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심 오차

검색결과 820건 처리시간 0.039초

GPS관측자료의 궤도력 별 신뢰성 분석 (Analysis of Reliability for the GPS Surveying Data by Different Ephemeris)

  • 정영동;강상구;박보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7-6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광주에 위치한 삼각점을 중심으로 전라남도 4점과 전라북도 5점을 연결하는 평균 기선길이 75km로 GPS관측망을 구성하고 각 측점에서 관측한 데이터를 방송궤도력과 정밀궤도력으로 각각 기선 해석을 실시하여 기선거리별 동계학적 해석 결과인 분산비, 기준분산, 평균제곱근 오차 등을 산정 한 후 진라 남,북도에 이르는 GPS관측망의 각 기선에 대해 신뢰도를 상호 비교 분석한 결과 정밀궤도력에 의한 기선해석이 방송궤도력에 의한 기선해석 보다 전반적으로 신뢰도가 양호하게 나타났고, 특히 정밀궤도력을 이용한 기선해석은 기준 공분산 값이 모두 1 미만으로 나타나, 측점간의 거리가 길어지고, 지역적 변환계수와 지구중심절대좌표를 선정함에 있어 정밀궤도력을 이용할 때가 기선해석의 신뢰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QR 코드 인식 실내이동 로봇제어 융합연구 - 무선시스템 구성을 중심으로 (A Convergency Study on the QR Code Perception Indoor-mobile Robot Control - Focused on Wireless System Configuration)

  • 이정익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51-255
    • /
    • 2019
  • QR 코드는 스티커 형태로 인쇄되어 설치비용이 저가로 위치 인식하기 위한 천장이나 벽면에 인공지표를 붙이는 위치 인식 방식과 비전으로 위치 인식을 하는 방식에 비교하여 위치 인식 정확도 면이나 설치비용 면에서 많은 장점을 보유하고 있어 모든 산업에 전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로봇을 만든다. 본 연구에서는 정사각형 2차원 바코드를 통해 오차범위는 3 mm 이내 로봇에 적용하는 기술로 정확도가 뛰어나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한 로봇을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여러 공학 기술이 합쳐진 융합연구는 QR 코드 인식 실내이동 로봇제어 연구의 시스템 구성을 중심으로 기술한 것이다.

GPS를 이용한 초고층 시공 측량 기술 (A case study of the technology of measurement system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for high-rise buildings)

  • 강선종;강경태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7-193
    • /
    • 2006
  • 최근의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인공위성을 이용한 GPS 측량시스템의 실용화가 토목을 중심으로 한 건설현장에서도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측량기준점을 확인하기 어려운 토목현장의 경우에는 GPS 측량의 유용성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실용화 단계에 이르렀다. 그러나 mm단위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건축현장의 경우에는 GPS가 가지는 오차의 크기로 인하여 적용되어 오지 못하다가 최근에 정밀도를 향상시킨 새로운 측량 기술이 개발되어 초고층 건물을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성과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GPS 측량시스템을 세계초고층 건물인 버즈 두바이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NMR-CT에서 원통좌표계를 구현하는 경사자계의 고안 (Design of Cylindrical Magnetic Gradient field for NMR-CT)

  • 이대행;이순칠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32-139
    • /
    • 1992
  • 핵자기공명 단층촬영장치에서 원통좌표계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경사자계를 고안하였다. 고안된 경사계는 자기장방향이 축방향을 향하면서 방사방향으로는 단조증가하고 방사방향과 축방향으로의 평균적인 기울기의 비가 경사자계 코일의 중심에서 10배가 넘도록 했다. 방사방향과 축방향으로의 기울기의 비를 솔레 노이드의 길이와 중심에 감는 역방향전류의 감은 횟수와 전류량의 함수로 계산하여 최대치를 이루는 조건을 찾아내고 이에 근거하여 실제 코일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코일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이론적인 예측과 10% 정도의 오차를 갖는 영상을 이차원영상 방법보다 훨씬 짧은 시간에 얻을 수 있어 훨씬 빨리 변화하는 대상의 영상화를 가능케함을 보였다.

  • PDF

Esthetic mounting (OP1)을 사용하여 교합면 재구성을 시행한 증례 (Reconfiguration of occlusal plane by Esthetic mounting(OP1) : a case report)

  • 조상호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15
    • /
    • 2014
  • 붕괴된 교합평면을 보철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 있어 face-bow와 교합기는 필수적으로 필요한 기구로 사용되어왔다. 일반적으로 Ear rod를 사용하는 face bow는 상악 정중선의 오차와 교합평면의 canting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환자의 안면 정중선을 기준으로 하는 face bow가 개발되어왔다. Ear-bow를 이용한 mounting에서 종종 발생하는 오류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환자 안면의 중심과 교합기의 중심을 일치시키려는 개념의 mounting technique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를 esthetic mounting이라 한다. 이들 중 하나인OP finder 1(OP1)을 사용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Elliptical 함수, Legendre 다항식을 이용한 단층, 다전류 솔레노이드의 자장균일도 비교 (Comparison of Uniformity of Calculated-magnetic Field in a Single-layer Solenoid with Multi-current by Using Elliptical Function and Legendre Polynomials)

  • 정정효;박포규;김윤배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227-233
    • /
    • 1999
  • 단층 솔레노이드의 길이 1.02m, 평균방경 0.11497m, 단위길이당 권선수 1000turns/m에서 Eooiptical 함수와 Legendre 다항식, Biot-Savart 법칙을 이용하여 단층 솔레노이드에 다전류를 인가하여 중심부근에서 자장균일도를 향상시키는 계산방법, 자장분포도 및 반지름 변화에 따른 자장균일도의 차이를 구하였다. 단전류 방법의 경우 1$\times$10-8의 자장균일도 공간이 중심에서 0.1cm 미만이지만, 5-current 방법은 8cm 정도로 80배정도 확대됨을 알 수 있고, 단층 단전류를 사용한 솔레노이드와 비교하였을 때 길이가 0.16km인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었다. 또한 각각의 계산방법에 대한 자장오차를 비교분석하였다.

  • PDF

격자기반의 호우탐색기법을 이용한 유역기반의 DAD 분석 (Basin-scale DAD Analysis using Grid-based Rain Search Method)

  • 김영규;유완식;김연수;정안철;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6-23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시공간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격자기반의 Average-point Trackin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호우의 DAD(Depth-Area-Duration)를 분석하였다. IPCC 5차보고서에 따르면 1950년 이래로 다수의 극한 기상 및 기후 변화가 관측되었다. 그 중 일부는 인간의 활동과 관련된 것으로 많은 지역에서의 극한 호우 현상의 증가가 손꼽힌다. 이러한 극한 호우 현상 증가와 일부 저수지의 유출 증가 경향은 지역적 규모에서 홍수의 위험이 더 커졌음을 의미한다(Kim et al., 2016). 최근 이상기후 현상의 증가에 따른 강우양상의 변화로 게릴라성 집중 호우와 태풍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호우의 특성은 방위 및 진행방향에 따른 해석이 매우 복잡하여 강우를 정형화하기에 어려운 특징을 보인다. 또한 지속시간이 긴 호우의 경우에는 호우의 범위가 한반도 전체가 되는 특성 때문에 강우의 시 공간성과 관련된 관측 자료는 부족하며,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연구 또한 미진한 실정이다. 만약, 태풍과 같이 호우이동이 뚜렷한 경우, 기존의 적용되고 있는 유역중심의 DAD 분석 방법으로는 DAD 관계를 명확히 표현하기 어려우며 유역면적이 증가할수록 유역의 면적평균강우량의 오차도 증가하기 때문에 DAD 분석의 정확도는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우의 형태와 이동을 고려하기 위해 시간에 따른 호우를 격자로 나누어 격자를 증가시키면서 면적평균최대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는 Average-point Tracking 방법을 이용하여 DAD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유역 개념을 이용한 지방도 중심의 복합재해지도 제작 (Produce complex disaster maps centered on local roads through overlay of disaster maps)

  • 조항일;전계원;김영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9-239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국토는 전체면적 중 산지면적이 63%에 해당하여 산지에서 발생하는 산사태와 토석류에 취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대비하기 위해 국내·외에서는 재해지도를 제작하여 관리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재해지도는 격자형식으로 제작되어 있어 실무자들이 활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지재해에 취약한 강원도 강릉시 지방도를 대상으로 산림청에서 개발한 산사태위험지도와 토석류 위험지도를 중첩하여 복합재해지도를 제작하였다. 먼저 산사태위험지도에 유역의 개념을 도로에 적용하고서 지방도로를 200m 간격으로 분할하여 도로 중심으로 유역을 제작하였으며, 해당 유역에 산사태위험면적과 토석류위험면적 값을 이용하여 도로의 등급을 1등급(매우 위험) ~ 5등급(매우 안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복합재해지도 결과의 검증을 위해 SINMAP모형을 이용하여 오차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15% 이내인 것으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복합재해에 대비 할 수 있는 유역의 개념을 적용한 재해지도를 제작하며 도로관리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재해지도를 쉽게 이해하고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안경 광학중심과 동공중심의 불일치에 의한 수평, 수직 유발프리즘의 측정 (Measureme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Prism Diopter According to Difference between the Optical Center and Pupil Center)

  • 김효진;박지현;박선아;백지선;이은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조제 가공된 안경의 광학적 중심간 거리와 동공간거리의 일치여부를 알아보고, 안경의 광학적 중심높이와 OH의 일치여부를 분석하여 수평, 수직 차이에 의한 유발 프리즘을 검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평균 나이21.56세의 96명(192안)을 대상으로 동공거리계(DONGYANG PD-85, Korea)로 동공간거리를 측정하였고, 안경의 광학적 중심간 거리는 투영식 정점 굴절력계(TOPCON CL-200, Japan)로 측정하였다. OH는 펜라이트와 PD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착용하고 있는 안경의 착용기간을 조사하였다. 결과: 동공거리계로 측정한 동공간 거리와 투영식 정점 굴절력계로 측정한 안경렌즈의 광학적 중심간 거리는 78.1%(150안)에서 일치하지 않았고, 62.5%(60명)에서 기저내방으로 안경이 조제되었으며, 이 중 58.3%(56명)가 허용오차 범위 외에 있었다. 조제 가공된 안경과 피검사자의 OH를 비교한 결과 수직 유발 프리즘은 단 8명(8.3%)에서만이 유발되지 않았으며, 79명(82.3%)이 1 이상의 프리즘이 유발되었다. 조제후 7개월이 지난 경우에는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수직 OH의 차이가 더 컸다. 결론: 안경 착용자에게 양안 시기능을 보다 좋고 편안하게 향상시켜주기 위하여 PD와 OH 측정 및 조제에 더욱 정확성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정확한 조제 및 가공과 함께 안경원의 정기방문 또한 필요할 것이다.

실험 데이터를 이용한 회전운동 순간 중심점 분석 프로그램 개발(I)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Computes the Position of the Instantaneous Center of Rotation on the Basis of Experimental Data(I))

  • 박진;신기훈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79-79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원위지점에서 움직이는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점들의 회전운동 순간 중심점을 분석하는 프로그램(Centering 1.0)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적인 알고리즘을 정의하고, 물체의 운동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입력하여 회전운동 순간 중심점을 찾아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프로그램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 데이터는 한명의 숙련된 여성골퍼의 피칭(40m 캐리)과 퍼팅(4m) 스트로크 시 클럽의 움직임으로 수집하였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회전운동 순간 중심점 분석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클럽의 움직임 시 회전의 중심점을 찾고, 그 위치의 크기를 반지름으로 나타내었다. Centering 1.0 프로그램은 구간을 크게 정의할 때 반지름의 오차가 약간 있었으나, 구간을 작게 나눌수록 매우 근사치의 값을 제시하여주었다. 피칭과 퍼팅을 비교할 경우에 피칭의 반지름이 퍼팅보다 매우 작게 나타났으며, 퍼팅의 경우 중심의 위치는 인체 내에 있지 않고 최고 3m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entering 1.0 프로그램은 회전운동에서 구한 데이터의 최소 3개만 입력하면 반지름 값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이 누적되면 회전운동 순간 중심점의 이동경로를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