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Planning and Modelling of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다문화정책 방향 제시 및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이혜원 (서울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5.06.04
  • Accepted : 2015.06.24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study had begun about the conflict between a lack of social adjustment and integration program for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and a duplication of multicultural service in a specific area. This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for analyses of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multicultural policy, subdivided into 3-stages model to reach the multiculturalism as multicultural policy process. The first stage suggested the unification of a channel for establishing a policies, reinforcing the functions of government ministries an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branches of the government. The second stage attempted to build the multicutural institutes network in a specific area unit, considering of the geographical and administrative environments. The third stage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individual organizations and proposed collaboration with library, school, support center for multi-cultural families, social service center, sport center, community center, and cultural facility. Additionally, 3-stages model emphasized on civic organization's role. This study was offered a meta-platform leaded by library community for sharing the information about planning and managing of multicutural programs and also mentioned significances for formulating multicutural policies. As a result, this study was presented and specified the 3-stages model to reach the multiculturalism, and verified the various considerations which have influenced the refinements of the multicultural policies as the demographic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사회 전반적으로 국내 거주 외국인 등의 사회적응 및 통합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사실과 동일 지역 내 다문화 서비스 중복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상충되고 있음에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다문화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세 단계로 세분화된 다문화정책 수립 과정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다문화정책을 수립하는 장을 단일화하여, 관련된 부처 기능을 강조하는 동시에, 부처 간의 협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며, 두 번째 단계에서는 지리적 행정적 환경을 고려한 특정 지역 단위의 다문화기관 연계망 구축을 제안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개별 기관들의 활동에 초점을 두어, 관종별 도서관, 학교, 다문화지원센터, 사회복지기관, 체력증진센터, 주민센터, 문화시설 등 관련기관들의 협력을 도출하였으며, 부가적으로 시민단체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문화 정책 방향성과 모형화를 위한 도서관계의 구체적인 노력으로 다문화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정보 공유의 장인 메타 플랫폼을 제안하였으며, 다문화정책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정책의 모형을 구축하고 세분화하여, 다문화주의의 통합에 도달하는 단계를 구체화하였으며, 다문화정책 수립 시 고려되어야 할 인구학적 지리학적 특성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4. 다문화교육중점학교 프로그램 운영매뉴얼. 서울: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국립중앙도서관 디브러리 홈페이지 [인용 2015. 5. 6].
  2. 김기영, 오해연. 2014.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3): 77-100.(Kim, Gi-Yeong and Hae-Yeon Oh. 2014.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Users on Multi-cultural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3): 77-10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3.077
  3. 김수경. 2012. 한국전래동화의 독서치료적 가치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3): 271-295.(Kim, Soo-Kyung. 2012. A "Study on the BiBliotherapeutic Values of Korean Folk-tales: Focused on Establishing and Analyzing their Situ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3): 271-295.) https://doi.org/10.4275/KSLIS.2012.46.3.271
  4. 김영미, 조인숙. 2009. 공공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한 다문화 서비스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3): 47-64.
  5. 김영미, 조인숙. 2011. 사서와 다문화인 이용자의 서울시 공공도서관 다문화 서비스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103-124.(Kim, Young-Me and In-Sook Cho. 2011. "The Perception of Librians Multicultural Users on the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1): 103-124.) https://doi.org/10.4275/KSLIS.2011.45.1.103
  6. 김종태. 2013. 한국 다문화의 맥락적 이론화를 위하여 : 캐나다 사례와의 비교.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739-757.
  7. 김태원. 다문화사회의 통합을 위한 패러다임으로서의 유럽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이론적 탐색. 유럽사회문화, 제9호: 179-213.
  8. 김혜영. 2014.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가족정책 : 이념과 정책의 탈구. 여성연구, 87(2): 7-43.
  9. 노지현. 2008. 다문화 장서에 대한 목록 구축의 경험과 교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397-420.(Rho, Jee-Hyun. 2008. "Lesson from the Cataloging Expression on Multicultural Collec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4): 397-420.)
  10. 노지현. 2012. 한국도서관계의 다문화 서비스 방향 모색.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5-27.(Rho, Jee-Hyun. 2012. "Toward the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in Korea : with reference to the Americ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5-27.)
  11.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 발전종합계획(2014-2018).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12.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편]. 2013. 중앙행정기관 외국인정책 시행계획; 제2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2013-2017). 과천 :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13. 안인자, 박미영. 2011. 공공도서관 다문화프로그램 사례 분석과 개선 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279-301.(Ahn, In-Ja and Mi-Young Park. 2011. "Public Library Multicultural Programs and Imrovement Methods Analyzed from Case Stud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3): 279-301.) https://doi.org/10.4275/KSLIS.2011.45.3.279
  14.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인용 2015. 5. 6].
  15. 양수연, 차미경. 2011.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311-332.(Yang, Soo-Youn and Kyeong Cha. 2011. "A Study on the Model of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1): 311-332.) https://doi.org/10.4275/KSLIS.2011.45.1.311
  16. 오해연, 김기영. 2014. 공공도서관 다문화서비스의 주민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2): 125-145.(Oh, Hae-Yeon and Gi-Yeong Kim. 2014. "Perception of Local Residences on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2): 125-14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2.125
  17. 윤인진. 2008.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2(2):72-103.
  18. 이미정, 이미정. 2013.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의 다문화 서비스 운영에 관한 연구: 인천시 중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4): 295-321.(Lee, Mi-Jung and Lee, Mi-Jung. 2013. "A Study on the Operation of Multicultural Services of Public Library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 focus on the Case of Incheon Jungang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4): 295-321.)
  19. 이수상, 장임숙. 2010. 다문화사회의 이주노동자의 정보리터러시 격차.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41(3): 391-419.(Lee, Soo-Sang and Im-Sook Jang. 2010. "Information Literacy Gap of Migrant Worker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3): 391-419.)
  20. 이연옥, 장덕현. 2014. 다문화서비스 담당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의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4): 253-276.(Lee, Yeon-Ok and Durk-Hyun Chang. 2014.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for Multicultural Services Librarian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4): 253-276.)
  21. 이혜영, 곽승진. 2009. 다문화정보서비스의 협력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147-169.(Lee, Hye-Young and Seung-Jin Kwak. 2009. "A Study on Cooperation Networks for Multicultural Information Servi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2): 147-169.)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147
  22. 임동진, 박진경. 2012.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정책에 대한 정책참여자들의 태도와 성향 분석: 공무원, 민간사업자, 전문가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6(2): 29-62.(Lim, Dong-Jin and Jinkyoung Park. 2012. "An Empirical Study of Policy Participants' Attitude and Preference on the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 Focused on Public Servants, Service Providers, Experts."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16(2): 29-62.)
  23. 장임숙, 장덕현, 이수상. 2011. 다문화연구의 지식구조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353-374.(Jang, Im-Sook, Durk-Hyun Chang and Soo-Sang Lee. 2011. "The Knowledge Structure of Multicultural Research Pap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353-374.)
  24. 조용완, 이수상. 2011. 국내 다국어/다문화 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42(1): 269-297.(Cho, Yong-Wan and Soo-Sang Lee. 2011.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269-297.)
  25. 조현상. 2013. 국가의 다문화가족만들기에 관한 비판적 고찰: 제 2차 다문화가족정책기본계획(2013-2018)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4: 127-152.(Joe, Hyeon-Sang. 2013. "A Study on the Making Multicultural Family by the Nation : Analyze the 2nd Multicultural family policy basics plan(2013-2018)."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44: 127-152.)
  26. 최웅선, 이용모, 주운현. 2012. 중앙정부의 다문화정책 조정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독일의 다문화정책 비교를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논총, 22(1): 33-70.(Choi, Woong-Seon, Yongmo Lee and Woon-Hyun Choo. 2012. "A Study on the Central Government Multicultural Policy Coordination: Focusing on a Comparison of Muliticultural Policies between Korea and Germany." Zeitschrift der Koreanisch-Deutschen Gesellschaft Fur Sozialwissenschaften, 22(1): 33-70.)
  27. 한건수. 2012. 한국사회의 다문화주의 혐오증과 실패론 :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다문화와 인간, 1(1): 113-143.(Han, Geon-Soo. 2012. "Multiculturephobia and the Discourse of Failure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 Which Multiculturalism?" Journal of Multicultural Studies, 1(1): 113-143.)
  28. 한윤옥, 조미아, 김수경. 2009. 다문화가정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135-160.(Han, Yoon-Ok, Soo-Kyoung Kim and Mi-Ah Cho. 2009. "A Study on the Current States and Proble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Libr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1): 135-160.)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135
  29. 한윤옥, 조미아, 김수경. 2009. 다문화가정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개발과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91-122.(Han, Yoon-Ok, Soo-Kyoung Kim and Mi-Ah Cho.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Strategies of Servic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Libr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2): 91-122.)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091
  30. Leong, C. H. and Colleen Ward. 2006. "Cultural Values and Attitudes toward Immigrants and Multiculturalism: The Case of the Eurobaromether Survey on Racism and Zenophobia."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0: 799-810. https://doi.org/10.1016/j.ijintrel.2006.0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