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화과정

Search Result 1,42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Weighting and Expansion of Sample O-D Freight Data, Focusing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대도시권 화물 기종점 통행량 전수화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

  • Kim, Kang-Soo;Cho, Hey-J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5D
    • /
    • pp.755-761
    • /
    • 2006
  • Though freight origin and destination data is essential for analysing transport investment and planning logistics facilities, th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freight origin and destination data is very r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method on weight and expansion of sample freight data focusing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s the weight and expansion method which consider truck and commodity tonnage together. This paper also discuss the origin and destination trip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more reliable freight origin and destination data.

Probability Theory-based Flood Vulnerability for Agricultural Reservoirs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 대응 농업용 저수지의 확률론 기반 홍수 취약성 산정)

  • Park, Jihoon;Kang, Moon Seong;Song, Jung-Hun;Jun,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46-346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의 동시다발적인 발현은 농촌 지역의 홍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현재의 기후시스템은 과거의 강우빈도를 기준으로 산정한 설계기준을 벗어나는 강우 사상을 빈번하게 발생시키므로 설계변수의 불확실성을 보다 합리적인 방법으로 정량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확률론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 취약성을 산정하는 데 있다. 먼저 홍수 취약성 해석에 필요한 과거와 미래 수문 자료를 수집하고 전처리 과정을 통해 해석에 적합한 자료로 구축하였다. 설계변수의 불확실성을 분석하기 위해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 유입 설계홍수량에 대해 부트스트랩 (bootstrap) 기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재추출하였다. 부트스트 랩은 표본집단의 확률분포에 대해 가정을 하지 않고 표본집단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모집단의 통계적 추론을 할 수 있는 비모수적인 리샘플링 기법이다. 부트스트랩 추론은 표본집단의 추정치, 편의, 표준오차를 산정하고 신뢰구간을 추정한다. 부트스트랩 추론을 통해 산정하는 신뢰수준을 이용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 취약성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는 설계변수에 내재하는 불확실성을 부트스트랩 기법을 이용하여 정량화하고 확률적인 값을 가지는 홍수 취약성으로 산정하여 제시할 수 있다.

  • PDF

Modification of Seawater Intrusion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Coastal Aquifer of Jeju Island, Korea (제주도 지하수 해수침투 취약성 평가 개선)

  • Chang, Sun Woo;Kim, Min-Gyu;Chung, Il-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2
    • /
    • 2020
  • 해안 지역은 종종 도시화, 인구 증가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해 해안대수층의 지하수의 염도가 증가하는 현상인 해수침투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국내 제주도 해안대수층을 대상으로 GIS 기법을 이용한 수리지질학적 변수의 지수화 방식으로 해안대수층의 해수침투 취약성 평가를 적용하였고 국내 해수침투 특성을 더욱 명확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취약성 평가 방식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대수층 특성, 수리전도도 특성, 지하수위, 해안으로부터의 거리, 염도분포, 대수층 깊이 등의 자료를 확보하여 취약성 평가의 주요 인자로 활용하였으며 특히 다년간에 걸친 국내 해수침투 관측망 관측 자료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취약성 평가 인자 중 지하수위를 지수화 하는 과정에서 지하수위의 평가 구간 범위를 개선하였고, 염도 적용 방식을 해수침투 관측망 데이터 유형인 전기전도도를 이용한 새로운 평가 구간 범위를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에 해수침투가 발생했던 지역에서의 취약성 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취약성 평가의 개선 작업 결과에 의해 지속적인 지하수위 하강이 발생하고 계절적 요인으로 해수침투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취약 지수의 증가세를 더욱 선명하게 구분할 수 있었다.

  • PDF

Research on Records and Archival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in Japan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Establishing a Local Government Archives in the Nagano Area (일본의 지방 아카이브 연구 나가노 지역의 기초 자치체 아카이브 설립 사례를 중심으로)

  • Yi, Kyoung Yong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64
    • /
    • pp.93-118
    • /
    • 2020
  • This paper focuses on the phenomenon that basic municipalities in Nagano Prefecture, Japan, have established archives in the last two to three years, and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auses. The movement of establishing a continuous archive of regional historical associations that encompassed several regions beyond a specific municipality exerted great influence. The linkage and cooperation activities of The Japan Society of Archives Institutions also acted as a major factor. These examples of municipal archives in Nagano Prefecture will give prospects and implications that can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archive in Korea.

Optimal Spatial Scale for Land Use Change Modelling : A Case Study in a Savanna Landscape in Northern Ghana (지표피복변화 연구에서 최적의 공간스케일의 문제 : 가나 북부지역의 사바나 지역을 사례로)

  • Nick van de Giesen;Paul L. G. Vlek;Park Soo 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0 no.2 s.107
    • /
    • pp.221-241
    • /
    • 2005
  •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s (LUCC) occur over a wide range of space and time scales, and involve complex natural, socio-economic, and institutional processes. Therefore, modelling and predicting LUCC demands an understanding of how various measured properties behave when considered at different scales. Understanding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driving forces and constraints on LUCC is central to understanding the scaling issues. This paper aims to 1) assess the heterogeneity of land cover change processes over the landscape in northern Ghana, where intensification of agricultural activities has been the dominant land cover change process during the past 15 years, 2) characterise dominant land cover change mechanisms for various spatial scales, and 3) identify the optimal spatial scale for LUCC modelling in a savanna landscape. A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 was first applied to identify land cover change intensity (LCCI), using four time-sequenced NDVI images derived from LANDSAT scenes. Three proxy land use change predictors: distance from roads, distance from surface water bodies, and a terrain characterisation index, were regressed against the LCCI using a multi-scale hierarchical adaptive model to identify scale dependency and spatial heterogeneity of LUCC processes. High spatial associations between the LCCI and land use change predictors were mostly limited to moving windows smaller than 10$\times$10km. With increasing window size, LUCC processes within the window tend to be too diverse to establish clear trends, because changes in one part of the window are compensated elsewhere. This results in a reduced correlation between LCCI and land use change predictors at a coarser spatial extent. The spatial coverage of 5-l0km is incidentally equivalent to a village or community area in the study region. In order to reduce spatial variability of land use change processes for regional or national level LUCC modelling, we suggest that the village level is the optimal spatial investigation unit in this savanna landscape.

Green Belt Abolition and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The Case Study of Chongju City (개발제한구역의 해제와 전략환경평가: 청주시를 사례로)

  • Lee, Jong-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2 no.3
    • /
    • pp.121-135
    • /
    • 2003
  • 1999년 7월 청주권을 비롯한 7개 지방중소도시권은 친환경적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한 후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도록 하고, 수도권을 비롯한 7개 대도시권은 보전가치가 낮은 지역을 위주로 부분적으로 해제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표고, 경사도, 농업적성도, 식물상, 임업적성도, 수질 등 6개 항목에 대한 환경평가를 통해 개발제한구역에 용도지역이 지정되었다. 청주시의 경우 환경평가와 주민의견 반영 후 도시계획재정비에 따라 용도지역이 지정되었으나, 평지나 산림생산성이 떨어지는 곳은 낮은 환경등급을 받아 개발이 가능한 용도지역이 지정됨으로써 벨트형 녹지 유지가 어려워져, 시가지 팽창, 대전과 연담화, 도시 허파기능 상실 등의 가능성이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청주권 개발제한구역의 시가화 영향을 토지피복, 지목, 용도지역 등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고, 6개 항목에 대한 환경평가 과정상 문제점을 고찰한 후, 개발제한구역의 해제 영향을 도시성장측면과 환경용량평가를 통해 규명하고, 전략환경평가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략환경평가의 시행을 위해서는 먼저 오염총량관리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개발밀도관리구역,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의한 인구집중시설에 대한 개발총량규제 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미 시행중인 개발사업 및 개발계획중인 사업에 대한 누적영향평가와 함께 해당 지역에 대한 환경용량평가가 이뤄져야 하고, 아울러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에 대한 사전환경성검토업무편람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환경평가항목에 대한 스코우핑, 환경평가 지표 개발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A Study on Plan for Utilizing Historical-Cultural Contents in the River Basin (하천유역에서의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방안)

  • Ho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7-417
    • /
    • 2019
  • 하천의 기능은 공학적 관점에서의 이수, 치수, 환경 기능 외에도 사회적 관점에서 역사 문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우효섭, 2009). 1990년대 말부터 하천복원사업이 본격화 되면서 최근에는 하천환경 기능 외에도 친수를 포함한 역사 문화 기능이 하천관리의 주요 축으로 고려되거나 포함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하천의 역사 문화 기능을 주문하는 요구가 증가한 이유로는 하천복원사업의 지역적 획일화, 친수(심미) 요구 증대, 지역 경제성 제고, 환경(생태, 문화 등) 가치 증대 등 사회경제적 정책적 환경 변화가 기인한 부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하천의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관리와 보전을 위한 방안으로 하천의 역사 문화적 요소를 사회 경제적, 생태 환경적 요소와 연계하는 접근방식은 유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공동체가 형성해온 물 문화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하천유역의 역사 문화적 소재 및 자원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조사 수집된 다양한 역사 문화적 소재 및 자원은 하천사업 및 관리의 주요 콘텐츠로 활용되기 위한 창출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사회 경제적, 생태 환경적 요소와 연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역을 대상으로 문헌조사 기반의 사전조사와 심도 있는 현장조사(탐문조사 등) 수행결과를 토대로 향후 하천복원사업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역사 문화적 소재와 자원 등에 관한 콘텐츠를 도출하였다. 또한 콘텐츠 활용방안은 하천 역사 문화 자원의 세부적인 콘텐츠를 아우를 수 있는 테마설정을 통하여 대상지 및 지역특성(치수 안전, 지역요구, 물 문화 가치 등) 등을 고려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친수 측면에서 현재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방문자수, 목적(산책, 스포츠, 낚시, 물놀이, 레저 등) 등에 대한 패턴과 지역 인구 현황, 접근 인프라(교통, 이동로, 편의시설 등), 주민 요구도 등 잠재적 친수도는 물 문화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주요한 고려사항이라 할 수 있다.

  • PDF

Spatial Conceptualization of Transnational Migration : Focusing on Place, Territory, Networks, and Scale (초국가적 이주와 정착을 바라보는 공간적 관점에 대한 연구 : 장소, 영역, 네트워크, 스케일의 4가지 공간적 차원을 중심으로)

  • Park, Bae-Gy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5 no.5
    • /
    • pp.616-634
    • /
    • 2009
  • Criticizing the existing social science approaches to transnational migration for their ignorance of spatial perspectives and the resultant limit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rete process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settlement,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spatial perspectives and geographical epistemology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and conceptualization of transnational migration. In particular, it emphasizes that the processes of transnational migration cannot be solely understood in terms of 1) global capitalist restructuring and economic rationality, 2) the impacts of deterritoralized transnational networks, or 3) the operation of immigration regimes constructed at the national scale. Alternatively,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nceptualization of 'transnational space', which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o-spatial dimensions - that is, place, territory, scale and networks - that affect the processes of transnational migration, could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transnational migration.

  • PDF

Development of Stochastic Model and Simulation for Spatial Process Using Remotely Sensed Data : Fire Arrival Process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공간적 현상의 모형화 및 시뮬레이션 : 자연화재발생의 경우)

  • 정명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6 no.1
    • /
    • pp.77-90
    • /
    • 1998
  • The complex interactions of climate, topography, geology, biota and hwnan activities result in the land cover patterns, which are impacted by natural disturbances such as fire, earthquake and flood. Natural disturbances disrupt ecosystem communities and change the physical environment, thereby generating a new landscape. Community ecologists believe that disturbance is critical in determining how diverse ecological systems function. Fires were once a major agent of disturbance in the North American tall grass prairies, African savannas, and Australian bush. The major focus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stochastic model of spatial process of disturbance or spatial events and simulate the process based on the developed model and it was applied to the fire arrival process in the Great Victoria Desert of Australia, where wildfires generate a mosaic of patches of habitat at various stages of post-fire succession. For this research, Landsat Multi-Spectral Scanner(MSS) data covering the period from 1972 to 1994 were utilized. Fire arrival process is characterized as a spatial point pattern irregularly distributed within a region of space. Here, nonhomogeneous planar Poisson process is proposed as a model for the fire arrival process and rejection sampling thinning the homogeneous Poisson process is used for its simulation.

  • PDF

A Study for the DEM Generation from the SPOT Imagery Using Alternative Sensor Model Based on DLT (DLT 기반의 대안적 모형화(Alternative Sensor Model) 방법을 이용한 SPOT 위성영상의 DEM 생성에 관한 연구)

  • Yang, In-Tae;Lee, In-Yeub;Oh, Myung-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2 s.29
    • /
    • pp.67-71
    • /
    • 2004
  • Increasing number and acquisition rate of satellite imagery promoted researches related with DEM generation based on satellite imagery. SPOT image gave us advantage to generate DEM which covers wide area of $60km{\times}60km$. In the case of rigorous sensor model of SPOT imagery, ephemeris data and several ground control points are need and requires arduous computational costs to produce DEM. In this study, using alternative sensor model based on Direct Linear Transform, we generated DEM using small number of ground control point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acquire the DEM with suitable accura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