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화과정

Search Result 1,42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xperts' Perception of Scienc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Focus on the Revision of the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of Curriculum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 탐색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및 성취기준 개정을 중심으로-)

  • Chun, Joo-young;Lee, Gyeong-geon;Hong, Hun-g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1 no.6
    • /
    • pp.483-499
    • /
    • 2021
  • Th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is closely related to the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policy, which is a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ontinuously expanding and changing environment and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the localiza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has the advantage of advancing to expertise through diversity. In this paper, through experts' percep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the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revision were confirmed, focusing on 'MPOE(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hereinafter referred to as 'guidelin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In conclusion, study participants considered tha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localization of the curriculum was high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cience practices. And they recognized the level of localization at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or village'-level between MPOE-level and school-level. When localization reaches the school-level in the future,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discuss linkage with teacher policies such as teacher's competency, noting that the level of teachers could become the level of localiz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common perception that in order for the science 'guidelines' to be localized, 17 MPOE must be given the authority to autonomously organize some achievement standards in parallel. It was considered that 'restructuring or slimming of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precede loca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nnection with this. On the other h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would enhance the aspect of diversification and autonomy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the establish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was directly related to evaluation, so it recognized the need to refine policies such as new description for evaluation clause in future science 'guidelines'. Finally, considering science and characteristics, it was mentioned that it is necessary to specify regional intensive science education policies in the 'guidelines' themselves beyond the loca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Changes in the Locality of Local Television: A Conceptual Approach (지역방송의 지역성 변화: 개념적 접근)

  • Jo, Hang-Jei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34
    • /
    • pp.275-305
    • /
    • 2006
  • The main research ques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How can broadcasting both cause the crisis in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yet also offer the solution? The contradiction in broadcast localism has never been adequately resolved in spite of regulation at all in practice, in that localism simply cannot account for the diversity of modern life and for the external forces that incorporate local communities into much larger economic and communications network. The concept of locality in local television, however, has been multiplied and enlarged in order to adjust to "time-space compression". Recently the local television have been "interface" combining and negotiating the globalization of media market and the decentralization of political power, the economies of scale and the activation of local democracy, consequently aiming at the horizontal-cooperative network instead of old vertical-dependent one.

  • PDF

Contents Construction of Learning a Region through the Analysis of Local Textbook, Social Studies Inquiry : Life in Seoul (지역화 교과서 분석을 통한 지역 학습 내용 구성 방안 -"사회과 탐구: 서울의 생활"을 중심으로-)

  • Yoon, Ok-K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3 no.2
    • /
    • pp.220-233
    • /
    • 2007
  • In the context of region reconceptualized as a learning framework, using the Seoul region as an example, this paper focused on the debate and the condition of reg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It means that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is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to develop and manage curriculum In that case, region is understood to he a resource used to connect the subject matter to children's experience, Furthermore, region is interpreted as Heimat, community and world around, Heimat is intended to be understood, loved and belonged to, Community is the resource for learning and the space of communication, participation and action, World around is the typical example to be searched, compared and explained by the concept and theory. On the base of the regionalization debate and the classification of learning a region, I analysed the local textbook, Social Studies Inquiry: Life in Seoul and suggested the framework of learning a region. In this paper, I tried to pick out the spatial demension of Seoul. It is classified into the space of experience, participation and inquiry, In conclusion, the region-specific materials and approach laying stress on the issue and topic in the geographical context of the region will determine that a proper regionalization occurs through not only methods hut also content.

  • PDF

A Study on Assessing the Achievement of Regional Co-producted Television Programmes Using the Locality Measurement Index (지역성 평가척도를 이용한 권역공동제작 프로그램의 성과평가 연구)

  • Lee, Bu-Hyo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705-713
    • /
    • 2006
  • 우리나라 지역방송은 방송의 공익성 강화를 위한 방송프로그램의 '지역성 구현'과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 위한 '방송시장의 확대'라는 두 가지 지역방송 발전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 정책실천의 하나로서 인접한 방송권역의 지역방송사(국)들 간에 방송프로그램의 제작과 편성에 있어서 다양한 교류와 협력을 확대해나가는 권역화의 과정이 있다. 그러나 그 결과물인 권역공동제작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내용면 그리고 사업면의 평가 및 검증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방송 간의 제작 편성교류를 통해 제작된 방송프로그램들이 내용면에서 얼마나 이상적인 지역성을 구현하고 있는지, 그리고 사업면에서 얼마나 지역시청자에게 소구력이 있는지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이 평가의 도구로써는 지역 텔레비전 프로그램 별 지역성 지수와 사업성 지수인 방송시청률을 이용한다. 다양한 지역방송프로그램이 얼마나, 어느 정도 지역성과 방송시청률을 담보하고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하나의 평가척도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각 프로그램의 지역성 정도를 구체화하고자 한다. 지역방송의 권역화 과정에서 '이상적인 지역성'의 구현과 '사업적인 안정'의 실현은 상호배타적인 실천과제가 아니라 동시에 균형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중요한 목표인 것이다. 따라서 권역화 과정에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방송프로그램들을 이 두 기준에 맞추어 평가하는 것은 지역방송의 공적 가치와 사업적 토대를 동시에 고려해보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gional Learning System for 3rd Grade (초등학교 3학년을 위한 지역화 학습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경기도 평택 지역을 중심으로 -)

  • Hwang, Sun-Young;Goh, Byung-Oh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2 no.1
    • /
    • pp.49-56
    • /
    • 2008
  • It can be said that the feature of elementary education on Society studies is localization of all curriculum. Among them, the social curriculum of 3rd grade emphasizes on character of local and living experiences. Also the Society studies of 7th curriculum reform focused on new types of localization materials and way of practical using because of development on internet and computer communication, To correspond this need, this paper suggests regional learning system based on the web. which is designed for social studies of 3rd grade student to study Pyeongtaek-City, in Gyeonggi-do. Also, current school field education materials which is elementary 3rd grade localization supporting text can be used as well as i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web educational system to support the needed localization materials for the students.

  • PDF

The Localization of the Chuncheon Mime Festival as a Regional Festival (지역축제의 지방화: 춘천마임축제 사례)

  • Kim, Chang-Hwan;Shin, Young-Kun;Jung, S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1
    • /
    • pp.31-43
    • /
    • 2006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localization processes of the Chuncheon mime festival (hereafter, CMF). Its history and processes can be periodized as three stages: the formative stage ($1989{\sim}1993$), the developing stage ($1994{\sim}1997$) and the settling-down & diffusing stage ($1998{\sim}2004$). Throughout this successful processes, CMF has contributed to settle down the structure of a virtuous circle in the regional (re)vitalization on the economic and socio-cultural dimension since the mid 1990s. This results from (1) a successful mix among vision providers, practioner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citizen, (2) a interplay of the ability of spatial production by the mime culture and the capacity of cultural production by spatial occupiers.

  • PDF

A Study on the Teaching Plan Using Multimedia for the Local Community Unit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지역화 단원의 교수-학습 과정안에 관한 연구)

  • 노정권;양단희;정혜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388-390
    • /
    • 2002
  • 21세기에 접어들어 우리 교육은 세계화, 정보화, 다양화라는 큰 흐름 속에서 민족적 주체성을 함양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특히 사회과목에 있어서는 학습자가 살고 있는 지역의 전통과 특수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목의 지역화 단원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ICT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에 대해 다루었다. 특히 학습자가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통해 보다 쉽게 학습 내용에 접근할 수 있고, 교사는 교수-학습에 다양한 자료를 손쉽게 투입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 PDF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Regional Learning System Based on the Web (웹을 기반으로 한 사회과 지역화 학습 시스템 개발)

  • Hwang, Sun-Young;Goh, Byung-Oh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306-311
    • /
    • 2007
  • 오늘날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로 인하여 컴퓨터와 인터넷이 우리 일상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제7차 교육과정 사회과에서도 최근 컴퓨터 통신과 인터넷의 발달로 새로운 형태의 지역화 자료의 유형과 활용 방안이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웹 기반 지역화 학습 시스템은 정보화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경기도 평택 지역의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현재 학교 현장에서 주된 학습 자료로 쓰이고 있는 초등학교 3학년 지역화 보조 교과서 외에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웹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시스템을 제작함으로써 부족한 지역 자료를 제공한다.

  • PDF

Localization of Text-development on Regional Learning in Social Studies (사회과 지역학습 교재개발의 지역적 적합화 연구 -경남 산청과 충남 서산의 지역학습을 사례로-)

  • Son, Il;Jeon, Jong-H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0 no.2
    • /
    • pp.466-478
    • /
    • 2004
  • Regional learning in social studies has an important educational meaning in that it is a tabloid edition of social studies and it also satisfies the regionalization of national curriculum. Social studies in Korea have mainly been led by the social study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But the local textbook which was currently used in elementary school is structured in a negative meaning of regionalization rather than positive one. It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at the regional learning of social studies in middle school should be pursued by the co-work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processes to develop the local textbook are compared between two distinctive localities such as Sancheong and Seosan. At first, the relative ratio among the six strands is decided to develop several themes for regional learning, considering the landscape, region-related discourses and ecological environments in each region. Secondly, several themes are extracted to organize the contents of local textbook in each region. Lastly, examples of content-organization are suggested in each region. The processes above are just an example of content-organization, not a fixed one. The process, themes extracted, and the content-organization for each reg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chool location, local situation, and the quality of classroom.

  • PDF

Regionalization of Extreme Rainfall with Spatio-Temporal Pattern (극치강수량의 시공간적 특성을 이용한 지역빈도분석)

  • Lee, Jeong-Ju;Kwon, Hyun-Han;Kim, Byung-Sik;Yoon, Seo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429-1433
    • /
    • 2010
  • 수공구조물의 설계, 수자원 관리계획의 수립, 재해영향 검토 등을 수행할 때, 재현기간에 따른 확률개념의 강우량, 홍수량, 저수량 등을 산정하여 사용하게 되며, 보통 대상지역의 장기 수문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수문사상의 확률분포를 산정한 후 재현기간을 연장하여 원하는 설계빈도에 해당하는 양을 추정하게 된다. 미계측지역 또는 관측자료의 보유기간이 짧은 지역의 경우는 지역빈도 분석 결과를 이용하게 된다. 지역빈도해석을 위해서는 강우자료들의 동질성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과정이 되며 이를 위해 통계학적인 범주화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지점 빈도분석의 수문학적 동질성 판별을 위해 L-moment 방법, K-means 방법에 의한 군집분석 등이 주로 사용되며 관측소 위치좌표를 이용한 공간보간법을 적용하여 시각화하고 있다. 강수량은 시공간적으로 변하는 수문변량으로서 강수량의 시간적인 특성 또한 강수량의 특성을 정의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강수지점의 공간적인 좌표 및 강수량의 양적인 범주화에 초점을 맞춘 기존 지역빈도분석의 범주화 과정에 덧붙여 시간적인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요소들을 결정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범주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극치강수량의 발생 시기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한 순환통계기법을 이용하여 관측 지점별 시간 통계량을 산정하고, 이를 극치강수량과 결합하여 시 공간적인 특성자료를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한 군집화 해석 모형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 과정에 있어서 시간속성의 정량화 및 일반화는 순환통계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극치강수량과 발생시점의 속성자료는 각각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K-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해 결합자료를 군집화 하고, L-moment 방법으로 지역화 결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속성 결합 자료의 군집화 효과는 모의데이터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우리 나라의 58개 기상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예비해석 단계에서 100회의 군집분석을 통해 평균적인 centroid를 산정하고, 해당 값을 본 해석의 초기 centroid로 지정하여, 변동적인 클러스터링 경향을 안정화시켜 해석이 반복됨에 따라 군집화 결과가 달라지는 오류를 방지하였다. 또한 K-means 방법으로 계산된 군집별 공간거리 합의 크기에 따라 군집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군집의 번호순서대로 물리적인 연관성이 인접하도록 설정하였으며, 군집간의 경계선을 추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였다. 지역빈도분석 결과는 3차원 Spline 기법으로 도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