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사회자원연계

Search Result 15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의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 박창석;전영옥;조영국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0-123
    • /
    • 2002
  • 본 연구는 농천어메니티의 개념을 토대로 농촌주민과 도시민의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정주기능으로서의 생활자원화와 방문가치로서의 관광자원화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민과 농촌주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농촌자원의 중요도와 순위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자원을 자연적 자원과 문화적 자원, 사회적 자원으로 구분하여 37개 자원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어메니티를 형성하거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주민과 도시민이 지닌 가치에 기초하여 생활자원적 가치와 관광가치적 가치를 동시에 혹은 차등적으로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농촌자원에 대한 중요도 평균에 대한 차이검증(t-test)을 수행한 결과 전체 자원의 56.8%에 해당하는 21개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결과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셋째, 농촌자원에 대한 순위적 상관관계분석에서도 전문가와 전체집단에서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한 순위상관관계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위의 두번째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자원의 개발 방향과 가치부여가 자원의 속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진행되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다섯째, 농촌자원의 유형을 생활자원화와 관광자원화에 대한 중요도의 표준화 점수에 기초하여 4개 유형(유형 I~IV)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형별 자원중요도를 고려하여 농촌마을의 개발목적에 비추어 생활자원형이나 관광자원형과의 연계를 통해 마을의 정체성과 특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

  • PDF

Collaboration Development Factors and Consideration for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actice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위한 협력개발 요인과 논점)

  • Yoo, Seung-Hyun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27 no.5
    • /
    • pp.73-78
    • /
    • 2010
  • Background: Although collaboration for community health is emphasized, the concept and process of collaboration are rather unclear. International research has classified the types of collaboration and focused on the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collaboration. Greater attention is needed for collaboration practice and research domestically. Findings: By the level of intensity, the types of collaboration range from simpler networking to more formal and sophisticated collaboration. A 4-stage collaboration development consists of formation, implementation, maintenance, and institutionalization stages. Influential factors for collaboration development include: shared goals; operational structure and process; sufficient resources; member and leadership characteristics; environment and climate for collaboration; and informa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Discussion: Most of collaboration research so far has dealt with partnerships and coalition building with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and much attention is given to private-public partnership for health. Contextual understanding and collaborative environment are the foremost tasks for us to enhance collaboration for community health in our centralized public health system.

UAV-borne, LiDAR-based Elevation Data : Facilitating Risk Knowledge Sharing for Green and Sustainable Communities (LiDAR 활용 : 지식교류를 통한 지속가능한 녹색도시 실현에 관한 연구)

  • Lee Han Gul;Yoon Hong Sic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11-112
    • /
    • 2022
  • 모든 도시가 발전하고 번창하기 위해서는 핵심기반시설의 재난 및 안전이 선제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핵심기반시설을 중심으로 지역사회가 지속 가능한 녹색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재난준비태세 증진에 실제 활용 가능한 위험지도를 드론에 장착한 LiDAR 센서를 통해 수집한 고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작하였다. 나아가 지진과 같은 재난 발생 시 시설에서부터 확산하는 관리 오염물의 경로 및 범위를 시범 모의하여, 기능 연속성 계획 및 재난대응 가이드와 연계를 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 지자체 중심의 통합적 지역사회의 노력이 발현될 수 있도록 기초적 연구를 진행하고, 전략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끊임없는 성장과 거듭되는 개발로 인해 변화하는 도시의 형상에 따라 리스크를 최신화하여 대응력을 높이고, 이해관계자들에게 시각화된 재난 범위 모의를 제시함으로써 지역사회와 지자체 역량에 따른 협력적 재난대응태세에 필요한 프레임워크 도출 및 계획수립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또한, 각 영역별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된 확산 모의의 방법론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 모호한 "가능한 신속한 자원관리"와 같은 추상적인 대응계획이 아닌, 객관적인 재난자원관리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추후 국가적 재난 및 안전역량을 계량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dustrial and Innovation Networks of the Long-live Area of Honam Region (호남 장수지역의 산업 연계와 혁신 네트워크)

  • Park Sam Ock;Song Kyung Un;Jeong Eun 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0 no.1 s.106
    • /
    • pp.78-9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industrial and innovation networks of long-live area of Honam Region and to suggest a policy direction for regional development of rural areas where have been neglected in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Four counties (Sunchang, Damyang, Gokseong, and Gurye)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Korea are regarded as long-live belt of Korea. Production and innovation networks :Ire analyzed based on intensive surveys of firms in the belt. Major findings from the survey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onsiderably strong local networks of production firms in terms of supply of input materials and labor. There are strong backward industrial linkages of the production firms with agricultural activities and considerable forward linkages with tourism industry. In addition, Internet is becoming a useful tool for sales of the new products. Second, the analysis of the innovation networks in the long-live area suggests the development of 'virtual innovation cluster' in the era of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The results imply that this innovation networks can be developed as a virtual innovation cluster in the rural areas, which can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rural innovation systems.

Population Strategy for Physical Activity in Korea (우리나라 신체활동 및 운동사업에서의 인구집단 전략)

  • Lee, Moo-Si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0 no.2
    • /
    • pp.227-240
    • /
    • 2005
  • Health promotion has more comprehensive approaches in recent years. Nevertheless we accept the concept of health promotion differently, we are agree on that community is the most important field in health promotion which includes population at the aspect of health policy, individual skill and, environment. And there are a number of different approaches to health promotion. In them, 'population approaches' and 'high -risk group approaches' has the most different characteristics. 'Population approaches' is equally important or more important than 'individual approaches' for maintaining and promoting population health. Almost part of this article contents is the summary of the guideline and population strategy of health promotion in Korea, 1999 - 2005. Community 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 should be reinforced, integrated, comprehensive, collaborative through efficiently utilizing community resources. Recent new orientation of community health program is integrated health program, we can find this orientation at Ottawa charter 1986. Comprehensive approaches with the determinant factors for health are essential task. Physical activity is a key health determinant. The population-health approach suggests that educating people about physical activity is not enough. Individual behavior changes are important too, but need to be balanced with strategies for environmental change. Population strategy with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promotion should be developed through improving social and physical supportive environment, linking and integrating community resour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national, regional and local level. Continuous public education and social marketing should be provided through collaborating with community physical activity organization, facilities, work-places and school for increasing concern of all the people of community about physical activity. Governments, agencies and citizens should held and participate to building movement. And the strategy that various 'active for lif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delivered, maintained and reinforced continuously. Basically, adequate and sufficient financing, developing human resources, policies and legislation would be provided and supported fully too. At last, research development and knowledge exchange are requir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Korea, we had classified the category of strategic priority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by environmental support, life-course approach, high-risk group approach and disease group approach for physical activity program based on community health center. Community based core programs for physical activity that includes infrastructure building and establishment of supporting environment, community campaign, health promotion education and public service announcement,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elderly and obesity, exercise prescription program.

  • PDF

동서 광역개발 협력체계구축 방안 - 광양만, 진주권 개발을 중심으로 -

  • Mun, Deok-Hyeo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59-79
    • /
    • 1998
  • 전라남도와 경상남도는 강 하나를 사이에 둔 아주 가까운 이웃이며, 주민생활권이나 지역경제권이 상로연계성을 갖고 있다. 뿐만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와 보유자원의 여러 측면에서도 상로 본완적 성격을 갖고 있는 지역이다. 따라서 대승적 차원에서 볼 때 국토의 균형박전을 도모하고 진정한 동서화합을 위해 상로연계성을 갖고 있는 광양만, 진주권 광역새발을 공동으로 추진하여 동시화합의 대전기를 마련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동서지역의 광역개발 필요성을 요약하면, 첫째, 최근 일정지역의 행정구역을 넘어서 인구와 물자 및 자원의 이용이 활발하게 이러나고 있어 통합적 계획 및 집행이 요구된고 있다. 따라서 광양만 진주권개발은 2개도에 걸쳐 광역개발권역을 설정한 우리나라 최초의 시범적인 계획으로써 세계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둘째,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신산업지대의 조성과 연계교통망의 구축이 요망된다. 셋째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에 대응한 지방거점 도시권의 육성이 팽배하며, 넷째, 중북투자를 피하고 상호보완적인 기능을 극대화하여 진정한 동서화합에 대한 시대적 여청이 증대되고 있는 시절이다. 따라서 광양만 진주권 광역개발의 기본구상은 우선 경제적 물리적통합으로 실절적인 동서이익을 보색하는 차원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그리고 광양함을 국제물류의 중심지로 확충하고 주변지역에 대규모 물류 유통 및 국제기능을 유치하여 국제적 교류거점으로서의 기반 조성을 강화 하여야 한다. 또한 국제관광벨트 및 신산업지대의 형성과 함께 세계화 고속화에 걸맞는 교통기반시설을 정비하는 한편 자연친화적인 개발전략을 이룩함으로써 지구촌 경제하에시 지역균형개발과 지역의 국제경쟁역 확보차원에서 실현되어야 한다. 나아가 과양만권과 진주권의 경제 사회적인 통합을 달성함으로써 국민적 염원인 동서화합의 장으로 승화 발전 시킬 수 있도록 공간구조 및 기능의 분담배분이 요구된다. 기능은 동시지역을 연결하는 통합적인 기능 분담으로 과양만은 생산 및 물류지원기능의 강화와 전주 사천권은 첨단산업 연구 및 지원기능의 강화차원에서 배분이 요구된다. 이러한 광역개발계획이 세계적으로 추진될 때에 진정한 동서화합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도서화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광역개발을 실펀하기 위한 제도적인 협력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동서지역의 광영개발을 위한 협력체계의 구축 방안은 첫째, 양 지역간에 협약제도르 도입함으로써 광역개발의 집행력을 강화하여야 한다. 즉, 개별 개발사업별로는 협약이 체결됨으로써 자치단체간의 역활분담이 분명하고 여차별 예산의 확보는 물론 사업시행이 구체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양 자치단체간의 광역행정을 진담하는 기구의 절차가 필요한다. 광역개발 계획 추진 뿐만아니라 실질적으로 양권역이 공존공영을 위해 필요한 사업들을 추진 할 수 있도록 협의회 기능을 보완한 새로운 전담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다. 셋째. 광양만 진주권 광역개발 계획은 동서지역의 화합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중앙정부는 동서지역간의 진정한 화합을 유도하기 위해 제주도개발 특별법과 같은 �G동서지역개발 특별법�H을 제정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을 유도 하여야 한다. 지역발전을 이룩할 수 있도록 자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Inter-organizational Network of the School Social Work for the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학교사회복지 관련 조직간 네트워크의 특성에 관한 연구 I : 서울시 강서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Lee, Hye-Won;Woo, Soo-Myo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7 no.4
    • /
    • pp.119-14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ructural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ter-organizational community network of the school social work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rect workers and the school social work organizations delivering services to the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and to identify the magnitude of efficient structure for networking for the children living in Kayang-dong. By searching out the central organization and block modeling, this study attempted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inter-organizational community network for the children. The research sample was 18 organization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urvey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SPSSWIN 12.0 and UCINET 6.29. The main results show that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s the central organization in almost every dimensions(information exchange, client referral, cooperation, resource exchange) and education organiz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betweenness centrality. Also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present developmental stage of the network is collabor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practice are discussed.

  • PDF

The Disaster Welfare and Community Response in Japan (일본의 재해복지와 지역사회의 대응방안)

  • Park, Jung-R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
    • /
    • pp.199-208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and practices of disaster welfare in Japan, particularly with the point of view of the community response. This study summarized the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of Japan's disaster welfare.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undation and linkage of support networks. In case of a disaster, the linkages among administrations, social work institutions, and community resident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accurate situation and needs, and to develop resources. In particular, the constitution of DWAT was submitted for initial intervention.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 manpower dispatching system is needed for emergency situations. In addition, the methods to cover the entire areas by system are needed. Third, the intervention of psychological treatment was shown have a low agreement rate among specialists. Fourth, it is necessary to have guidelines so that privacy protection is compatible with disaster support in a disaster welfare practice process.

Community-based Welfare and Policy Tasks for Rural Areas in Korea - A Case Study of Koryung Gun, Kyungsangbukdo (고령군 지역사회 복지의 실태와 정책 과제)

  • Choi, Byung-D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6
    • /
    • pp.643-663
    • /
    • 2008
  • The rural area of S. Korea has been excluded from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is to be faced with a serious crisis in the context of recent globalization/localization with a rapid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And hence it is required to give a active attention to community-based welfare for rural areas. The status of welfare of Koryung-gun as such a rural area adjacent to Daegu city is still low, even though recently it has been improved dramatically, and the welfare policy seems not to reflect the rapidly changing conditions of reality, though it has been institutionalized systematically. What is more, the number of dwellers who demand basic welfare has been increased, as welfare services seem not to delivered to them. In order to improve this totally low level of social welfare, major tasks should be pursued to formulate as basic principles an integral approach for community-based welfare and ultimately a restoration of rural community; to construct a mobilization system of diverse resources within community, to develop connections between welfare demanders and providers, and networks of institutes and facilities for community welfare; and to find out and to extend financial sources for welfare policies.

  • PDF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Strategies for Facilitating North Korean Refugees' Resettlement in Local Areas :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북한이탈주민의 지방정착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동원전략 : 부산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Lee, Ki-Young;Yoon, Kyung-A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5
    • /
    • pp.103-130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resettlement and adaptation condition of North Korean(NK) refugees resettling in local areas and compared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to the life conditions for those who are living in Seoul and its vicinities. As the result indicates, the first cohort is currently inferior to their counterpart in labor market activities, life satisfaction, and quantity and quality of resettlement assistance implemented by private voluntary agencies. The reason of selecting Busan as a specific case for this study is that: 1) Busan is the largest city in the number of NK refugees residence except for Seoul, 2) Busan has a couple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which are involved in the work of NK refugee resettlement as well as the reason that Busan provides convenience of conducting a survey to the researcher.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ion of this study to social work research and practice is that it applied the exist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 of community resources development and networking of social supports to the field of NK refugee resettlement assistanc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oles and functions of Community Associations of NK Refugee Assistance should be more activating and that a community welfare center should a take critical role in organizing and activating the Community Associations. This paper also suggests specific ways of enhancing the role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NK refugee assist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