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간유출

Search Result 16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에칠아세테이트와 톨루엔 가연성액체혼합용액의 폭발하한계

  • 하동명;이수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29-134
    • /
    • 2000
  • 가연성가스나 액체는 화학공업의 원료, 중간제품 그리고 완제품으로 화학공정의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물질의 취급함에 있어 밸브의 조작실수, 배관접합부파손, 저장 및 수송의 부주의로 인해 주위에 공기와 혼합되면 화재 및 폭발이 발생할 수도 있고 유해물질이 유출되는 경우도 있다.(중략)

  • PDF

Analysis of Non-Point Pollutants Outflow Pattern in Jinhae-Masan Basin (진해-마산만 유역에서 비점오염물의 유출양상 분석)

  • Lee, Beum-He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 /
    • v.8 no.1
    • /
    • pp.107-118
    • /
    • 2006
  • The difficulties to build a 3-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 for the coastal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the environmental recovery estimation are the lack of periodic observed data and the many problems to observe continuously. I observed the rainfall and non-point pollutants outflow patterns in Jinhae-Masan basin as mid-step researches for the water quality simulation and management method development in a coastal area. I applied Landsat image system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analyze the runoff and non-point pollutants outflow patterns. A water quality simulation model (SWMM) applied to Jinhae-Masan basin with results of the land use distribution, non-point pollution loads, and watershed informations from GIS(IDRISI used). I proposed some improved survey and GIS application methods reflect upon the pollutant characteristics from the observed non-point pollutant outflow patterns.

  • PDF

Application of land cover and soil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HSPF modeling accuracy (HSPF 예측 정확도 제고를 위한 토지피복 및 토양 특성 자료의 활용)

  • Kang, Yooeun;Kim, Jaeyoung;Seo, Do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0
    • /
    • pp.823-833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runoff modeling accuracy of a basin using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HSPF) model by considering nonhomogeneous characteristics of a basin. By entering classified values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s of land cover and soil to the parameters in HSPF-roughness coefficient (NSUR), infiltration (INFILT), and evapotranspiration (LZETP)- the heterogeneity of the Yongdam Dam basin was reflected in the model.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one where the parameters were set as a single value throughout the basin. The flow rate and water quality simulation results showed improved results when classified parameters were used by land cover and soil type than when single values were used. The parameterization changed not only the flow rate, but also the composition ratio of each hydrologic components such as surface runoff, baseflow, and evapotranspiration, which shows the impact of the value set to a parameter on the entire hydrological process.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of the land cover and soil of the basin when setting the parameters in a model.

Validity of Runoff Curve Number Method for Estimating of Effective Rainfall (유효강우량 산정을 위한 곡선번호방법의 적용성)

  • 윤태훈
    • Water for future
    • /
    • v.24 no.2
    • /
    • pp.97-108
    • /
    • 1991
  • A number of different curve numbers are estimated, and three of them are the basin or composite curve numbers (CN-II and CN-III) evaluated from hydrologic soil cover complex, the observed curve numbers computed from rainfal1-runoff observations and the basin median curve numbers as a median of the observed curve numbers. Based on the observed runoff, CM-II underestimates the effective rainfall meanwhile CN-III overestimates. Hence, for the improvement in estimating effective rainfall, a modulating curve number may be defined as a value in between CN-II and CN-III. Basin median curve numbers produces the closest result to the observed runoff and therefore it can be adopted as a representative curve number for gaged basin.

  • PDF

Comparative Studies on the Structural Design of Double Hull Tanker and Mid-deck Tanker (이중 선각 유조선과 중간 갑판 유조선의 구조설계 비교 연구)

  • Seung-Soo Na;Jae-Seon Yum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7 no.2
    • /
    • pp.100-108
    • /
    • 2000
  • As U.S. congress and I.M.O. have recently adopted strengthened MARPOL73/78 regulations on marine pollu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e a new type of tankers such as Double hull tanker(D/H Tanker) and Mid-deck tanker(M/D Tanker) and so on. Because most of researches are concentrated on the volume of oil spill due to collision of ships, in this paper, a structural design program for D/H Tankers and M/D Tankers is developed to suggest the effective type of tankers by compar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ir types. By this program, minimum hull weight designs of D/H tankers and M/D tankers considering tank arrangement are performed and the design results are compared each other. The efficient types of hull structure for the minimum weight design between D/H tankers and M/D tankers is proposed.

  • PDF

Dissemination Effectiveness Analysis of outlet drain discharge for Paddy field (필지단위 배수물꼬 보급에 따른 효과 분석)

  • Ju, So Hee;Lee, Su In;Shin, Jae Young;Jang, Jeong-Ryeol;Choi,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62-262
    • /
    • 2017
  • 새만금 유역의 농업비점오염원은 총수질오염원의 68%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새만금 유역의 농업비점오염원을 제어하지 못하면 새만금 담수호의 수질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또한, 국내 논 용수 이용량은 국가수자원 총 이용량의 40.5%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논 배출수의 수량 및 수질관리가 농촌 비점오염 물질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현재 많은 연구자들이 농촌 비점오염 물질을 저감하기 위하여 다양한 최적관리기법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대부분 시험포를 조성하고 제한된 실험조건에서 효과를 검증한 연구 결과로 실제 농민에게 최적관리기법을 보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유역 내 논에서 실제 영농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농민들에게 최적관리기법 중 하나인 물꼬장치를 보급하고 물꼬 높이를 조절하게 함으로써 농민 스스로 비점오염물질을 저감 할 수 있도록 장려하였다. 연구 대상지점은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용계리 일대 논이며, 연구 기간은 5월부터 9월까지로 영농 활동기를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물꼬 높이 조절은 중간낙수기 이전은 7 cm, 중간낙수 이후와 비영농기에는 물꼬 높이를 12 cm로 높여서 유지하도록 하였다. 농민 스스로 물꼬 높이를 조절하여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도록 물꼬 보급 이후 정기적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후 영농 활동기별 유출량을 비교한 결과 관행 대비 평시 14%, 써레질 및 이앙기 3%, 강우시 15%, 중간낙수 기간에는 11%, 완전 물떼기 기간에는 10%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필지별 농도 및 오염부하 비교 결과 배수물꼬 적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배수물꼬 장치를 설치할 경우 유출량을 저감에는 큰 효과가 있었으나 농도를 줄이는데 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는 2016년 1년간의 짧은 연구기간동안의 자료이므로 추가적인 장기모니터링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자료구축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Hydrological Cycle of Pervious Pavement using LID Simulator (LID 효율성 검증기기를 이용한 투수성 블록의 수문순환 효율성 검증에 관한 연구)

  • Kim, Mi Eun;Jang, Young Su;Nam, Chil Ho;Shin, Hyun S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5
    • /
    • pp.321-330
    • /
    • 2015
  • In recent, the impacts of urbanization on hydrology and water quality can be minimized with the use of Low Impact Development (LID) practices in urban areas. But, there are no ways to verify or to show the quantitative effectiveness with LID practices. This study designed and developed to perform experiments in natural or artificial representation of hydrological cycle, which is called rainfall-runoff simulator to be able to quantify factors in hydrological system. This simulator was applied to a pervious pavement block. The study conducted analysis of effectiveness for a pervious pavement block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a general pavement block. The result from the pervious pavement block showed remarkably reduction effect on surface runoff with increase of rainfall intensity and more duration time. Also, the simulator was possible to control no surface runoff by a rainfall intensity at 50 mm/hr for an hour. The research indicated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for LID practices. This might be widely available to apply to LID practices verification. Therefore, the study is possible to make use of practical standards on fundamental studies.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Imha-Dam Watershed Hydrologic Cycle under RCP Scenarios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임하댐 유역의 미래 수문순환 전망)

  • Jang, Sun-Sook;Ahn, So-Ra;Joh, Hyung-Kyung;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8 no.1
    • /
    • pp.156-169
    • /
    • 2015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CP climate change impact on hydrological components in the Imha-Dam watershed using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The model was calibrated for six year(2002~2007) and validated for six year(2008~2013) using daily observed streamflow data at three watershed stations. The overall simulation results for the total released volume at this point appear reasonable by showing tha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were 0.70~0.85 and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NSE) were 0.67-0.82 for streamflow, respectively. For future hydrologic evaluation, the HadGEM3-RA climate data by scenarios of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RCP) 4.5 and 8.5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re adopted. The biased future data were corrected using 34 years(1980~2013, baseline period) of weather data.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showed increase of 10.8% and 4.9%, respectively based on the baseline data. The impacts of future climate change on the evapotranspiration, soil moisture, surface runoff, lateral flow, return flow and streamflow showed changes of +11.2%, +1.9%, +10.0%, +12.1%, +18.2%, and +11.2%, respectively.

Re-evaluating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for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considering altitudinal effect in Jeju Island (제주도 고도 영향을 고려한 증발산 보완관계 재평가)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58-458
    • /
    • 2017
  • 증발산은 지표면으로부터의 증발이나 식물에 의한 증산에 의해 유역으로부터 물이 제거되는 주요 기작으로서, 유역 물수지 관점에서 보았을 때 강수량과 증발산량의 차이로부터 유출이나 함양되는 양을 추정할 수 있다. 제주도의 경우에는 수자원 이용량의 약 84%를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한편으로 제주도의 지질학적 특성으로 인해 일정 규모 이하의 강수량은 지표유출이나 중간유출의 과정없이 대부분 지하로 침투되기 때문에, 증발산량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지하수 함양량의 추정과 제주도 전체 수자원 계획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정확한 증발산량 파악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측과 전문적인 계측장비 등에 의한 직접적인 방법이 있으나 광범위한 유역 단위의 관측값을 확보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물수지법, 열수지법, 공기역학적방법 및 조합방법 등의 간접적인 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간접적인 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Penman-Monteith 법은 일 단위 기반의 정확도 높은 증발산량을 추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작물생육단계 및 토양수분, 기상 등 많은 변수들에 대한 입력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복잡한 모델링 과정을 수반하게 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반면, Morton (1978)의 CRAE (Complementary Relationship Areal Evapotranspiration)나 Priestly and Taylor (1973)의 AA (Advection-Aridity)와 같이 잠재증발산량과 실제증발산량간의 보완관계를 이용하는 방법은 지역적인 인자 또는 가용 수분에 대한 조건없이 몇 가지 기상자료만으로 유역의 증발산량을 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의 4개 하천유역(한천, 천미천, 강정천, 외도천)을 대상으로, Penman-Monteith 법을 적용한 SWAT 모델링를 통해 얻어진 유역의 실제증발산량과 잠재증발산량으로부터, 고도에 따른 기상특성을 반영하여 증발산 보완관계를 검토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tegrated Watershed Soundness Index (통합 유역건전성 평가지수 개발 및 평가)

  • Ahn, So Ra;Jung, Chung Gil;Lee, Ji Wa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0-32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연환경, 수생태환경과 관련된 모니터링자료 및 수문/수질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델링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수를 개발하고, 한강유역($34,148km^2$)을 대상으로 표준유역단위 유역건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유역건전성 분석 사례를 개선하여 우리나라에 유역 특성에 맞는 통합 유역건전성 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유역건전성은 유역이 본래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건전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으로, 평가를 위한 지표로 자연토지피복, 하천환경, 수문, 수질, 서식지, 수생태 관련 요소를 각각 선정하였다. 자연토지피복 및 하천, 서식지 유역건전성 평가를 위해서 DEM, 토지이용도, 하천도, 저수지, 습지자료를 이용하였고, 수생태 유역건전성 평가를 위해서는 6년간(2008년~2013년) 모니터링 된 TDI, BMI, FAI 자료로 이용하였다. 수문/수질 유역건전성 평가를 위해서는 SWAT 모형의 장기모의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30년간(1985년-2014년) 모의된 강수량, 총유출, 지표유출, 침투, 토양수분, 중간유출, 침루, 지하수 충진, 기저유출, Sediment, T-N, T-P 결과를 이용하였다. 각 평가지표로부터 표준유역별 sub-index를 도출하였으며, 6가지 sub-index를 이용하여 통합 유역건전성 지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수는 0부터 1까지의 값으로 나타나며, 1에 가까울수록 유역건전성이 좋은 유역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한강유역의 통합 유역건전성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건전성이 안 좋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정 표준유역에 대하여 자연환경, 수문, 수질, 수생태환경 각각의 유역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