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도 축척

Search Result 29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On Feasibility of Using Scanned Maps for Ground Control Point Marking (지상 제어점 결정을 위한 스캐닝된 지도의 이용 가능성 연구)

  • 신동석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2 no.1
    • /
    • pp.17-25
    • /
    • 1996
  • This paper presents a GCP marking technique using scanned maps. Twelve maps with a scale of 1:250, 000 were scanned and stored as raster images. The distortion factors of scanned maps were modelled by polynomials. The coefficients of the polynomials were determined by a least squre fit. This technique does not require a bulky and expensive digitizing table so that it is suitable for a low-cost pre-processing system. The GCP marking using this technique showed a sufficient accuracy for KITSAT1, 2 narrow camera images.

부산 동래부 대축척 고지도의 유형 연구

  • Kim, Gi-Hyuk;Yoon, Yong-Chool;Bae, Mi-Ae;Jung, Am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176-181
    • /
    • 2003
  • ≪대동여지도≫로 대표되는 우리나라 고지도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문화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노력에 힘입어 자료가 수집, 체계화되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규장각이나 박물관, 개인 소장자료를 집성하고 체계화하는 작업이 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제작방법, 배경 등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1990년대부터 고지도는 기존의 지도학적인 연구에서 벗어나 지역단위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중략)

  • PDF

Construction Method of ECVAM using Land Cover Map and KOMPSAT-3A Image (토지피복지도와 KOMPSAT-3A위성영상을 활용한 환경성평가지도의 구축)

  • Kwon, Hee Sung;Song, Ah Ram;Jung, Se Jung;Lee, Won 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40 no.5
    • /
    • pp.367-380
    • /
    • 2022
  • In this study, the periodic and simplified update and production way of the ECVAM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was present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environmental values using KOMPSAT-3A satellite imagery and land cover map. ECVAM is a map that evaluates the environmental value of the country in five stages based on 62 legal evaluation items and 8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evaluation items, and is provided on two scales: 1:25000 and 1:5000. However, the 1:5000 scale environmental assessment map is being produced and serviced with a slow renewal cycle of one year due to various constraints such as the absence of reference materials and different production years. Therefore, in this study, one of the deep learning techniques, KOMPSAT-3A satellite image, SI (Spectral Indices), and land cover map were used to conduct this study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n environmental assessment map. As a result, the accuracy was calculated to be 87.25% and 85.88%, respectively.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n environmental assessment map using satellite imagery, optical index, and land cover classification.

The Development of Mapping Error Handling Program using Genetic Algorithm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지도제작 오류 처리 프로그램 개발)

  • Kim, Hyun-Duck;Park, Ki-Surk;Park, Kyung-Yul;Choi, Seok-Keu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107-112
    • /
    • 2004
  • 소축척 수치지도 및 지형도 제작을 위한 자동화 처리 과정에서는 기하학적 및 논리적인 오류가 발생하고 있고, 기하학적 오류는 많은 부분에서 자동화 처리가 가능하나 논리적 오류는 논리적으로 자동 판단이 곤란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논리적 오류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곤 겹침에 대해서 도로와 건물 폴리곤간의 겹침위치를 탐색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지도제작 과정에서의 논리적 오류에 대한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그로 인한 지도제작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 PDF

Evaluating Suitable Analysis Methods Using Digital Terrain in Viewshed Analysis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가시권 분석의 적정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 Yeo, Chang-Hwan;Jang, Yo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1
    • /
    • pp.40-4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enhancing the accuracy of viewshed analysis through the explanation for an analysis method of viewshed analysis using GI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visible area using digital terrain in viewshed analysis depends on a visible interest area, scale of terrain, spatial resolution and surface data. In this study, we used trend analysis and RMSE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effect of a visible interest area, scale of terrain, etc in viewshed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viewshed analysis depends on a visible interest area, scale of terrain, spatial resolution, surface data such as previous studies. Second, the results in forest area are reliable than those of flat area in terms of a visible interest area. Third, the results based on raster grid data are stable than those of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in terms of input surface data.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rend and RMSE analysis, the spatial resolution for analysis is differently applied to different scales digital terrain map in viewshed analysis. In detail, it is desirable that the spatial resolution is set less than 10m(in the case of 1/1,000 digital terrain map), 20m(in the case of 1/5,000 map), 30m(1/25,000 map).

A Study on Direct Georeferencing by Combined Multi-sensor (다중센서 결합에 의한 외부표정요소 직접결정기법에 관한 연구)

  • Song, You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8 no.1
    • /
    • pp.88-95
    • /
    • 2005
  • Direct Georeferencing by combined multi-sensor based on the direct measurement of the projection centers and rotation angle of sensor through loading the GPS and INS in aircraft. The method of combined multi-sensor can offer us to acquire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with only minimum GCPs, even the ground control process could be completely skipped. Consequently, It is possible extreme to reduce the time and expense for the mapping process. In this study, a CCD camera is simultaneously used in combined multi-sensor surveying, and acquired CCD image through Direct Georeferencing produce digital orthoimage. In this process, methods of combining sensor and digital orthoimage are examined and estimated. For the comparison of the positioning accuracy digital orthoimage through Direct Georeferencing, GCPs determined by GPS surveying are used. Two digital orthoimage are produced; one with a few GCP and the other without them. The accuracy of orthoimages produced through combined multi-sensor with GCPs meets that of 1:1,000 maps. Without GCPs, it meets that of 1:5,000 maps.

  • PDF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Impervious Ratio in Land-use Zone Using Pervious/Impervious Map based on GIS - Focused on Bupyeong-gu Incheon - (GIS기반의 투수/불투수도를 이용한 용도지역별 불투수율 현황분석 - 인천시 부평구를 대상으로 -)

  • Oh, Seong Kwang;Kim, Kye Hyun;Lee, Chol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91-191
    • /
    • 2015
  • 무분별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불투수면이 증가하고 있다. 불투수면은 빗물이 투과하지 못하는 지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투수면은 강우 시 지면에 있는 유해물질이 그대로 인근 수계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심각한 수질 오염을 야기한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부에서는 불투수율 관리를 위하여 2013년에 전국토를 대상으로 불투수율을 산정한바 있으나, 소축척 수준의 시 또는 유역 단위 통계만을 산출하였고 대축척 수준의 소규모 개인 필지 내 조경지역 등을 반영한 불투수율 통계는 현재까지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부평구를 대상으로 소규모 필지까지 적용 가능한 고해상도 투수/불투수도를 제작 및 활용하여 용도지역별 불투수율 현황을 분석하였다. 불투수면의 공간적 분포 확인을 위해 토지피복지도, 수치지형도, 항공사진(25cm급) 등을 활용하여 고해상도 투수/불투수도를 제작하였다. 투수/불투수도는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제작 지침인 선형 요소의 경우 폭 3m, 면형 요소의 경우 면적 $10m{\times}10m(100m^2)$를 참조하여 제작되어 개별 필지단위의 불투수면까지 확인 가능하다. 이후 용도지역도를 수집하여 GIS 환경에서 투수/불투수도와 중첩하여 용도지역별 불투수율을 산출하였다. 불투수율을 산정한 결과 부평구 전체 불투수율은 64%로 확인되었다. 또한 용도지역도 중분류상 주거지역의 경우 불투수율이 82.1%, 상업지역의 경우 91.7%, 공업지역의 경우 94.1%, 녹지지역의 경우 30%로 확인되었다.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의 경우 불투수율이 90%이상으로 불투수면 관리가 시급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환경부에서 제작한 투수/불투수도 보다 정확한 불투수면의 공간적 분포 확인 및 불투수 면적 산출이 가능하여 불투수면 우선관리지역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불투수율이 높은 지역을 우선 선별하여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및 그린빗물인프라(GSI,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특히, 불투수율이 높은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개선이 요구된다.

  • PDF

Accuracy Analysis of Orthophoto from the Tophographic character (지형 특성을 고려한 정사영상의 정확도 분석)

  • Yoon Hee-Cheon;Jo Hyeon-Wook;Lee Cheol-Hee;Park Joo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2-126
    • /
    • 2006
  • 입체영상 획득이 가능한 SPOT 위성이 발사되면서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도제작 둥의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해졌다. 특히,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항공사진촬영이 불가능하여 대축척 지도제작이 곤란한 지역 또는 지상기준점 측량이 불가능한 지역에 대한 수치지도 제작 분야에 있어 효율적인 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 접근 가능지역에 대한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기 구축된 성과들의 정확도를 평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비접근지역의 지형정보 획득을 위한 정사영상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비접근 및 난접근 지역에서의 지상기준점 획득에 대한 제한을 극복하는 수단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 PDF

3dimension Topography Generation and Accuracy Analysis Using GIS (GIS를 이용한 3차원 지형도 생성 및 정확도 분석)

  • Nim Young Bin;Park Chang suk;Lee Cheol 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3 no.2
    • /
    • pp.189-196
    • /
    • 2005
  • Recently as map making skills developed and as digital maps prevailed, peoples began to take interest in the realistic 3dimension topography rather than the flat 2 dimension one. The experiment is done by using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maps, To analyze the preciseness of this 3dimension topography, analysis of the coordinate-changed standard map image and the location errors of the plane and height from digital values of the map's topography by layers and features, were done. The visual results of locational values differed by every programs of coordinate transformation. Errors of locations also appeared from the methods of correcting the visual sources, when deciding the standard source's datum point. The plan's accuracy of the image data coordinate transformation is about ${\pm}4.1m$. In ground distance, therefore, it is included in the allowed error of the 1:25,000 scale changed map, satisfying the plan's accuracy. Also, by the use of reasonably spaced grid, it satisfied the visual topographical accuracy. Because the 3 dimension topographical map can be produced effectively and rapidly by using various scale's standard map image and the digital map, the further practical use of 3 dimension topographic map made by using the existing topographies and changed maps has high expectations.

Up scaling the National Environmental Assessment Map in Korea from 1:25,000 to 1:5,000 (대축척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제작 방안 연구)

  • Lee, Moung-Jin;Jeon, Seong-Woo;Lee, Chong-Soo;Hong, Hyun-jung;Kang, Byung-Ji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283-287
    • /
    • 2007
  • 기존 국토환경성펴가지도는 1:25,000 축적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 전국이나 광역 차원의 환경성 평가나 개발 가능지 분석, 거시적인 지역의 확인 및 중첩분석시 용이하나 지역 차원의 개발계획 수립부문에서의 활용도를 높일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지역을 선정하여 기 구축된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동일 방법론 및 주제도를 활용하여 1:5,000 축적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를 재구축고, Vector형태 및 필지단위론 재평가를 실시하여, 1:25,000 축적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와의 평과 결과를 비교${\cdot}$분석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기 구축된 연구지역의 1:25,000축적 국토환경성평가지도 등급별 면적 비율은 1등급 23.3등급 29.4%, 3등급 23.9% 4등급 11.7%, 5등급 11.8%를 보이고 있으며, 신규 구축된 연구지역의 1:5,000 축적 국토환경성평가지도 등급별 면적 비율은 1등급 29.3%, 2등급 21.7%, 3등급 17.2%, 4등급 7.1%, 5등급 24.7%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