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증식특성

Search Result 91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emolytic Vibrios and Development of Sanitary Countermeasure of Raw Fisheries Foods 3. Growth Factor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Vibrio cholerae non-O1 FM-3 Isolated from Sea Water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기수성 비브리오균의 생리${\cdot}$생태적 특성과 수산식품의 위생대책 3. 해수에서 분리된 Vibrio cholerae non-O1 FM-3의 생육인자와 항생제 감수성)

  • KIM Shin-Hee;PARK Mi-Yeon;PARK Uk-Yeon;KIM Young-Man;CHANG Dong-Suck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0 no.4
    • /
    • pp.550-555
    • /
    • 1997
  • Vibrio cholerae non-O1 (V. cholerae non-O1) was previously called nonagglutinable or noncholera vibrios, since it fails to react with polyvalent O1 antisera. This organism is biochemically and genetically indistinguishable from V. cholerae O1 except serological difference. V. cholerae non-O1 strains are often detected in the environment including bays, estuaries, and fresh water, and also found in food. Therefore it is designated food borne bacterium in Japan. However, research papers on V. cholerae non-O1 are very rare in Korea. In order to investigate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 cholerae non-O1, we isolated V. cholerae non-O1 from the environmental sea water. Among the isolated V. cholerae non-O1 strains, we selected the strain which had the most strong hemolytic activity, named as V. cholerae non-O1 FM-3. The optimum growth conditions of V. cholerae non-O1 FM-3 were $37^{\circ}C$ and pH 8.5 in BHI broth (containing $0.5\%$ sodium chloride), and it grew better than V. cholerae non-O1 ATCC 25872. But both were not able to grow in BHI broth added $5.0\%$ of sodium chloride or adjusted to pH 5.0.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susceptibility test against various antibiotic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solated strain and reference strain (V. cholerae non-O1 ATCC 25872). Most of the antibiotics examined had bacteriostatic action against V. cholerae non-O1 FM-3 while vancomycin, oxacillin, colistin, polymyxin B, and sulfadiazine had no bacteriostatic activity.

  • PDF

The effects of enamel matrix derivatives on the proliferation and gene expression of PDL fibroblast, $SaOs_2$ cells and Cementum derived cells (법랑기질유도체가 치주인대세포, 불멸화 조골세포, 백악질 유래세포의 증식과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 Jeong, Yoo-Jee;Kim, Kyoung-Hwa;Kim, Tae-Il;Seol, Yang-Jo;Ku, Young;Lee, Hae-Jun;Rhyu, In-Chul;Chung, Chong-Pyoung;Han, Soo-Boo;Lee, Yong-M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2
    • /
    • pp.321-333
    • /
    • 2005
  • 1. 목적 in vitro 상에서 법랑기질유도체가 치주인대섬유아세포, 불멸화 조골세포와 백악질 유래세포의 증식과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및 재료 <세포증식 연구> 교정을 목적으로 발거한 치아에서 분리, 배양한 치주인대섬유아세포와 백악질유래세포, 그리고 $SaOs_2$ 세포를 이용하였다. 법랑기질유도체가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5 mm Petri dish에 dish 당 $5{\times}10^3$ 개의 세포를 접종하였다. 대조군은 1% 항생제와 10% FBS를 포함한 DMEM 배지를 이용했고, 5mM 초산을 첨가한 군과 첨가하지 않은 두 개의 대조군이 이용되었다. 실험군은 100 ${\mu}g/ml$의 법랑기질유도제를 첨가한 군과 100 ${\mu}g/ml$의 법랑기질유도체와 5 mM의 초산을 첨가한 2개의 실험군이 이용되었다. 각 군은 세 개의 배양접시에 행해졌고, 1, 3, 8일에 세포의 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는 repeated measures ANOVA로 통계 처리하였다. <유전자 발현 연구> 각 세포의 형질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RT-PCR을 실시하여 조골세포 분화 표식자와 연관된 Human collagen type I(COL I), human osteopontin(OP), human osteocalcin(OC), human alkaline phosphatase(ALP)와 human bone sialoprotein(BSP)의 mRNA 발현을 실험 1, 3, 8일에 걸쳐, 세 군의 차이를 비교 관찰하였다. 3. 결과 <세포증식 연구> 치주인대세포와 백악질유래세포, 그리고 $SaOs_2$ 세포의 증식은 법랑기질유도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대조군과 초산이 포함된 대조군 그리고 법랑기질유도체와 초산이 포함된 실험군에서 유의할 만한 세포 수의 차이가 실험 기간 1, 3, 8일에 걸쳐 나타나지 않았다(p<0.05). <유전자 발현 연구> ALP와 COL I은 세 군의 세포에서 모두 발현되었고, 발현 정도는 EMD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OC은 세 군에서 모두 비교적 약하게 발현되었고, 특히 $SaOs_2$ cell과 백악질유래세포에서 약하게 발현되었다. EMD는 OC의 발현정도를 약하게 하였다. OP은 백악질유래세포에서 1, 3, 8일에 걸쳐 EMD 유무에 관련 없이 발현되지 않았다. 그러나 치주인대세포와 $SaOs_2$ cell에서는 강하게 발현되었다. BSP는 치주인대세포와 $SaOs_2$ cell에서 1, 3, 8일에 걸쳐 비교적 고르게 발현되었다. EMD 배지에서 배양된 백악질유래세포는 8일에는 BSP가 발현되지 않았다. 4 결론 이번 실험 결과에 의하면 법랑기질유도체는 치주인대세포, 불멸화 조골세포와 백악질 유래세포의 증식에 있어 유의성 있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유전자 발현에 있어서는, 치주인대세포와 백악질유래세포, 그리고 $SaOs_2$ 세포 모두에서 OC mRNA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EMD는 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유전자 발현에 있어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법랑기질유도체가 세포의 증식과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배양된 세포의 형질특성, 배양환경, 배양일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법랑기질유도체가 in vitro 상에서 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보다 정량화된 연구가 필요하다.

MG63 Cell Attachments on the Titanium Disks after Micro-Arc Oxidation (타이타늄 임플랜트의 양극산화 표면처리에 따른 세포부착 특성에 관한 연구)

  • Choi, Jeong-Won;Heo, Seong-Joo;Chang, Ik-Tae;Koak, Jai-Young;Lee, Jai-Bong;Yim, Soon-Ho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0 no.1
    • /
    • pp.51-56
    • /
    • 2004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순수 타이타늄의 표면을 양극산화법으로 표면처리하여 표면의 특성변화를 연구하고, 이에 따른 세포부착 특성의 차이를 연구하는 것이다. 원반 모양의 타이타늄을 전해질용액에서 300V - 550V의 전압을 주어 양극산화 하고 표면특성을 관찰한 결과, 전압이 높아짐에 따라 표면의 분화구 크기가 커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아울러 표면 거칠기도 증가되었다. 세포 부착 실험결과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세포부착 및 증식세포수는 감소하였다. 300V 이상의 양극산화 전압은 표면의 거칠기는 증가시키지만 세포증식은 오히려 억제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Thermal-Hydraulic Performance Analysis of KALIMER Conceptual Design Cores and Subassemblies (액체금속로 KALIMER 개념설계 노심 및 집합체 열유체 특성 분석)

  • 임현진;김영균;김영일;오세기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3 no.2
    • /
    • pp.101-111
    • /
    • 2004
  • The main purpose of a liquid metal reactor core thermal-hydraulic design is to efficiently extract the core thermal power by distributing the appropriate sodium coolant flow according to the power distribution in the core. The thermal-hydraulic design procedure consists of the coolant flow distribution to the sub-assemblies, the coolant/fuel temperature calculations and detailed subchannel analysis. This paper describes the LMR core thermal-hydraulic design methodology and summarizes the major design and analysis results of KALIMER breeder and breakeven cores and subassemblies. KALIMER is a 150 MWe rated (392 MWth) heterogeneous core with U-TRU-Zr ternary alloy fuel and sodium coolant.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 on Seasonal Chang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 Bloom Forming Mallomonas elongata (Synurophyceae) (수화를 형성하는 Mallomonas elongata (Synurophyceae) 의계절적 변동과 증식 특성에 대한온도와 pH의 영향)

  • Lee, Kyung-Lak;Kim, Jin-Hee;Yoon, Ho-Sung;Kim, Han-Soo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8 no.4 s.114
    • /
    • pp.503-509
    • /
    • 2005
  • The growth characteristic of a predominant planktonic blooming species, Mallomonas elongata in a small shallow eutrophic pond was investigated In the field (from October 2004 to September 2005) and laboratory, Dense blooming (max. 17,600 cells $mL^{-1}$) of this silica-scaled chrysophytes was observed for a short time period in early spring (water temperature 12-$18^{\circ}C$ and pH 8.4-9.5),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M. elongata isolated from this pond was investigated at various temperatures and pH under batch culture. The unialgal culture of M. elongata showed maximum growth rate (${\mu}max$) at $15^{\circ}C$ similar to the natural conditions. However, the optimal pH of the isolated batch culture was lower than the pond water pH at which M. elongata appeared in large population density.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Detoxification Bacteria (마비성패류독의 생물학적 제독 -1. 마비성패류독 분해세균의 분리 및 세균학적 특성-)

  • PARK Mi Jung;LEE Hee Jung;LEE Tae Seek;PARK Jeong Heum;JANG Dong Suck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3 no.6
    • /
    • pp.546-549
    • /
    • 2000
  • For the establishment of biodetoxification method which can be acceptable for live bivalves,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detoxification bacteria were isolated from sea water and bivalves, and PSP detoxification activity and optimal growth condition of the isolated strains were investigated. from the bivalve and sea water samples, 8 strains of PSP detoxification bacteria were isolated. Of the isolated strains, CW-6 isolated from sea water shown strong PSP detoxification activity and decomposed completely 18 nmole/g of GTX2 after 3 days incubation in artificial medium. The selected stain CW-6 shown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Enterobacter sp. and identified as Enterobacter sp, CW-6. Optimal growth condition of the Enterobacter sp. CW-6 were $35^{\circ}C$, pH 7 and $NaCl 1{\%}$, respectively.

  • PDF

Fruit and Se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ruit Maturity and Seed Germination Condition of Berchemia racemosa var. magna (먹넌출 열매 성숙 단계에 따른 열매·종자 특성과 종자 발아 조건)

  • Da-Eun Gu;Hyo-In Lim;Ja-Jung Ku;Sim-Hee H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67-67
    • /
    • 2022
  • 먹넌출은 국내에서 안면도에서만 자생하는 희귀식물로, 항산화, 미백, 항암 효능이 밝혀져 유용식물자원으로의 활용이 기대되나 IUCN(세계자연보전연맹) 기준 취약종(VU)으로 분류되어 생명자원의 현지 내, 현지외 보존 필요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먹넌출의 종자를 이용한 보존과 증식을 위해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열매의 성숙도에 따른 형태적 특성과 활력 차이를 비교하고, 종자의 발아 조건 구명을 위해 휴면 종류와 발아 적온을 조사하였다. 먼저 열매 성숙도에 따른 형태적 특성과 활력 조사 결과, 열매가 부분적으로 성숙한 적색 단계는 완전히 성숙한 흑색 단계와 비교하여 종자 무게와 배길이에서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충실도가 80%, 충실 종자의 활력이 100%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자 채취 시 열매가 흑색으로 성숙하여 떨어지기 전인 적색 단계에서 채취하여도 종자를 이용한 증식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먹넌출 종자는 딱딱한 과피로 덮여있지만 수분 흡수를 가능하게 하는 조직을 가지고 있어 물리적 휴면에 해당하지 않았으나 생리적 휴면을 가지고 있었으며, 휴면 타파에는 GA3 1000ppm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발아 온도는 10℃ 12시간, 20℃ 12시간인 변온 조건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본 결과를 먹넌출 종자 수집과 증식에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Behavior of Campylobacter jejuni Biofilm Cells and Viable But Non-Culturable (VBNC) C. jejuni on Smoked Duck (훈제오리에서 캠필로박터균 생물막 및 Viable But Non-Culturable(VBNC) 상태에서의 행동특성)

  • Jo, Hye Jin;Jeon, Hye Ri;Yoon, Ki 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5 no.7
    • /
    • pp.1041-1048
    • /
    • 2016
  • Biofilm cells and viable but non-culturable (VBNC) state may play a role in the survival of Campylobacter jejuni under un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C. jejuni biofilm cells and VBNC cells on smoked duck. The transfer of C. jejuni biofilm cells to smoked duck and its ability to resuscitate from biofilm and VBNC cells on smoked duck was investigated. Transfer experiments were conducted from C. jejuni biofilm cells to smoked duck after 5 min, 1 h, 3 h, and 24 h contact at room temperature, and the efficiency of transfer (EOT) was calculated. In addition, smoked duck was inoculated with C. jejuni biofilm and VBNC cells and then stored at 10, 24, 36, and $42^{\circ}C$ to examine the cells' ability to resuscitate on smoked ducks. The 5 min contact time between C. jejuni biofilm cells and smoked duck showed a higher EOT (0.92) than the 24 h contact time (EOT=0.08), and the EOT decreased as contact time increased. Furthermore, C. jejuni biofilm cells on smoked duck were not recovered at 10, 24, and $36^{\circ}C$, and C. jejuni VBNC cells were not resuscitated at $42^{\circ}C$. Although the resuscitation of C. jejuni biofilm and VBNC cells was not observed on smoked duck, microbial criteria of C. jejuni is needed in poultry and processed poultry products due to risk of its survival and low infectious d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