized when they were sick. 6. The highest request of the subjects was 'Home visiting service (45.4%)', and 'free treatment connected to the service of hospitals' was the second. What they needed most regarding health enhancement programs in health life enhancement centers was 'free health examination (58.2%), and heath education programs (57.7%). 7.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subjects' demand for nursing services in health life enhancement center, 'the clinical examination' was the most requested, and next was 'blood pressure check', 'emergency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service', in that order.

  • PDF

Objectives and Strategies of Government Health Promotion Policy (정부의 건강증진사업 목표 및 추진방향)

  • Lee, J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3-32
    • /
    • 2005
  •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은 국민의 건강수명 연장과 삶의 질 향상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는 건강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질병을 예방${\cdot}$관리하며 평생 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한 생활양식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기반으로 연구와 개발 강화, 법과 규칙의 조정, 기금과 인력과 같은 자원 확보는 필수적이다. 정부의 건강증진전략은 첫째 자원할당의 우선순위를 확보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질병 및 손상의 예방, 재활관련 사업에 더욱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것이며, 둘째로 국가차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포괄적인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프로그램(건강증진종합계획)과 모아보건, 학교보건, 산업보건, 그리고 만성질환예방프로그램 등이 포함된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셋째로, 건강증진기금을 공공보건을 위한 하부기반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투자함으로써 사업의 하부기반을 정비하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하부기반으로는 정책과 위임사항을 들 수 있는데, 국민건강증진법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05년 6월에 서울시 의회를 통과한 건강도시추진위원회를 들 수 있다.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의 법적 기반은 1995년에 제정된 국민건강증진법이다. 국민건강증진법은 국민들이 건강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책임의식을 함양하며, 올바른 건강지식을 갖고, 국민들이 건강한 생활양식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증진사업은 대중을 위한 보건교육과 건강상담, 영양관리, 구강보건관리, 질병의 조기발견과 치료를 위한 건강검진, 지역사회 건강문제에 관한 조사와 연구, 담배소비 감소와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를 통한 국민건강상태의 향상을 위한 사업이다. 훈련과정으로는 보건복지부에서 2005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시와 지역을 위한 현장관리 프로그램과 서울시가 수행예정인 지역수준의 지도자 훈련과정이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기금조성은 건강증진기금이 담배세로부터 조성되고 있으며 2004년 12월 31일 현재 담배 한 갑 당 500원으로 인상되어 부과되고 있다. 기금의 관리와 운용은 보건복지부가 담당하며, 기금은 건강한 생활양식형성에 대한 지원활동, 국민을 위한 보건교육과 교육자료 개발, 건강증진과 만성질환에 대한 연구, 질병의 조기발견을 위한 건강검진, 구강보건관리활동에 사용되고 있다. 향후 건강증진사업 투자계획은 1단계 (98-02년)에는 사업기반조성기, 2단계(03-06년) 보건소사업발전기, 3단계(07-11년)통합사업정착기로 구성되고 2단계의 인프라구축에 사용될 투자 비율은 30%에서 3단계에 15%로 감소될 예정이며, 사업실행 영역은 50%에서 65%로 확대될 계획이다. 2005년 건강증진사업의 중점목표는 건강증진사업의 지방 분산화,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 사회적 형평성의 달성에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지방분산화를 위해서는 중앙에 관리센터가 설치되어 기획과 평가, 연구와 개발, 현장관리 훈련을 담당하게 되고, 지역관리센터에서는 자치적인 보건소 중심 건강증진사업의 수행과 평가를 진행하게 된다.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을 위해서 효과가 입증된 사업에 우선순위를 두며, 기획과 평가위원회를 설치하고, 건강증진사업의 평가결과를 환류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건강증진포럼을 구성하며 현 건강조사 체계를 수정한다. 한편 형평성 제고의 측면에서는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들과 같은 취약계층의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간${\cdot}$사회적 집단 간의 건강증진사업관련 형평성을 제고한다.

  • PDF

Scale Development of Family Strength for Dual-Earner Families with Children (자녀가 있는 맞벌이가정의 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 Song, Hyerim;Koh, Sun-Kang;Kang, Eunju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
    • v.27 no.3
    • /
    • pp.1-19
    • /
    • 2023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amily strength scale for dual-earne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Based on existing theories of family strength and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we draw on 80 items to measure the strength of dual-earner families. Using a sample of 747 people, all members of dual-earne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we examined the items' factor structures. Using the statistical method, we check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se items. The final scale consisted of four domains with a total of 49 items : basic foundation (basic structure, economic life, and resource management), parenting, social interest and participation (citizenship, volunteer, leisure, network), work-life balanc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sharing the family role, equal division of role). The developed scale can be used in the field, such as i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or Family Center, in the context of education, counseling, or consulting for dual-earner families. In order to enhance the usefulness and efficiency of the scale, the adequate education system for the professionals who handle this scale in the field and updated data are required.

Education and Application for low Fertility.Aged Societ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가정교과에서의 저출산.고령사회를 위한 교육과 실천 사례)

  • Jun, Mi-Kyung;Oh, Kyung-Se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2 no.3
    • /
    • pp.95-11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low fertility Aged Society. Hence home economics educational contents for low fertility Aged Society was estsblished extracting the contents from both Revised 2007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government. policy for low fertility Aged Society. Also home economics educational contents for low fertility Aged Society("Home Economics Class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 implemented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low fertility Aged Society should be emphasized with the contents such as marriage of one's choice, family life reinforcement, healthy family culture and neighborhood living together. Secondly, the go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s very similar to the action plans of Saeromaji Project 2010 which are 'social responsibility reinforcement for marriage, birth and child rearing', 'balancing family and work', 'family-friendly culture' and 'security for the aged with health and care'. It has also much in common with the project plans by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amily-friendly culture and filial duty education reinforcement', 'school education reinforcement regarding Low Fertility-Aged Society' and 'values education reinforcement for gender equality society'. Thirdly, "Home Economics Class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 applied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in Jung-gu, Seoul. This ensures home economic education can play a leading role in the social education filed.

  • PDF

Relevance between oral health life practices and oral discomforts in elderly school participants in W urban-rural complex city (도농복합도시 W시 노인대학생의 구강건강생활 실천도와 구강불편감과의 관련성)

  • Choi, Eun-Mi;Hong, Hae-Kyung;Kim, Young-Nam;Cho, Min-Jin;Kim, Dae-il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6
    • /
    • pp.49-58
    • /
    • 2019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evance between oral health practices and oral discomforts of the elderly in an urban-rural area by surveying the elderly in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continued oral health care program. The result shows that the elderly brush their teeth under regular oral care, and practice oral health life by scaling for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Most of the elderly who drink alcohol have experienced implant care and tend to quit drinking after the treatment, and seemed to get their oral discomfort relieved. However, no relevance is found between implant experiences and social discomfort. Furthermore, the elderly who had bad breath expressed pronunciation, taste, pain and chewing discomfort, and social discomfort (P>.05).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elderly did not have an impact on oral discomfort, but smoking, chewing and bad breath discomfort seemed to be related to social discomfort(P>.05). Therefore, since oral discomfort of the elderly causes social discomfort which decreases their quality of living, we recommend oral health departments of local governments to help the elderly maintain happy lives by continuing to study the practical use of reducing oral discomfort.

Depression and Related Factors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in Gwangju and Jeollanamdo (광주 및 전라남도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우울감 및 관련요인)

  • Yoon, Sang-Eun;Han, Mi Ah;Park, Jong;Ryu, So Ye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46 no.4
    • /
    • pp.242-252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depress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selected children in grades 4-6 who used the Gwangju and Jeollanamdo community child center (n=224)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Gener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children's emotional characteristics, children's school life environment and depression status were assess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depression among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was 15.31±7.70 out of a total of 27. Fifty-eight (25.9%) children had depression above 22 points.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s depression were shown as grade, subjective economic level awareness, after-school activities excluding local children's centers, presence of family members after school, and family structure. Conclusions: The depression prevalence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was higher. Policy support such as children's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would be needed to reduce children's depression, and community child centers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children's depression if continuous child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are developed for children's mental health.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 (여성과 어린이 건강문제와 증진방안)

  • Park Jeong-Han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7b
    • /
    • pp.3-17
    • /
    • 2002
  • 국민건강은 국가발전의 기본조건이다. 국민건강은 건강한 어린이의 출산에서 비롯되고, 건강한 어린이의 출산을 위하여 여성이 건강해야 한다 따라서 여성과 어린이 건강보호와 증진을 위한 모자보건사업은 국가보건사업 중 최우선 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은 1960대부터 보건소를 통하여 가족계획, 산전관리, 안전분만유도, 예방접종을 중심으로 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와 전국민의료보험의 실현과 국민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산전관리 수진율과 시설분만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1990년대 후반에는 거의 100%에 도달하였고, 가족계획실천율도 1991년에 79.4%까지 증가하여 합계출산율이 1.6으로 감소하였고, 어린이 기본예방접종률도 90%이상이 되어 전염병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전통적인 모자보건사업 관련 지표들이 이렇게 향상되자 일선 보건요원에서부터 중앙정부의 정책결정권자에 이러기까지 모자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져 중앙부처의 모자보건업무 담당 부서도 축소되고, 모자보건 사업도 쇠퇴하였다. 그러나 어린이와 여성의 건강실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심각한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시설 분만율의 증가에 따라 제왕절개분만율이 40%대까지 급증하였고, 모유수유률은 10%대로 떨어졌다. 어린이의 체격은 커지고 있으나 체력은 떨어지고, 비만한 어린이가 급증하여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 유병률이 어린이들에게 증가하고, 사고에 의한 어린이 사망과 장애가 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의 흡연율과 음주률이 증가하고, 성적 성숙이 빨라지고 사회의 개방풍조로 성(性)활동 연령이 낮아지고 성활동이 증가하여 혼전임신과 성폭력이 증가하고 있다. 여성들은 일찍 단산하고, 폐경 연령은 높아지고, 평균수명은 길어져 중년기와 장년기 그리고 노년기가 길어져 각종 만성질환에 이환될 기회가 늘어났다. 이러한 시기의 중요 건강문제들은 뇌혈관질환, 폐암, 유방암, 골다공증, 뇨실금 등과 같이 해결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이렇게 어린이와 여성들에게 새로운 건강문제들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대응정책이 없었고, 따라서 새로운 모자보건사업이 개발되지 않았으며 일선 보건요원의 훈련도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건강실태를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하고, 보건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보건정보체계가 없는 실정이다. 1990년대 중반에 소수의 학자들이 어린이와 여성건강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하고, 모자보건사업 활성화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보건복지부가 '모자보건선도보건사업'이라는 이름으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간 23개 보건소에서 시범사업을 시행하였다. 이 시범사업에서는 한정된 자원으로 여성과 어린이 보건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보건사업의 개발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의 개발에 역점을 두어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시범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2002년에는 전국의 45개 보건소로 확대해나가고 있다. 모자보건선도보건사업에서는 임산부가 대상이었던 기존의 모자보건사업과는 달리 신생아, 영유아, 학동기 어린이, 청소년, 그리고 신혼부부에서부터 장년기 여성에 이르기까지 사업대상을 확대하고 생애주기에 따라 지역사회 건강문제해결을 목표로 한 보건사업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사업수행 과정에서 보건소는 지역내 대학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기술적 지원을 받고, 보건요원의 교육 훈련을 통해 사업기획 능력과 전문지식과 기술을 향상시켰고, 보건교육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를 구입하였고, 민간의료기관과 연계하여 보건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켰다. 모자보건 선도보건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취약계층 중심의 보건교육, 상담 및 지도, 고위험대상자 조기발견 및 민간기관 의뢰 및 주구관리, 질병 조기발견을 위한 검진 의뢰, 지역 보건통계 생산과 관리, 그리고 지역내 가용자원 안내 등이며,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민간의료기관에 의뢰 또는 검진비용을 지원하였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 민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함에 따라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하게 되었고,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치료, 사후관리를 포함한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고위험 및 건강의심 대상, 임부와 장년기 여성에 대해서는 건강검진서비스를 과감히 민간기관에 의뢰, 위탁하친 보건소는 상담자, 정보관리자로서의 역할로 전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업관리자의 양적 평가에 대한 고정관념과 질적 평가에 대한 인식부족, 기본 생정통계와 정보체계의 미비로 인한 부정확한 통계생산, 사업요원의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 그리고 인력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효율적인 사업확산과 조기 정착을 위해 중앙정부의 일관성 있는 정책과 재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보건정보체계확립, 그리고 공공보건기관과 민간의료기관간의 공식적인 협력체계확립이 필요하다. 사업추진 모니터링 및 평가, 조정을 위하여 중앙에 '모자보건 선도사업 기술지원단'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프로그램 운영이 잘되는 보건소를 특성화 보건소로 지원 육성하고, 사업요원의 업무 적정화를 위한 보건소 조직과 기존 보건사업체계의 평가와 재편이 필요하다. 보건사업요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훈련 시스템과 보건통계생산 관리를 위한 정보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모자보건사업관련 보건교육자료를 수집하고 개발하여 전국 보건소에 공급하는 중앙 보건교육자료 및 정보센터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