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대뇌동맥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7초

국소 허혈성 뇌손상 흰쥐 모델에서 경두개직류전기자극이 앞다리 운동감각 기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mproved Forelimb Sensorimotor Function on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a Focal Ischemic Brain Injury Rat Model)

  • 김기도;심기철;김경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3-282
    • /
    • 2011
  • 본 연구는 국소 허혈성 뇌손상 흰쥐 모델에서 tDCS의 자극 적용시간을 달리하였을 때, 앞다리 운동감각 기능변화와 신경영양인자(GAP-43)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손상 모델은 Sprague -Dawley계 흰쥐 80마리를 'Longa'방법을 이용하여 중대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을 폐색하여 유발하였고, 실험군을 4개로 나누었다; 실험군I은 허혈성 뇌손상 유발군(n=20), 실험군II는 허혈성 뇌손상 유발 후 tDCS(10분) 적용군(n=20), 실험군III은 허혈성 뇌손상 유발 후 tDCS(20분) 적용군(n=20), 실험군IV는 허혈성 뇌손상 유발 후 tDCS(30분) 적용군(n=20)으로 나누었다. 앞다리운동감각 기능검사를 위해 수정된 앞다리배치 검사와 단일 팰릿 닿기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신경가소성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로 운동감각 영역에서의 GAP-43 단백질 발현을 관찰하였다. 앞다리운동감각 검사는 14일에서 실험군III (p<0.05)이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단일 팰릿 닿기 검사는 14일에서 실험군III(p<0.01)과 실험군IV(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면역조직학적 검사는 14일에 실험군III이 다른 군들에 비해 현저한 면역양성반응의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0.1 mA의 강도로 20분간 적용했을 때가 앞다리운동감각 기능과 신경가역성 인자 GAP-43 발현에 가장 좋은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뇌손상 흰쥐에서 기억과 학습훈련이 해마의 신경 성장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mory and Learning Training on Neurotropic Factor in the Hippocampus after Brain Injury in Rats)

  • 허명;방요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09-317
    • /
    • 2009
  • 본 연구는 뇌손상 흰쥐에서 기억과 학습훈련을 통해 인지기능회복과 해마의 신경 성장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손상은 Sprague-Dawley계 흰쥐 36마리를 중대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을 폐색하여 유발하였고, 실험 군들은 3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 군 I은 뇌손상유발 군(n=12), 실험 군 II는 뇌손상 유발 후 트레드밀훈련 군(n=12), 실험 군 Ⅲ은 뇌손상 유발 후 기억과 학습훈련 군(n=12)으로 나누었다. 인지기능 검사를 위해 수중모리스미로 습득검사와 파지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직학적 검사는 해마조직의 BDNF(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면역조직화학 반응을 관찰하였다. 수중모리스미로 습득 검사(Morris water maze acquisition test)는 시간과 군사이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1), III군에서 9일에서 12일째까지 원형도피대를 찾는 시간이 I, II군에 비해 단축되었다. 수중모리스미로 파지검사(retention test)는 군 사이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13일째 III군에서 원형도피대가 있었던 사분원에 배회하는 시간이 가장 길었다. 조직학적 검사는 III군에서 7일째 해마조직의 CA1에서 BDNF의 면역조직화학반응이 I, II군에 비해 면역양성반응의 증가를 관찰하였다. 뇌손상 흰쥐에서 기억과 학습훈련이 신경성장인자 발현 변화와 이로 인한 신경연접 가소성의 변화를 통해 인지기능회복에 더 좋은 영향을 주었다.

경두개 도플러 초음파를 이용한 현훈 환자의 뇌혈관 혈류 측정에 관한 임상적 연구 (중대뇌동맥, 추골동맥 및 기저동맥을 중심으로) (Clinical Study of Blood Flow Velocity Using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on Cerebral Arteries in Dizziness Patients)

  • 김봉석;오중한;김동우;최빈혜;장우석;서영호;손대용;변준석;임회용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18-426
    • /
    • 200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search whether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TCD) can yield a suitable diagnosis or prognosis for dizziness. Methods : To evaluate the blood flow, we measured the mean velocity(Vm), peak systolic velocity(Vs) and pulsatility index(PI)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MCA), vertebral artery(VA) and basilar artery(BA) in 54 dizziness patients and 44 normal subject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dizziness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we selected 54 dizziness patients diagnosed normal by Brain MRI, and 44 normal subjects who did not have any symptoms of hyperlipemia, hypertension, diabetes melitus, heart disease, or smoking, diagnosed normal by Brain MRI. 30-69 year olds were divided into 30-49 year olds, 50-59 year olds and 60-69 year olds. Results : In normal subjects,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Vm, Vs in the MCA and BA, and Vs in the VA of female subject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I in the MCA and BA increasing with age. In comparison with normal subjects, dizziness patients had a significantly lower Vm in the BA. Male dizziness patients had significantly lower PI in the MCA. 30-49 year olds had significantly lower Vm in the BA. Conclusions :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flow velocities in the BA between dizziness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suggests that dizziness is related to blocking of blood flow in the BA and that diagnosis and prognosis can be made through TCD. More detailed study of dizziness patients will be needed.

  • PDF

성심산(醒心散)의 중대뇌동맥 폐쇄로 유발된 허혈성 뇌손상 백서(白鼠)에 대한 인지 및 운동기능 회복 촉진효과 (Sungshim-san-mediated Recovery of Cognition and Motor Function in the Severe Rat Stroke, Perman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odel)

  • 이경석;정대규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9-336
    • /
    • 2015
  •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gnition and motor function recovery effects of Sungshim-san (SSS), a traditional Korean cardio-protective polyherbal formula in the severe rat stroke, perman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pMCAO) model. Methods: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6 groups. SSS aqueous extracts (yield=16.82%; 400, 200 and 100 mg/kg) were administered orally by using Sonde, once daily, for 28 continuous days from 24 hrs post-pMCAO. Donepezil 10 mg/kg, a representative drug for dementia, was used as a reference drug. The body weight changes, infarct/defect sizes, sensorimotor function and cognitive motor behavior were serially monitored. Limb placing and body-swing test for sensorimotor functions were conducted at 1 day before operation (base line), and 1, 3, 7, 14, 21 and 28 days post-pMCAO; and water maze test for the cognitive motor behavior was conducted at 14 and 28 days post-pMCAO, respectively. Results: Focal cerebral cortex infarct and defects due to pMCAO resulted in marked decreases of body weight, disorders of sensorimotor functions and cognitive motor behaviors. However, the pMCAO-related ischemic damages were markedly and dose-dependently inhibited by treatment with SSS 400 and 200 mg/kg, respectively. Donepezil markedly decreased the body weight and gains, as compared with pMCAO control rats; however, SSS 400 and 200 mg/kg favorably ameliorated the pMCAO-induced decreases in body weight and gains. SSS 100 mg/kg treated rats did not show any favorable effects on the pMCAO-related ischemic damages, as compared with pMCAO control rat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SSS 400 and 200 mg/kg accelerated cognition and motor function recovery in the rat pMCAO model. The treatment effect was potentially mediated by neuroprotection via the known augmentation of cerebral antioxidant defense system of SSS itself or its individual herbal components. Especially, the overall effects of SSS 200 mg/kg were similar to those of donepezil 10 mg/kg, but less toxic.

죽력(竹瀝)이 흰쥐의 중대뇌동맥(中大腦動脈) 및 전뇌허혈(全腦虛血) 폐쇄 허혈모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Jukryuk) on Ischemic Damage to 4 Vessel Occlusion and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in Mice)

  • 김재홍;홍진우;나병조;박성욱;정우상;문상관;박정미;고창남;조기호;김영석;배형섭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629-640
    • /
    • 2008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Jukryuk on 4-vessel occlusion(4-VO) and middle cerebral artery (MCA) ischemia. Method : After administration of Jukryuk, we compared the Jukryuk-treated group, the control, and the sham groups, in view of several points as follows 1) We evaluated the damage characterized by coagulative cell change of pyramidal neurons and pronounced gliosis in each group 2) We counted the number of normal pyramidal shapes after ischemia in each group 3) Immunohistochemistry (cyclooxygenase-2) 4) In focal ischemic injury model, we measured the volume of ischemic area Results : In this experiment, the effect of Jukryuk was determined to be protecting neuron cell shape, reducing the number of neuron cells damaged by ischemia and the volume of the ischemic area. In immunohistochemistry, Jukryuk reduced cyclooxygenase-2 expression Conclusions : According to this study, Jukryuk can protect neuron cells from injury by cerebrovascular ischemia.

  • PDF

임상용 3T MRI를 이용한 마우스 뇌의 영상 (Imaging Studies in Mouse Brain Using Clinical 3T MRI Scanner)

  • 임수미;박은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4호
    • /
    • pp.348-353
    • /
    • 2010
  • 임상적용 전 단계에서 마우스와 같은 작은 설치류를 이용한 신경학적 실험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임상용 3T MRI를 이용한 마우스 뇌 영상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용 3T MRI를 이용한 마우스 뇌 영상의 가능성과 기술적인 적용과 최적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25g 체중 마우스 3마리에서 임상용 3T MRI를 이용하여 T1 강조영상(T1WI), T2 강조영상(T2WI), FLAIR (Fluid 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영상, 가돌리늄 조영 T1 강조영상(Gd-T1WI), 확산 강조영상(DWI)을 시행하였다. 대상이 되었던 마우스 1마리는 뇌 경색을 유발시키지 않았으며 2마리는 우측 중대뇌동맥을 결찰하여 일측 뇌경색을 유발하고 1시간, 24시간, 72시간에 각각의 MRI 영상을 시행하였으며 각 영상에서 마우스 뇌의 striatum, 뇌실, 대뇌 피질의 해부학적 구별, 뇌 경색 부위의 진단 가능성 등을 분석하였다. T2WI에서 마우스 뇌의 striatum, 뇌실, 대뇌 피질의 해부학적 구별이 모두 가능하였고 T1WI, FLAIR, DWI 영상에서는 위의 해부학적 경계부위의 해상도는 감소하였다. 뇌경색 부위는 경색 후 1시간, 24시간, 72시간 영상 모두에서 발견되었고 T2WI, FLAIR에서는 24시간, 72시간에서만 구분되었다. 임상용 3T MRI를 이용한 마우스 뇌 영상에서 해부학적 부위의 구별이 가능하였고 특히 DWI를 이용하여 급성기 뇌 경색의 진단이 가능하였다. 앞으로 기술적인 적용과 최적화를 위한 노력이 계속 진행된다면 임상 실험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인공 기계 심장 판막 이식 환자에서 산소 흡입 중 미세색전 신호의 중요성 (Significance of Microembolic Signals during Oxygen Inhalation in Patients with Prosthetic Mechanical Heart Valve)

  • 조수진;나찬영;이은일;민양기;권기한;이정주;백만종;오삼세;홍석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50-55
    • /
    • 2004
  • 배경: 경두개 초음파 검사는 색전의 위험이 있는 환자에서 미세색전 신호를 진단할 수 있다. 미세색전 신호의 임상적 중요성은 인공 기계 심장 판막 환자에서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우리는 인공 기계 심장 판막 수술 후의 뇌 혈전색전증과 산소 흡입 중 측정되는 미세색전 신호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인공 기계 심장 판막 수술 후 뇌 혈전색전증의 병력이 있는 20명의 환자군과 성별, 연령별로 일치시킨 3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경두개 초음파 검사로 일측 중대뇌동맥을 감시하였다. 20분간의 기초 검사 후 40분 동안 100% 산소를 흡입하면서 검사하였다. 결과: 인공 기계 심장 판막의 수술 부위와 수술 후 기간은 환자군과 대조군의 차이가 없었다. 기초 검사 동안 측정된 미세색전 신호의 양성률과 빈도는 양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산소 흡입 중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미세색전 신호의 양성률이 높았고(55%, 27.6%, p=0.045), 미세색전 신호수도 흔하였다(p=0.027). 결론: 산소 흡입을 이용한 경두개 초음파 검사는 인공 기계 심장 판막 이식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미세색전의 감별에 도움이 된다.

심장 판막 수술 후 미세색전의 변화 (Changes of Microembolic Signals after Heart Valve Surgery)

  • 조수진;이은일;백만종;오삼세;나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316-320
    • /
    • 2003
  • 배경: 경두개 초음파 검사에 의한 미세색전의 진단은 향후 뇌색전증의 위험이 높은 환자의 선별에 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우리는 전향적으로 심장 판막 수술 전과 후의 미세색전의 양성률과 빈도를 검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심장 판막 질환이 있는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는 진행되었다. 뇌경색의 병력이 있거나, 과거에 인공 기계 심장 판막 수술을 받은 환자는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경두개 초음파 검사는 중대뇌동맥에서 1시간 동안 미세색전을 감시하였고, 수술 전과 수술 후 2차례 검사하였다. 결과: 기계 심장 판막 수술은 28명, 조직 판막 수술은 10명, 승모판막 성형술은 12명에서 시행되었다. 미세색전의 양성률은 수술 전(8%)에 비하여 수술 후(50%)에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며 (p=0.00), 미세색전은 항응고제 강도, 심장 부정맥, 환자의 연령, 고혈압의 병력과 관련성이 없었다. 기계 심장 판막 이식수술 후 미세색전의 양성률(71.4%)은 조직 판막 이식수술(10%)이나 승모판막 성형술(33.3%)에 비하여 의미 있게 높았다(p=0.002). 결론: 미세색전은 심장 판막 수술 후 의미 있게 증가하며 이러한 변화는 인공 기계 심장 판막 수술 후 색전증의 위험과 관련되어 있다고 추정된다.

중환자실(重患者室)에서 기관내(氣管內) 삽관후(揷管後) 퇴원(退院)한 환자(患者)의 임상통계(臨床統計) 고찰(考察) (Clinical Observation for Endotracheal intubation Patients in ICU)

  • 남창규;문병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07-432
    • /
    • 1996
  • 연구배경(硏究背景) 및 목적(目的) : 중환자실에서 기관내(氣管內) 삽관(揷管) 환자의 실태분석과 질환별 빈도, 부위 및 예후판정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대상(對象) 및 방법(方法) : 1992년 1월 1일부터 1995년 6월 30일까지 대전대학교 부속 한방병원 중환자실에 입실(入室)하여 기관내(氣管內) 삽관(揷管)을 실시한 환자 37명을 대상(對象)으로 조사하였다. 결과(結果) 및 결론(結論) : 1. 기관내(氣管內) 삽관(揷管)을 시행한 환자수는 37명으로 전체 내실(內室)환자의 4%를 차지하였다. 2. 질환별 빈도는 허혈성 뇌졸중이 가장 많았고, 출혈성 노졸중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뇌혈전이 뇌색전보다 많았다고, 뇌실질내출혈이 지주막하출혈보다 많았다. 3. 뇌색전의 병변부위는 중대뇌동맥이 가장 많았고, 뇌혈전과 뇌실질내흡연에서는 모두 뇌교가 가장 많았다. 4. 성별로는 남녀의 비가 1:1로 같았고, 연령별로는 60대가 가장 많았다. 5. 사상체질(四象體質)분류에서는 태음인(太陰人)이 가장 많았다. 6. 입실(入室) 당시의 의식상태는 GCS 3-7점이 가장 많았다. 7. 선행질환(先行疾患)(과거력(過去歷))으로는 고혈압이 가장 많았다. 8. 중환자실(重患者室) 체류기간(滯留期間)은 2일 이내가 가장 많았고, 발병후 중환자실 퇴원까지 경과기간은 1-3인이 가장 많았다. 9. 기관내(氣管內) 삽관(揷管) 시간별(時間別) 분포(分布)는 13-15(말(末))시(時)가 가장 많았고, 지속시간(持續時間)이 2시간 이내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월별(月別) 분포(分布)는 2월과 5월이 가장 많았고, 계절별로는 겨울이 가장 많았다. 10. 기관내(氣管內) 삽관시(揷管時)의 결정시간(決定時間)은 심전지후가 호흡부전시보다 빈도가 높았다. 11. 중환자실에서의 합병증으로는 비뇨기감염이 가장 많았고, 폐렴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관내(氣管內) 삽관(揷管)으로 인한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소속명탕(小續命湯) 추출물(抽出物)이 전뇌허혈(全腦虛血)및 국소뇌허혈(局所腦虛血)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Sosokmyung-tang extract on Global cerebral ischemia·Cerebral Infarction by MCA occlusion in vivo)

  • 이경애;신길조;이원철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07-116
    • /
    • 1999
  • 이 실험의 목적은 소속명탕(小續命湯)에 대하여 KCN(potassium cyanide)으로 유발된 혼수시간과 생존시간을 측정하여 전뇌허혈(全腦虛血)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또한 MCA occlusion 유발시 뇌부종율(腦浮腫率)과 뇌허혈면적(腦虛血面積)을 측정하여 국소뇌허혈(局所腦虛血)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하였다. 1. 전뇌허혈 유발실험에서 유의성있는 KCN 유발 혼수시간의 단축, 치사량의 KCN에 대한 생존시간의 연장 효과가 나타났다. 2. 국소 뇌허혈 유발실험(MCA occlusion)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뇌허혈면적과 뇌부종율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