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증명학습

Search Result 36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eaching Geometry Proof with focus on the Analysis (분석법을 중심으로 한 기하 증명 지도에 대한 연구)

  • Na, Gwi-Soo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9 no.2
    • /
    • pp.185-206
    • /
    • 2009
  • In the study, I conducted the teaching experiment designed to instruct proof to four 7th grade students by utilizing the analysis metho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 could identified that it is effective to teach and learn to find proof methods using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our 7th grade students succeeded in finding the proof methods by utilizing the analysis and representing the proof after 15 hours of the teaching experiment. In addition to the difficulties that students faced in learning proof utilizing the analysis were related to the search for the light conditions for triangles to be congruent,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proof methods, reinterpretation of drawings given in the proof problems.

  • PDF

A Study on Teaching Mathematical Proof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Poof Assisted Cards' (증명보조카드를 활용한 중학생의 증명지도에 관한 연구)

  • Cho, Cheong-Soo;Lee, Jeong-Ja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9 no.4
    • /
    • pp.521-53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ing mathematical proofs that made use of the 'proof assisted cards' at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and to investigate students' ability to geometric proofs as well as changes of mathematical attitudes toward geometric proofs. The subjects are seven students at the 2nd year of D Middle School in Daegu who made use of the 'proof assisted cards' during five class periods. The researcher interviewed the students to investigate learning questions made by students as well as the 'proof assisted cards' before and after us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made change of geometric proof ability by proof activity with the 'proof assisted cards' and second, the students made significant change of mathematical attitudes toward geometric proofs by proof activity using the cards.

  • PDF

THE PROCESS OF NEGOTIATION OF PROOFS ACCEPTABLE TO MATHEMATICS CLASSROOM (수학교실에서 수용 가능한 증명의 상호 교섭 과정)

  • Kim, Dong-Wo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8 no.4
    • /
    • pp.455-467
    • /
    • 2008
  • We need to reflect the establishment of meaning and level of 'proof and argumentation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It should be considered as human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in community. Thus, we should design instruction from this standpoint. From this point of view, we had been operated 'Geometry Inquiry Class' aimed at middle school students in eighth grade for two years to improve current geometry class in middle school. In this study, we will observe how individual students' original proof schemes are developed and accepted to the class through the process of mutual negoti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The episode with four phases begins with the initial proof schemes students have offered. Through the negotiation of class participants, it gives birth to the proof scheme unique to the current geometry classroom. Why do we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It is because we think that the value of this type of instruction lie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and mutual reference, not in the completeness of the final product. This is the very appropriate proof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classroom.

  • PDF

A Comparison Study on Reinforcement Learning Method that Combines Supervised Knowledge (감독 지식을 융합하는 강화 학습 기법들에 대한 비교 연구)

  • Kim, S.W.;Chang, H.S.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303-308
    • /
    • 2007
  • 최근에 제안된 감독 지식을 융합하는 강화 학습 기법인 potential-based RL 기법의 효용성은 이론적 최적 정책으로의 수렴성 보장으로 증명되었고, policy-reuse RL 기법의 우수성은 감독지식을 융합하지 않는 기존의 강화학습과 실험적인 비교를 통하여 증명되었지만, policy-reuse RL 기법을 potential-based RL 기법과 비교한 연구는 아직까지 제시된 바가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potential-based RL 기법과 policy-reuse RL 기법의 실험적인 성능 비교를 통하여 기법이 policy-reuse RL 기법이 policy-reuse RL 기법에 비하여 더 빠르게 수렴한다는 것을 보이며, 또한 policy-reuse RL 기법의 성능은 재사용하는 정책의 optimality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인다.

  • PDF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lemma-incorporation method of Lakatos (라카토스의 보조정리 합체법을 적용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 Cho Yeol-Je;Ryu Soo-Jeong;Lyou Ik-Seung;Kim Tae-H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0 no.3 s.27
    • /
    • pp.361-372
    • /
    • 2006
  • This study was extended as one of the properties of isosceles triangles to polygons(n-angles) by conjectures-proofs-reputations-reformations and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which can be used in high-level classe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PDF

Mathematics Teachers' Conceptions of Proof and Proof-Instruction (수학 교사의 증명과 증명 지도에 대한 인식 - 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사를 중심으로 -)

  • Na, Gwiso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8 no.4
    • /
    • pp.513-528
    • /
    • 2014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36 in-servic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conceptions of proof in the context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lmost teachers recognize the role as justification well but have the insufficient conceptions about another various roles of proof in mathematics. The results further suggest that many of teachers have vague concept-images in relation with the requirement of proof and recognize the insufficiency about the actual teaching of proof.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revis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are discussed.

삼각형 무게중심의 증명에 관한 다양한 접근 방법들

  • Han, In-Gi;Gang, In-J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143-154
    • /
    • 2000
  • 현재, 중학교에서 사용 가능한 수학 교과서는 8종류인데, 이처럼 다양한 종류의 교과서가 필요한 이유들 중의 하나는 수학적 개념이나 정리 등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 방법들을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교과서들은, 예를 들어, 정리의 증명에 있어 비슷한 증명 방법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수학에 대한 폭넓은 시각과 다양한 수학적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효과적으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면 기하학의 중요한 정리들 중의 하나인 ‘삼각형의 세 중선은 한 점에서 만나고, 각각의 중선은 교점에 의해 2:1로 나뉜다.’에 대한 다양한 증명들을 살펴보고, 각각의 증명들이 가지는 수학 교육적 의의를 고찰할 것이다.

  • PDF

Web Application for Creating Emotional ID Photos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을 활용한 감성 증명사진 제작 웹 애플리케이션)

  • Kim, Do Young;Kang, In Yeong;Kim, Yeon Su;Park, Goo 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261-1264
    • /
    • 2022
  • 최근 본인에게 어울리는 색상을 배경으로 촬영하는 감성 증명사진이 유행하고 있다. 개인마다 퍼스널 컬러를 찾아 배경색에 적용하는 것은 시간, 비용, 인력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므로 자동으로 개인에 따른 배경색을 찾아서 사진을 합성하여 감성 증명사진을 제작해 주는 딥러닝 기반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Convolution Neural Network 를 기반으로 한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Image Matting 과 Multi-Label Classification 을 수행하여 기존 감성 증명사진들을 학습하여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해당 시스템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배경색이 적용된 감성 증명사진을 제공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 PDF

중국 기업의 가치 혁신 신제품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 Kim, Ji-Dae;Kim, Hyeon-Il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475-487
    • /
    • 2009
  • 본 연구는 중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가치 혁신 신제품개발 전략, 관리 방식, 학습 방식, 그리고 신제품 성과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중국 고유 문화와 중국이 겪고 있는 환경적 변화가치 혁신 신제품개발을 위한 관리 방식과 학습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론적으로, 가치 혁신 신제품개발을 위해서는 조합적 관리방식과 조합적 학습 방식이 필요하다는 점을 밝혀 주고 있다. 그리고, 중국 기업들은 이러한 관리와 학습 방식을 수행하는데 유리한 국가 문화와 환경을 갖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기 때문에, 국가 문화와 국가 환경이 신제품개발 관리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증명해 주고 있다.

  • PDF

JAVA를 이용한 중학교 기하영역 자료개발 -GSP로 구현한 피타고라스 정리-

  • Gye, Yeong-Hui;Kim, Jong-M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515-525
    • /
    • 2002
  • 중학교 기하영역 중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논증적인 증명 대신에 역동적인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GSP(Geometer's Skechpad)를 활용하여 구현했으며, 멀티미디어 환경에 익숙한 중학생들에게 시 ${\cdot}$ 공간을 초월하여 웹 상에서 개별학습, 반복학습을 할 수 있도록 JAVA 언어를 사용하여 웹으로 변환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