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화과정

Search Result 1,43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Study on the Critical Improvement needs and Regeneration elements in old Apartment estate (노후 아파트단지의 주요 개선 요구와 재생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 Lee, Tae-Hee;Lee, Eung-Hyun;Oh, Deog-S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9
    • /
    • pp.4266-4276
    • /
    • 2012
  • This study intend to analysis the main issue of deterioration of old housing complex for reproduction and derive the solution. Most of existing reproduction of hosing complex pushed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or expected rise real estate in value. For that reason, there was a limit to improve social problem of urban area behind hosing complex and surrounding area. Because government propel to make brand of city, have parking facilities and rise floor space index rather than established reproduction plan based on the aging problem of housing complex. Therefore, city need to deduct major reproduction issue to improve aging problem and prepare effective counterplan in complex and surround area by reproduction. This study progress through three steps of research. First, arrange problem of aging complex and way of response sustainably. Second, understand the importance by group toward improvement and aging problem that appear aging apartment complex through survey and opinion of expert. Third, comprehend major reproduction issue over this.

Pesticide-Originated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Agricultural Waterways in Chungcheong Province, Korea (충청지역 농업용수 중 농약 유래 POPs의 모니터링 연구)

  • Lee, Hwa-Sung;Jeon, Hwang-Ju;Lee, Hoi-Seon;Lee, Sung-E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8 no.4
    • /
    • pp.291-294
    • /
    • 2015
  •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including banned organochlorine pesticides, are found in Korean agricultural environments. Their translocation from agricultural environment to major crops has been reported. In this study, the POPs in 15 different agricultural waters of the Chungchung Province were monitored and all samples were prepared, followed by liquid-liquid fractionation and column chromatography prior to analysis using gas chromatography. Among pesticide-originated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alpha}$-endosulfan was determined in the range of 0.01 to 1.13 ng/mL. ${\beta}$-Endosulfan was determined in the range of 0.01 to 0.55 ng/mL, and endosulfan sulfate was ranged from 0.13 to 1.13 ng/mL. The total sum of endosulfans reached the range of 0.38 to 1.18 ng/mL. Three pesticides being used currently were also found in samples as 2.03-2.05 ng/mL for triadimefon, 0.26-0.33 ng/mL for tolyfluanid, and 1.34-3.85 ng/mL for chlorpyrifos. Taken together, endosulfans were introduced in the agricultural waters and their fates need continuous monitoring.

Technology Innovation and Changes on Structure of Value Creation in an Industrial Ecosystem (산업생태계의 기술혁신과 가치창출 구조 변화)

  • Han, Eunjung;Hong, Soon-Goo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0 no.1
    • /
    • pp.175-204
    • /
    • 2017
  • The existing innovation policies and strategies mainly focused on the influencing factors for improvement of innovation outcome. However, these strategies were not always successful in driving innovative activities that make technology innovation disseminated. In this regard, innovation ecosystems approach has recently been coming to the force to establish a successful innovation strategy. The innovation ecosystems concept describes that innovation processes are evolved through collaborative networks of economic actors. In an innovation ecosystem, different organizations collaborate for technology development and its use. They interact for value co-creation by sharing mutual resources. The organizational networks are re-organized by dynamic changes of actors' interactions, which drive innovation mechanism of the networks. Recent studies on innovation ecosystems mostly have paid attention on developing theoretical frameworks to describe dynamics of an innovation ecosystem. There have hardly been empirical tests on the theoretical ecosystem models. In this vein, we investigated dynamics of an innovation ecosystem by analyz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collaborative network among organizations which are involved in the use of innovative technologies. Particularly, we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s of the interaction patterns among the organizations. This test was performed by an analysis of structural equivalence on the network dataset transformed from the organizational interactions. This result provides a guideline for an organization in developing an innovation strategy under a systemic perspective.

A Evaluation of Manufactural Performance by Applied Quiet Pavement (저소음 포장의 현장 생산성능 평가)

  • Jun, Soon Je;Kim, Wan Sang;Kim, Young Jin;Ryu, Deug Hyun;Lee, Suck H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81-181
    • /
    • 2011
  • 도로는 국내 물류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반시설로 국내 경제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1970년대 개통된 경부고속도로는 우리나라의 대동맥으로 산업 성장의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기반이 되었고, 공학적인 차원에서도 도로 포장재료를 경험 및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적용하는 계기로 도로공학발전의 초석이 되었다. 과거에 적용된 도로 포장재료는 기술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배합설계가 진행되었으며, 중차량의 비중이 많은 지역은 강성포장을 적용하고, 상대적으로 중차량이 적은 구간은 연성포장을 적용하는 설계를 따랐다. 하지만, 강성포장을 대표하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은 시공상의 복잡함과 시멘트 콘크리트 특성상 강도발현을 위해서 일정기간 이상의 양생일수가 필요하므로, 도로건설의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지역에서는 사용의 제약이 따른다. 연성포장을 대표적하는 재료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을 들 수 있다. 강성포장보다는 상대적으로 시공상의 편리함과 일정기간의 양생이 필요하지 않아 도로 포장재료로서 그 적용성이 우수하다. 과거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종류가 단순화되어 표층, 기층에 대표되는 몇몇 혼합물이 도로 포장재료로 사용되었다. 도로공학의 학문적 발달과 함께 도로포장의 전반적인 기술이 향상되고 있다. 과거의 도로 기능은 국가 경제발전을 위한 산업용 원자재의 운반이 주요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반면, 국민의 경제적 수준이 증대되고 자가용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도로 이용의 주체가 국민 개개인으로 변화되고 있고, 그 요구조건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도로공학의 기술적 향상으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도로포장재료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배수성 포장, 반강성 포장, 보수성 포장, 탄성 포장, 저소음 포장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포장의 하나인 저소음 포장의 특성 중 생산성능을 평가하였다. 생산성능이란 저소음포장을 현장 플랜트에서 생산하였을 경우의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으로, 실내 실험으로 최적화된 재료의 배합은 이상적인 조건을 적용하여 결정된 것으로 입고된 현장 골재 및 생산 플랜트 조건에 따른 그 배합 및 물성이 변동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저소음 포장은 기존의 아스팔트 포장과 달리 적용되는 골재, 아스팔트의 재료가 고성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특수한 재료를 적용해야 한다. 배합설계에서도 개립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적용되는 내구성분석 절차를 따라야 하므로, 실내 배합설계 혼합물과 현장 생산 혼합물간의 물리적 특성에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 및 현장 혼합물의 전반적인 물리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여 저소음 포장의 현장 생산성능을 확인하였다. 분석요소로는 혼합물의 기초물성면에서는 밀도, 공극률을 분석하였으며, 실내 내구성면에서는 마샬안정도, 잔류안정도를 분석하여 실내 및 현장 혼합물의 물성차이를 분석하였다. 기초물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밀도와 공극률에서는 생산 현장 혼합물이 실내 혼합물 보다 높은 밀도와 낮은 공극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상관하여 강도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마샬안정도도 생산 현장 혼합물이 다소 높은 강도를 발휘하였다. 또한, 수분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는 인자인 잔류 안정도에서는 실내 및 현장 혼합물 모두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altime renewal and update of digital map using general survey (일반측량 성과도를 활용한수치지도의 실시간 수정갱신 체계화 연구)

  • Lee Sang-Gil;Kwon Jay-Hyoun;Yang Hyo-Jin;Cho Seong-K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6-151
    • /
    • 2006
  • 현재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통해 유통되고 있는 수치지도(Digital map)는 대부분 항공 측량사진(Air survey Photographs)이나 위성영상(Satellite images)을 통해 취득된 토지 피복의 형상을 기반으로 제작된 지도들이다. 정사사진으로부터 취득된 지형정보를 기호화, 단순화한 수치지도는 실제 사물의 형태와 많은 차이가 있어 지형과 시설물의 변이를 사실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특히 최근 들어 지하시설물이나 건축기술의 발달로 층별 구조가 다양해진 건축물의 형태 등은 정사사진으로는 식별이 불가능하고 건물의 경우 지붕의 형태로 묘사되는 등 표현에 한계가 있다. 도심지역을 대상으로 제작된 1/1,000수치지형도나 일부 지자체나 공공기관 등에서 제작된 $1/500{\sim}1/2,500$ 수치지형도는 상세한 지형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높은 정밀도의 수치지도이지만, 도시지역의 변이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자료 신뢰성과 최신성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지조사나 측량에 의존하고 있는 정사사진으로부터 취득이 불가능한 지형자료의 취득이나 수년단위인 갱신주기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시간으로 수치지도를 수정갱신 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일반측량성과도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반측량업에서 생산되는 일반측량성과도는 임시 도근점에 의해 측량을 실시하고 지적경계점과 현황기지점을 도해법에 의해 지적도와 중첩시켜 제작한 측량도로서, 일반측량 성과도에 절대좌표체계를 부여하고 수치지도와 매칭 기법을 제시함으로서 경제적이고 신속한 실시간 수치지도 수정갱신체계를 확립할 수 있고, 자료의 공유함으로써 중복측량을 방지할 수 있다.보 등)를 활용, 구축된다.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는 구축시점에 따라 현재 및 장래 네트워크로 구분되며 장래 네트워크는 기준년도부터 2031년까지 5년 단위로 계획된 장래도로를 반영하여 구축된다. 교통주제도 및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는 국가교통DB구축사업을 통해 구축된 자료로서 교통체계효율화법 제9조의4에 따라 공공기관이 교통정책 및 계획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건설교통부의 승인절차를 거쳐 제공하며 활용 후에는 갱신자료 및 활용결과를 통보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되어있다. 교통주제도는 국가의 교통정책결정과 관련분야의 기초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ITS 노드/링크 기본지도로 활용되는 등 교통 분야의 중요한 지리정보로서 구축되고 있다..20{\pm}0.37L$, 72시간에 $1.33{\pm}0.3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F=6.153, P=0.004), 술 후 폐환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은 수술 후 72시간에서 실험군이 $1.90{\pm}0.61L$, 대조군이 $1.51{\pm}0.3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620, P=0.013).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수술 후 24시간에서 $1.33{\pm}0.56L,\;1.00{\ge}0.2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530, P=0.017), 술 후 72시간에서 $1.72{\pm}0.65L,\;1.33{\pm}0.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540, P=0.016). 6) 대상자의

  • PDF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ssociated with the Weakening of Tropical Cyclones (태풍의 약화와 관련된 한국의 강수량 분포)

  • Hwang, Ho-Seong;Byun, Hi-Ryong;Lee, Sang-Min;Choi, Ki-Seon;Lee, Ji-S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4
    • /
    • pp.322-334
    • /
    • 2010
  •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in Korea, associated with the weakening of Tropical Cyclones (TC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32-36^{\circ}N$, $122-132^{\circ}E$) over the last 30 years (1979-2008), were investigated. Weakened TCs are classified as WEC (Weakened to Extratropical Cyclone) and WTD (Weakened to Tropical Depression). In WEC, precipitation was evenly distributed 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greater precipitation was recorded in the southern coast. In WTD, the most precipitation was recorded in the southern coast but low precipitation was recorded in the central and inland areas of Korea. The difference of precipitation between WEC and WT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gion 2 (Jeollanam-do, Gyeongsangnam-do, southeastern part of Gyeongsangbuk-do, Jeju-do); however, the precipitation resulting from WEC was greater than that resulting from WTD in Region 1 (central area of Korea, Jeollabuk-do, inland of Gyeongsangbuk-do). In WEC, the developed upper-level potential vorticity (PV) and low-level temperature trough shifted to the northwest of TCs approaching Korea. In addition, an upper-level jet stream and strong divergence field were observed to the northeast of the TCs. It was assumed that these meteorological factors had induced baroclinic instability and diabatic process, which created a large precipitation area around the TCs. However, the intense PV, temperature trough, jet stream were not observed in WTD, which created a small precipitation area around the TCs.

A Comparative Study of Actualit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Cyber Home Learning System (사이버 가정학습체제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실태 비교연구)

  • Jung, Ju-Young;Kim, Hya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1 no.3
    • /
    • pp.339-347
    • /
    • 2007
  • Along with developmen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ternet has spread not only all over the society, but also our everyday life deeply. Recently, requirements for e-learning using internet in the educational aspect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changes of school educations. Cyber Home Learning System, in particular, has been implemented throughout the nation for the purpose of reducing private expenditure for education and promoting substantial improvements in quality of public education. However, there have been exposed many problems with respect to quality of operations and managements of the system comparing to its quantitative growth, and so, at this point in time, researcher conducted analysis of actuality of perceptions of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with a focus on the case of S System in K province. To test this, total 278 participants were sampled from the elementary schools (139 teachers) and the middle schools (139 teachers) located in K province and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and the results therefrom were analyzed accordingly. Results from the analyses reveal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other respondents in the most areas, including supply of a variety of learning contents of S System, quality of contents, and providing for helps insomuch as to complement school works, etcetera. In addition, researcher has found out that, to make the system become all the more efficient, it shall be required to establish a strategy in order to induce students' interest in the system, as well as to construct infrastructure for facilitating the use of computer. And that there are also needs for continuous supports from both the school and the education authority concerned, and for method of flexible operation of curriculum.

  • PDF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Planning and Modelling of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다문화정책 방향 제시 및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Hyew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6 no.2
    • /
    • pp.337-366
    • /
    • 2015
  • This study had begun about the conflict between a lack of social adjustment and integration program for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and a duplication of multicultural service in a specific area. This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for analyses of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multicultural policy, subdivided into 3-stages model to reach the multiculturalism as multicultural policy process. The first stage suggested the unification of a channel for establishing a policies, reinforcing the functions of government ministries an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branches of the government. The second stage attempted to build the multicutural institutes network in a specific area unit, considering of the geographical and administrative environments. The third stage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individual organizations and proposed collaboration with library, school, support center for multi-cultural families, social service center, sport center, community center, and cultural facility. Additionally, 3-stages model emphasized on civic organization's role. This study was offered a meta-platform leaded by library community for sharing the information about planning and managing of multicutural programs and also mentioned significances for formulating multicutural policies. As a result, this study was presented and specified the 3-stages model to reach the multiculturalism, and verified the various considerations which have influenced the refinements of the multicultural policies as the demographic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Sensitivity of Hydraulic Structures Design Parameter by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의한 수공구조물 설계인자 민감도 연구)

  • Kong, Jung-Sik;Kim, UlAnY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19-419
    • /
    • 2011
  • 이상호우, 사막화, 빙하융해, 생태계 먹이사슬 변화, 이상기온 등 기후변화의 행태는 지구 곳곳에서 다양하게 발발되고 있으며 그로인해 발생되는 인적 물적 피해가 심각하다. 1996년 집중호우에 의한 연천댐체 파괴, 2002년 8월의 낙동강 유역 장기홍수, 2002년 태풍 루사 및 2003년 태풍 매미 등 국내에서는 기후변화 중에서도 주로 이상호우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가 많았으며 이들은 주기성이나 특성을 갖지 않아 예측이 어려운 관계로 망양보뢰 식의 후처리에 급급한 실정이었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별 홍수량, 가뭄량 등에 관한 연구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해당 기후모델 발현 시 기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필수적이다. 나아가 기존 구조물 뿐 아니라 새로 시공되는 구조물의 설계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위해 추가적으로 포함해야 할 요소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기후모델에 대해 그 모델이 예측하는 홍수량이 실제 발현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기존 수공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영향인자의 민감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수공구조물은 붕괴 시 영향력이 큰 정도를 기준으로 필댐, 콘크리트차수벽형석괴댐(CFRD), 콘크리트중력식댐, 제방으로 그 범주를 제한 하였으며 대상유역은 한강으로 가정하였다. 구조물의 안정성 검토방법은 각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흙이 주 재료인 제방과 필댐의 경우, 침투(Piping)와 비탈면(Sliding)에 대한 안정성 평가가 이루어지며 CFRD는 댐체와 벽체로 나누어 안정성평가를 하며 댐체 안정성 평가방법은 필댐과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설계기준(2009)과 댐설계기준(2005)에 따라 각 구조물의 기준안전율을 책정하였으며 점착력, 내부마찰각, 단위중량 등의 물성치는 해당 지역의 토질특성에 따라 여러 문헌을 참고하여 설정하였고 이를 SEEP/W, SLOP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해석을 실시하였다. 콘크리트중력식댐은 활동, 전도, 지지력에 대해 각각 안정성을 평가하며 MIDAS와 ABAQUS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해석하였다. 민감도(Sensitivity)란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인자들의 변화에 따라 안정성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말한다. 기후변화에 의한 수공구조물 설계인자 민감도 연구를 통해 기존 설계과정 또는 안정성 검토 시 해당인자의 기여도를 높이거나 새로운 설계인자를 추가하여 미래 상황에 대한 구조물의 위험 정도를 과거대비 상세히 예측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적절한 대응 방안 제시에 기여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를 감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Role of Smart City Governance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의 조직체계와 역할)

  • Nam, Kwang-Woo;Park, Jeong-Woo;Park, Jun-Ho;Ji, Sang-Tae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3 no.1
    • /
    • pp.69-85
    • /
    • 2017
  • The positive changes in urban space and urban activities resulting from the urban services provided by Smart City is not accomplished by simply creating the physical environment built on ICT but through the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citizens and private sector, which is in fact key to success. In this study, this research analyzed the role and structure of smart governance, which is a system of horizontal cooper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 and analyze its role in developing Smart City. The study also proposes various ways to facilitate such development in each of critical categorie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studied 228 smart services across 11 categories registered in the Ministry of Land and Transport in Korea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mart services by spatial hierarchy and their characteristics Also, the research conducted a case study of MetroGIS, which is an information collaboration governance system for the greater area of Minneapolis and St. Paul in the state of Minnesota, United States, to explore how governance is formed; its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role of sub-level organization hierarchy and their inter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required to create a smart city: first, public sector resource assistance for building community; second,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within the community and with outside the community; securing financial stability and establishing a model of sustainable development to induce the community to evolve into a governance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