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성적

검색결과 2,020건 처리시간 0.026초

배추과 식물현탁배양 세포내에서 산성 아미노산의 능동수송 (Active Transport of Acidic Amino Acids in Suspension Cultured Brassica sp. Cells)

  • 조봉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7-142
    • /
    • 1995
  • 생리적인 pH에서 음전하를 띄우고 있는 산성 아미노산인 aspartate와 glutamate는 다른 중성 아미노산과 경쟁방해 실험을 행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들도 중성 아미노산이 갖는 능동운반계와 동일한 운반자를 소유한다. 중성 아미노산을 아미노산 한 분자 당 한개의 수소이온과 동반수송되고 전하에 보상을 위해서 한 분자 당 한개의 칼륨 이온을 배출한다. 그러나 산성 아미노산은 한 분자 당 2개의 수소이온과 동반수송되고, 한 분자 당 칼륨 한 분자를 배출한다. 중성 아미노산과 같은 운반계를 소유하고, 2개의 수소이온과 동반수송되는 능동운반계는 본 실험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이 결과로부터 두개의 동반수송된 수소이온 중 한 개는 산성 아미노산에 있는 pK$_3$카르복실기를 먼저 중화시킨 후에 중성화된 형태로 수소이온 한 분자와 동반수송된다고 사료된다. 그러므로 유채는 20개의 아미노산에 대해서 다만 2개의 운반계, 즉 일반- 과 알카리성 아미노산 운반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식물에서 이미 보고된 결과들을 참고하여 아미노산 운반계의 진화적인 의미를 고찰하였다.

  • PDF

20대 성인 남성에서 건강행태와 비만지표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lth Behavior and Obesity Indices on Blood Pressure in 20s Man)

  • 김철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31-238
    • /
    • 2011
  • 본 연구는 20대 성인 남성에서 건강행태와 비만지표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내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2006년 10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임상시험 참여를 위해 스크리닝을 시행한 20~29세의 남성 수진자 총 214명이며 탐색적 후향 연구로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정상인 비율은 28.5%와 50.0%였으며,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정상치인 집단보다 정상치 이상인 집단에서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더 높았으며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4세 이하보다 25~29세 집단이,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가 이완기혈압이 더 높았으며,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축기 혈압 상승에는 체질량지수와 중성지방이, 이완기혈압 상승에는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연령, 흡연량이 유의한 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20대 성인 남성에게 고혈압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감소를 위한 식습관 개선과 정상 BMI 유지 및 금연의 건강행태 개선 활동이 필요하다.

가공 배전선의 전자유도전압에 대하여 대지 귀로전류 원리를 반영한 중성선 차폐계수 계산 방법 (The Calculation Method of Shielding Coefficient of Neutral Line against an Induced Voltage by an Aerial Power Distribution Line Reflecting the Principle of Earth Return Current)

  • 이상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86-91
    • /
    • 2016
  • 가공배전선에 의하여 통신선에 유도되는 전압을 계산하는데에 있어서 기존의 중성선 차폐계수를 단일의 값으로 사용함으로 인한 과다 오차 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 배전 구간의 전주 접지 마다 발생하는 누설전류에 의한 대지귀로전류의 영향이 반영된 일반식이 개발된 바 있다. 각 전주 접지에서 발생하는 누설전류의 근원은 중성선에 유입되는 불평형전류이다. 그러므로 누설전류와 그 합인 대지귀로전류는 이 불평형전류에 대한 각 전주 위치에서의 누설율들의 합성적 인수 관계로 표현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결국 원래의 일반식을 누설율의 관점에서 전개하여 좀더 실용적인 의미를 갖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면 유도의 원천 전류인 중성선 불평형전류에 대한 누설전류 요율만의 합성 인수로 대체된 중성선 차폐계수 계산식이 도출된다. 이 계산식의 의미는 전 배전 구간에서 중성선에 의한 차폐 효과가 일정한 것이 아니라 유도 구간의 위치에 따라서 원래 유도를 발생시키는 전류인 중성선 불평형전류의 양이 달라지는 요율을 말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였을 때 기존 방식에 비하여 과소 예측에 대하여는 14% 증진율을, 과다 예측에 대하여는 평균 1/10 수준으로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옥수수 일차뿌리에서 Ascorbic acid가 굴중성 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scorbic Acid on the Gravitropic Response of Primary Roots in Maize)

  • 김충수;;김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64-1370
    • /
    • 2014
  • Ascorbic acid (AA)는 식물 발달과 생장에 필수적인 다기능성 대사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제인 AA가 옥수수 일차 뿌리에서 굴중성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10^{-3}$ M AA를 신장대에 처리하면 뿌리 굴중성 반응은 영향을 받지 않고 뿌리 생장은 약간 억제되었다. 그러나 $10^{-5}$ M과 $10^{-3}$ M AA를 뿌리 끝에 처리하였을 때, 뿌리 굴중성 반응은 촉진된 반면, 뿌리 생장은 억제되었다. 수평으로 놓인 뿌리의 윗면과 아랫면에서 IAA함량의 차이는 차등 생장을 유발한다. 뿌리는 IAA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여 아랫면에 증가된 IAA는 뿌리 생장을 억제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AA가 존재할 때 IAA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AA는 IAA와 함께 처리하면 굴중성 반응을 더욱 억제시켰다. 뿌리 생장과 굴중성 반응의 조절에 관여하는 AA의 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AA를 처리한 후 에틸렌 생성을 측정하였다. AA는 ACC가 에틸렌으로 전환되는 단계를 조절하는 ACC oxidase gene을 활성화시켜 에틸렌 생성을 촉진하였다. 이 결과는 AA가 에틸렌 작용의 조절을 통하여 옥수수 뿌리에서 굴중성 반응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제시한다.

자극의 구별성과 부분 인출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tinctiveness of stimulus and Partial Retrieval on Memory)

  • 정윤재
    • 인지과학
    • /
    • 제30권1호
    • /
    • pp.31-50
    • /
    • 2019
  • 본 연구는 인출 연습 범주 내 비 인출 연습 항목의 지각적, 정서적, 의미적 구별성이 인출 유도 망각(retrieval induced forgetting; RIF)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1은 인출 유도 망각 실험 패러다임에 적합한 범주와 범주 내 항목을 구성하고, 인출 연습 범주 내 비 인출 연습 항목의 지각적 구별성이 인출 유도 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6개의 범주와 각 범주 당 6개의 단어들로 이루어진 목록이 사용되었다. 통제조건에서는 지시문을 포함하여 범주명과 범주 내 항목 등 모든 자극이 고딕체의 검은색으로 제시었다. 반면 지각적 구별성 조건에서는 지시문과 범주명, 범주 내 항목의 절반은 검은색 고딕체로 제시되었고, 나머지 범주 내 항목의 절반은 붉은색의 궁서체로 제시되었다. 그 결과 통제집단 뿐만 아니라 지각적 구별성 조건 모두 인출 유도 망각이 관찰되었다. 실험 2는 부적정서의 구별성과 의미적 구별성이 인출 유도 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부적정서의 구별성은 범주 내 항목의 절반에 부적 형용사를 덧붙이는 방식으로 조작되었다. 의미적 구별성은 범주 내 항목의 절반에 의미적으로 특이한 형용사를 덧붙이는 방식으로 조작되었다. 중성 조건은 모든 범주 내 항목에 중성적인 형용사를 덧붙이는 방식으로 조작되었다. 그 결과 중성 조건에서는 인출유도망각이 발생된 반면 부적정서 구별성 조건과 의미적 구별성 조건 모두 인출 유도 망각이 발생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구별성이 범주와 범주 내 항목간의 연합관계 안에서 작용될 때만 인출 유도 망각이 발생되지 않을 가능성을 제안한다.

랫트의 실험적 동맥경화증에 대한 칠성장어유 및 옥수수유의 예방적 효과 (Preventive Effect of Lamprey Oil and Corn Oil on the Experimental Atherosclerosis in Rats)

  • 이범준;이영순;미끼도꾸타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3-153
    • /
    • 1989
  • 콜레스테롤과 Vitamin D2로 유발시킨 동맥경화증 랫트에 칠성장어유와 옥수수유의 급여에 따른 예방적 효과를 조사할 목적으로 다음 네 개의 식이군으로 나누어 실험한 바, 첫째군은 정상대조군, 둘째군은 콜레스테롤(40/kg) 과 Vitamin D2(300,000 IU/kg)를 시험개시 1일부터 연속적으로 4일간 투여한 동맥 경화증 대조군, 셋째군은 동맥경화증 유발 처치와 함께 15% 칠성 장어유 식이(w/w)를 8일간 급여한 칠성장어유 식이군, 넷째군은 동맥경화증 유발처치와 함께 15% 옥수수유 식이 (w/w)를 8일간 급여한 옥수수유 식이군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동맥경화증 대조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혈청 중의 총지질, 인지질. 총콜레스테롤, HDL-cholesterol, LDL-chlesterol 치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고 (p<0.01), 또한 심장의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치의 증가(p<0.01), 대동맥의 중성지방(p<0.01) 및 콜레스테롤치 (p<0.05)를 보였다. 한편 대동맥은 심한 손상으로 내피세포의 탈락 및 내막과 중막에 석회화, 괴사, 지방 침착을 보였고, 관상동맥은 석회화, 괴사, 백혈구의 침윤이 현저하게 관찰되었다. 칠성장어유 식이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혈청 중성지방치의 r마소 (p<0.01), 혈청 HDL-cholesterol 치의 증가(p<0.01), 심장콜레스테롤치 (p<0.05),의 증가를 보였고, 동맥경화증 대조군에 비하여는 혈청 중의 총지질, 중성지방, 인지질, 총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 , VLDL-cholesterol 치 (p<0.01), 및 LDL치의 감소(p<0.05), 또한 간장 콜레스테롤치의 증가(p<0.05), 심장의 중성지방 (p<0.01) 및 콜레스테롤치 (p<0.05)의 r마소, 대동맥 중성지방 (p<0.01) 및 콜레스테롤치 (p<0.05) 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옥수수유 식이군에 비하여 혈청 총지질(p<0.05)의 감소, 총콜레스테롤 및 HDL-cholesterol 치의 감소 (p<0.01), 심장중성지방치의 감소 , 대동맥 중성지방치의 감소 (p<0.01)를 보였다. 한편 대동맥은 동맥경화증 대조군에 비하여 미약한 석회화와 괴사된 thru을 보였으나 칠성장어유 식이군에서와 같이 지방침착은 관찰되지 않았고 관상동맥에서도 동맥경화증 대조군에 비해 미약한 석회화와 괴사된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불포화지방산을 다량으로 함유한 칠성장어유 및 옥수수유는 동맥경화증 랫트에 있어 생체내 지질대사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혈청지질치를 저하시키고 동맥벽내에 지방침착을 억제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n-6계 다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옥수수유보다 n-3rP 다불포화지방산을 다량으로 함유한 칠성장어유에 더욱 크게 나타났다

  • PDF

기계적 미세 형상 금형가공 기술

  • 최두선;제태진;이응숙;신영재
    • 기계저널
    • /
    • 제42권6호
    • /
    • pp.64-69
    • /
    • 2002
  • 이 글에서는 기계적 이세 금형가공 기술을 중성으로 기술의 동향과 현재 수행 중인 내용에 관하여 소개함으로써 이 분야에서의 국내 연구자들의 관심을 높이고 참여를 유도하고자 한다.

  • PDF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시 1%마늘가루 첨가가 혈액 및 간조직 중 지질과 혈중 유리 아미노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1% Garlic Powder on Serum and Liver Lipid and Plasma Amino Acid Concentration in Rats Fed Cholesterol Diet)

  • 조현주;최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8-103
    • /
    • 2002
  •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체중증가량, 체중 증가 패턴, 식이섭취량, 식이효율은 대조군과 마늘군 사이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중 포도당 농도는 마늘 첨가군에서 다소 낮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중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마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내지 않았고, atherogenic index역시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간조직 중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과 마늘군 간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혈중 유리아미노산의 농도 역시 대조군과 마늘군 사이의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시 1% 수준의 마늘가루 첨가는 간조직 중 지질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혈장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을 유의적 낮추었으므로 식이 중 마늘의 섭취는 고지혈증의 개선에 유익한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마늘이 체내 유리아미노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단정지을 수 없으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커피를 고지방식이에 첨가하였을 때 흰쥐의 체중, 혈중 지질 및 leptin 농도와 지방세포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tant Coffee on Weight, Plasma Lipids, Leptin, and Fat Cell Size in Rats Fed on a High Fat Diet)

  • 강금지;최성숙;한혜경;김관중;권소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78-48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체중이 약 170g정도인 Sprague-Dawley 수컷 쥐에게 AIN 93식이를 변형한 고지방식이와 고지방식이에 커피의 농도를 0.6%, 1.2% 및 2.4%(w/w)로 섭취시켜 6주간 사육하여 체중증가량, 체내 지방량, 혈장에서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유리지방산과 leptin의 농도와 부고환지방조직에서의 지방세포크기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체중 증가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지만 0.6% 커피 섭취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이이용효율은 0.6% 및 1.2% 커피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내 지방량은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체중이 많이 나가는 0.6% 커피 섭취군의 체지방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장 중성지방의 농도는 2.4% 커피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다른 커피 섭취군에 비해 낮았고, 총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커피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맥경화지수는 2.4% 커피 섭취군이 다른 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Leptin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가장 많은 0.6% 커피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커피 섭취량이 많아질수록 leptin 농도는 낮아져 1.2% 및 2.4% 커피 섭취군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고환지방 조직의 지방세포 크기는 각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0.6% 커피 섭취 시 순환기계질환의 원인이 되는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순환기계질환을 예방해주는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유의적으로 높아졌고, 동맥경화지수도 고지방식이를 먹은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커피 섭취량이 가장 많은 2.4% 커피 섭취는 체중증가량, 식이이용효율, 중성지방 및 leptin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