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가 변화

Search Result 21,550,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Change Sets and Storage Polocies for Ontology Versions Management (온톨로지 버전 관리를 위한 변경 집합과 저장 기법)

  • 윤홍원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8 no.6
    • /
    • pp.1257-1265
    • /
    • 2004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change set that is to manage historical information and to maintain ontologies during long term. We propose several storage policies of ontology using a change set. A change set includes a change operation set and temporal dimensions. A change operation set is composed with schema change operations and data change operations. We propose three storage policies that are storing all the change sets and storing the change sets and versions periodically, storing the change sets and the versions using sum of change operations. Also, we present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different storage policies.

A Study on Temporal Map for Spatio-temporal Analysis (시.공간분석을 위한 GIS기법의 시간 지도 구현에 관한 연구 - 안양시틀 사례로 -)

  • 오충원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91-202
    • /
    • 2002
  •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geographic features and human activities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spatiality and temporality. The necessity to record the historical changes and the ability to reason in the real world has lead to a new field of research so called Integrated Spatio-Temporal analy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mporal maps for Spatio-temporal analysis, which have the integration functionality for visualizing spatiality and temporality of the geographic appearances and human activities. Land information is composed of spatial, attribute and temporal data and requires spatio-temporal representations. It is possible to visualize spatio-temporal variations with spatio-temporal databases and temporal map produced by integrated data models. This study constructs spatio-temporal model for temporal maps of land price variation analysis. Taking advantage of the spatio-temporal model proposed here, it is possible to visualize spatio-temporal variations with spatio-temporal database and temporal map. On a practical level, this study would be extended and utilized to various geographic features.

Color Changes of Natural Dyed Korean Paper(Hanji) by Repellents (방충·방균제로 인한 천연염색 한지의 색변화)

  • Roh, Hyunsook;Lee, Sungeun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6
    • /
    • pp.39-46
    • /
    • 2005
  •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a collection of various materials. In particular, items made from organic materials such as wood, paper, and leather are vulnerable to the influence of insects and germs, requiring fumigation as well as pesticides and bactericides. The influence of pesticides and bactericides on the change in dyed paper was examined by applying the oddy test used to confirm the toxicity of various materials used in museums.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ducts of B and H companies had the least influence on the change in dyed paper.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cochineal and curcuma dyed paper reveal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one exposed together with dyed paper, probably because of humidity rather than the sample.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for the Design Parameters of Culvert Outlet Facilities in Detention Pond (저류지 암거방류시설 설계인자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 Lee, Jae Joon;Jang, Joo Young;Lee, Hoo Sang;Jang, Hyun Mi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13-213
    • /
    • 2011
  • 근래 이상기후에 의한 강우량 증대와 도시화에 따른 첨두유출량의 증대 및 도달시간의 단축은 기존의 유수지만으로 도시홍수를 대처하는데 그 한계점에 다다르게 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 각종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활용으로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시작되었으며, 현재 신규개발지에 저류지와 같은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를 법제도적으로 의무화 하고 있어, 전국적으로 천여개소의 저류지가 시설되어 있거나 계획 중에 있다. 저류지는 개발로 인해 증가된 첨두유출량을 개발전의 상태로 저감시키기 위하여 임시 또는 상시 저류하거나 저류능력 이상의 유출량에 대해서는 암거방류시설을 통해 하류부의 하천 또는 하도로 방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공구조물로서 일반적으로 저류지 계획 및 설계는 첨두유출량 증가분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방류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국내에는 저류지 방류시설로 주로 사용되는 암거에 관한 설계규정이나 기법은 미미한 상태로, 한국도로공사(1991)에서 발표한 "도로배수계획"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연방도로국(FHWA, 1985)에서 발표한 설계기법을 그대로 인용하고 있다. 즉, 지형 또는 현장 여건에 따라 암거 흐름의 8형식 중 하나의 형식으로 결정하고, 그 형식에 따라 관련도표를 이용한 시산법 또는 도식해법을 적용하여 유입부 상류수위를 산정함으로써 암거설계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암거설계 방식은 도로 배수암거에 적합한 것으로 저류지 배수암거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류지의 일반적인 특성상 암거흐름 8형식 중 Class-II군의 암거 상류부 수위가 잠수된 조건 즉, 평상시 저류지가 일정수위 이상의 저류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저류지 암거방류시설의 대표적인 설계인자인 암거직경, 암거경사, 암거경사, 하류단 수위조건의 변화에 따른 상류부 수위변화를 유량별로 분석해 보았다. 방류 암거의 개수를 고려하기 위하여 암거상류부 수위와 암거직경의 관계해석 시 암거단면적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유량별로 상류부 수위와 암거단면적의 관계를 회귀식으로 제시하였다. 암거상류부 수위와 암거경사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암거경사가 5~20%로 변화할 때 암거상류부 수위의 변화는 2~5%정도의 매우 작은 변화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암거길이의 경우는 해석 조건의 특성상 상류부 수위에 영향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암거상류부 수위와 암거하류단 수위의 관계에서 암거상류부 수위는 암거하류단 수위가 암거직경과 퇴사위 높이의 합보다 암거하류단의 수위가 높아지는 시점부터 암거하류단 수위에 비례해서 증가되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 PDF

GIS Approach for the development of a Vietnamese Land Appraisal system (GIS 기법을 이용한 베트남의 지가산정에 관한 연구)

  • 정재준;누옌광밍;김용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1999.12a
    • /
    • pp.59-65
    • /
    • 1999
  • 베트남은 1980년대 이후 사회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겪고 있으며, 특히 경제체제의 변화는 다른 분야에 파급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토지에 대한 개인의 사용권이 인정되었고 따라서 지가를 효율적으로 산정,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다른 나라, 특히 한국의 공시지가 시스템을 연구, 적응하였다. 지가결정요인들은 베트남이 시장경제체제의 도입단계라는 것을 감안하여 선택되었다. 연구결과 지가결정요인 중 몇몇 요소들의 자동추출이 가능하였으며, 지가결정의 위치 요인과 물리적인 요인의 가중치를 GIS 기법을 이용해 결정할 수 있었다. 특히, 주요도로로부터 필지까지의 거리를 직선거리가 아닌 실제 이동거리로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지가산정을 주요소로 하는 베트남의 부동산정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PDF

매립지 원지반 침하량 역산에 의한 기초 압축 특성 연구

  • 김용인;현근일;박정용;장연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399-403
    • /
    • 2003
  • 해안의 연약지반에 건설되는 폐기물 매립지는 매립지의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하부기초지반의 침하거동 특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침하계측자료를 이용하여 현장 간극비와 현장 압축지수를 역산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매립초기에는 상부하중에 의한 유효응력증가가 미소하여 하부기초지반은 과압밀 특성을 나타내고 현장 압축지수 변화가 미소하였으나, 매립이 진행될수록 상부하중이 선행압밀하중을 초과하여 정규압밀영역으로 변화함에 따라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 PDF

프린팅 월드 - 일본 오프셋인쇄 기업의 수익증대 방안

  • Kim, Sang-Ho
    • 프린팅코리아
    • /
    • v.11 no.10
    • /
    • pp.140-143
    • /
    • 2012
  • 일본의 인쇄산업은 정보서비스업으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오프셋인쇄기업의 경영도 획기적인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고객들은 더 이상 대량의 판촉물에 의존한 물량 작전을 원하지 않으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을 찾고 있다. 전단지 살포의 광고효과는 시간이 길수록 효율성에 대한 확신이 약해지고 있으며, 인쇄물을 대체할 다른 미디어는 없는지, 다른 미디어와의 조합으로 전단지의 광고효과를 높일 수는 없는지 등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이제 전단지와 소셜미디어를 함께 연동시키는 마케팅은 더 이상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 PDF

Study on Levee Seepage Safety According to Change of Ground Elevation (제내지와 제외지의 표고변화에 따른 제방침투 안정성 연구)

  • Kang, Taeun;An, Hyunuk;Yoon, Euihyeok;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52-252
    • /
    • 2015
  • 우리나라에서는 대하천정비사업을 통해 주요 국가하천마다 보와 제방을 신설 및 보축하여 홍수의 방어 및 예방에 힘을 기울이고 있으며, 근래에는 이러한 정비사업이 완료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제방에 대한 정비사업의 내용은 보축 및 신설이 주를 이루나, 제내지의 성토와 제외지의 보강 및 저수로의 준설 등도 함께 수행되었다. 이러한 정비사업의 영향으로 지하수 및 하천의 흐름양상은 정비사업 전과는 다르게 변화 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제방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문제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하수 및 하천흐름의 변화양상이 제방의 안정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정량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하천정비사업으로 지반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제내지 성토나 퇴사제거를 위한 하천준설 등이 수행되면서 제방의 외적인 환경들이 많이 변하게 되었으나 이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들이 거의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과 회천 합류부에 위치한 율지제를 대상으로 이곳에 설치된 간극수압계의 데이터와 2차원 침투해석 프로그램인 SEEP/W를 이용하여 제내지와 제외지 표고변화에 따른 파이핑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내지 표고가 상승하면 파이핑 안전율이 증가하고 표고가 하강하면 안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외지의 표고변화는 제방안정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오히려 하천수위의 영향을 지배적으로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제방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초지반의 경우, 제내지측을 상승시키고 하천수위를 하강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여주(驪州)의 토지이용, 생활공간, 생활실태의 변화

  • 손용택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61-61
    • /
    • 2004
  • 본 연구는 수도권 농촌지역인 여주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생활공간 변화, 생활실태의 변화 등을 살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생활공간의 사례를 살펴 지역성을 규명코자 농촌성격이 강한 지목(예; 전, 답, 임야)과 도시적 성격이 강한 지목(대지, 공장용지, 도로용지 등)의 필지변화와 면적변화를 중심으로 토지이용의 변화를 살폈고, 지형도를 통해 과거의 마을에 비해 변해버린 생활ㆍ공간을 추적하였다. 설문지 조사를 통해 주민생활의 실태를 살폈다. (중략)

  • PDF

A Study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Furnace and Housing structure - Focusing on The Honam Area - (원시$\cdot$고대의 노시설과 주거구조와의 상관성 연구 -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

  • Lee Min-seok
    • KOMUNHWA
    • /
    • no.62
    • /
    • pp.29-58
    • /
    • 2003
  •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he function of the furnace is to cook, to heat, and to light. Especially, it is easy to grasp relations between the furnace forms and the dwelling structure because the furnace was a part of the most important housing cul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