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Health Behavior and Obesity Indices on Blood Pressure in 20s Man

20대 성인 남성에서 건강행태와 비만지표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1.07.01
  • Accepted : 2011.08.08
  • Published : 2011.08.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 of health behavior and obesity indices on blood pressure(BP) in 20s men. This was a retrospective exploratory study and the subjects were 214 men who participated in screening test for clinical trial at a tertiary hospital between October 2006 and April 2011. The proportion of normal SBP and DBP was 28.5% and 50.0%, respectively. B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ndividuals who were hypertriglyceridemia and hypercholesterolemia than BP in subjects of opposing categories. DB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ndividuals who were 25~29 years and smokers than DBP in subjects of opposing categories. The significant factors of increasing SBP were BMI and TG, and those for DBP were TC, TG, age, and smoking amount. In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hypertention prevention program to include decreasing intake of TC and TG, maintaining normal BMI and quitting smoking needs to the young men in 20s.

본 연구는 20대 성인 남성에서 건강행태와 비만지표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내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2006년 10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임상시험 참여를 위해 스크리닝을 시행한 20~29세의 남성 수진자 총 214명이며 탐색적 후향 연구로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정상인 비율은 28.5%와 50.0%였으며,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정상치인 집단보다 정상치 이상인 집단에서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더 높았으며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4세 이하보다 25~29세 집단이,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가 이완기혈압이 더 높았으며,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축기 혈압 상승에는 체질량지수와 중성지방이, 이완기혈압 상승에는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연령, 흡연량이 유의한 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20대 성인 남성에게 고혈압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감소를 위한 식습관 개선과 정상 BMI 유지 및 금연의 건강행태 개선 활동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438&bbs=INDX_001
  2. 정재현, 조정호, 강익원, 신말연, 최혜진, 이지현, 김선민, "과체중 여자대학생의 혈중 지질농도 및 혈액성분과 염증지표와의 관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0-15, 2010.
  3. 보건복지부,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1-2020), 보건복지부, 2011.
  4. 2009 국민건강영양 통계, 보건복지부, 2010.
  5.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조사결과 심층분석 연구보고서, 질병관리본부, 2007.
  6. http://www.hypertension.or.kr/viewC.php?vCode=306001
  7.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179505
  8. 유창균, 정용준, 조영채, "일부 산업장 남성근로자들의 흡연, 음주 실태에 따른 혈압 및 혈액검사치의 특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31-145, 2003.
  9. 오상우, "음주가 비만 및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7, 2009.
  10. 김기련, 윤현숙, "마산지역 시내버스 운전자의 건강관련 생활습관과 혈액의 생화학적 지표와의 상호관련성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7권, 제2호, pp.232-244, 2002.
  11. 이혜원, "카페인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섭취량 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제6권, 제3호, pp.343-355, 2000.
  12. 이미라,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7권, 제1호, pp.156-168, 1997
  13.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NIH Publication, 2004.
  14. 대한비만학회, 비만치료지침 2009, 청운기획, 2009.
  15. 심수정, 박혜순, "한국인에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체지방률 기준치", 대한비만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4-21, 2004.
  16.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치료지침 제정위원회,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2009.
  17. A. Alkerwi, N. Sauvageot, A. Donneau, M. Lair, S. Couffignal, J. Beissel, C. Guillaume, Y. Delagardelle, A. Wagener, and M. Albert, "First nationwide survey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Grand-Duchy of Luxembourg (ORISCAV-LUX)," BMC Public Health, Vol.10, No.468, pp.1-10, 2010. https://doi.org/10.1186/1471-2458-10-1
  18. 정성태, 정동춘, 이병근, "비만 ,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준에 대한 고혈압의 비교 위험도", 운동과학, 제6호, 제1권, pp.45-57, 1997.
  19. J. Burke, R. Reilly, J. Morrell, and I. Lofgren, "The University of New Hampshire's Young Adult Health Risk Screening Initiative," J. Am Diet Assoc., Vol.109, No.10, pp.1751-1758. 2009. https://doi.org/10.1016/j.jada.2009.07.005
  20. L. Soloway, E. Demerath, N. Ochs, G. James, M Little, J. Bindon, and R. Garruto, "Blood pressure and lifestyle on Saba, Netherlands Antilles," Am J. Hum Biol., Vol.21, No.3, pp.319-325. 2009. https://doi.org/10.1002/ajhb.20862
  21. S. Ramirez, D. Enquobahrie, G. Nyadzi, D. Mjungu, F. Magombo, M. Ramirez, S. Sachs, and W. Willett,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hypertension: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rural populations in sub-Saharan Africa," J. Hum Hypertens., Vol.24, No.12, pp.786-795, 2010. https://doi.org/10.1038/jhh.2010.14
  22. 조영채, 송인순, "산업장 근로자들의 연령과 건강습관에 따른 비만, 혈압 및 혈청지질의 특성", 대한보건협회학술지, 제26권, 제2호, pp.143-151, 2000.
  23. N. Pronk, M. Lowry, T. Kottke, E. Austin, J. Gallagher, and A. Katz, "The association between optimal lifestyle adherence and short-term incidence of chronic conditions among employees," Popul Health Manag., Vol.13, No.6, pp.289-295. 2010. https://doi.org/10.1089/pop.2009.0075
  24. H. Li, W. Tong, A. Wang, Z. Lin, and Y. Zhang,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blood pressure stratified by BMI in Mongolian population, China," Blood Press. Vol.19, No.2, pp.92-97. 2010. https://doi.org/10.3109/08037050903516300
  25. 진복희, 김주영, "혈청 총 콜레스테롤과 혈암, 비만 및 일상 생활습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협회지, 제21권, 제2호, pp.3-18, 1995.
  26. 김원기, "중년여성의 비만과 연령에 따른 고혈압의 위험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377-1384, 2010.
  27. 김희승, 김남초, "복부형비만군과 정상군과의 비만지수, 혈압 및 혈청지질의 성별 차이", 대한간호학회지, 제30권, 제4호, pp.948-955, 2000.

Cited by

  1. Comparison of practice of dietary guidelines and health beliefs according to stage of weight loss behavior change among male workers vol.46, pp.3, 2013, https://doi.org/10.4163/jnh.2013.46.3.276
  2. The Effects of Elderly Diabetes Mellitus Patients' Self-care Behavior and Health Conservation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vol.26, pp.2, 2015, https://doi.org/10.12799/jkachn.2015.26.2.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