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中)

검색결과 689건 처리시간 0.024초

재배지토양이화학성(栽培地土壤理化學性)이 황저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근중(根中)의 회분(灰分), 에탄올엑기스 및 유리당류(遊離糖類)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Soil Fertility on the Contents of Ash, Ethanol Extract and Free Sugars in the Root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 장상문;신영범;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5-139
    • /
    • 1990
  • 황저근의 품질(品質)을 향상(向上)시키기 위한 합리적(含理的)인 재배법(栽培法)의 기초자료로 이용(利用)하기 위하여 재배지토양(栽培地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 및 무기성분(無機成分)의 흡수량(吸收量)이 황저근 중(中)의 회분(灰分), 에탄올엑기스 및 유리당류(遊離糖類)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황저근 중(中)의 유리당류(遊離糖類)는 fructose와 sucrose 이었다. 황저근 중(中)의 Fe함량(含量)은 6.2~7.6ppm이었다. 황저근 중(中)의 회분함량(灰分含量)은 토양(土壤) 중(中)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 및 황저근 중(中)의 인(燐) 및 가리(加里)의 함량(含量)과 공(共)히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토마토 가공(加工) 공정(工程) 중(中)에 있어서의 유리(遊離) 아미노 산(酸)의 변동(變動) (The Variation of Free Amino Acid during the Tomato Processing)

  • 김성열;히로미치 카토;아키히로 오키타니;푸미타카 하야세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576-583
    • /
    • 1982
  • 토마토 가공(加工) 공정중(工程中)에 있어서의 유리 아미노산의 변화(變化)를 검토(檢討)할 목적(目的)으로 가공용(加工用)인 KAGOME 77 품종(品種)의 토마토로 조제(調製)한 fresh pulp, heated pulp, puree 및 paste 중(中)의 유리 아미노산을 측정(測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mide group 중(中) glutamine과 asparagine의 분해(分解) 속도(速度)에는 상당(相當)한 차(差)가 인정되었으며, glutamin 은 빨리 분해(分解)되어 paste 중(中)에는 전(全)혀 잔존(殘存)하지 않았으나 asparagine은 paste 중(中)에도 56% 이상(以上)이 잔존(殘存)하였다. 2. 산성(酸性) group중(中)의 glutamic acid의 감소량(減少量)은 전(全) 아미노산 중(中) 가장 컸으며 aspartic acid의 그것은 glutamine 다음인 3 번째로 컸다. Paste 중(中)에 있어서의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잔존율(殘存率)은 각각 38% 및 24%이었다. 3. 중성(中性) group의 glycine, alanine, valine, isoleucine 및 leucine 등(等)은 약간(若干)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4. 염기성(鹽基性) group중(中) lysine과 histidin의 변화(變化)는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argmme은 가열(加熱) 공정중(工程中)에 약간(若干)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5. Aromatic group인 tyrosine, phenylalanine 및 tryptophane은 가열(加熱) 공정(工程) 중(中)에는 약간(若干) 증가(增加)하였으나 농축중(濃縮中)에 있어서의 변화(變化)는 거의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6. 함유황(含硫黃) 아미노산인 methionine은 전(全) 공정(工程)을 통(通)해서 약간(若干) 감소(減少)하였으나 비단백성(非蛋白性)인 ${\gamma}$ amino butyric acid의 감소(減少)는 거의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7. Fresh pulp중(中)의 주요(主要)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gamma}$-amino butyric acid$${\geq_-}$$glutamine>aspartic acid>asparagine의 순(順)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나, paste 중(中)에는 glutarru acid>${\gamma}$-amino butyric acid>aspartic acid=asparagine의 순(順)으로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미량(微量)이긴 하나 방향족(芳香族) 아미노산과 염기성(鹽基性) 아미노산의 분포비(分布比)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8. HITACHI-KLA-5-Amino Acid Analy-zer로 측정(測定)하였을 때 tryptophane의 직전(直前)에 fresh pulp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unknown peak가 가공품(加工品)에 있어서만 나타났으며, 가열(加熱) 및 농축(濃縮)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큰 peak로 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lysinoalanine 또는 ornithino이 아니라는 사실(事實)도 확인(確認)하였다.

  • PDF

아연광산(亞鉛鑛山) 주변(周邊) 토양중(土壤中) 카드뮴, 아연(亞鉛), 구리 및 연(鉛) 화학적(化學的) 형태별(形態別) 함량(含量) (Sequential Extraction of Cadmium, Zinc, Copper and Lead in Soils near Zinc-mining Sites)

  • 유순호;김계훈;현해남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1-77
    • /
    • 1985
  • 아연광산(亞鉛鑛山) 주변(周邊)에서 답토양(畓土壤)과 현미(玄米) 36점을 채취(採取)하여 축차분별분석(逐次分別分析)에 의해 토양(土壤) 중(中) Cd, Zn, Cu 및 Pb의 각(各) 형태별(形態別) 함량비(含量比)를 구하고, 중금속(重金屬)의 형태(形態)에 미치는 토양(土壤) 특성(特性)과 수도(水稻)의 흡수(吸收)와 관계가 깊은 화학적(化學的) 형태(形態)를 밝히기 위해 실험(實驗)하였다. 토양(土壤) 중(中) Cd의 형태별(形態別) 함량(含量)은 치환태(置煥態), 유기태(有機態) 및 carbonate 태가(態) 거의 같았으며 전(全) Cd의 73.9%를 차지하였다. 토양 중(中) Zn,은 잔류성(殘留性) Zn이 63.8%로 가장 높았다. Cu와 Pb의 형태별(形態別) 함량비(含量比)의 순위(順位)는 비슷하였다. 토양(土壤)의 pH가 높을수록 치환태(置換態) Cd, Zn, 및, Pb는 감소(減少)하였으며, 유기태(有機態)와 carbonate 태(態), Cd, sulfide 태(態) Cd, Zn, 및 Pb는 증가(增加)했다. 토양(土壤) 중(中)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유기태(有機態) Cd, Zn, 및, Pb는 carbonate 태(態) Cu와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양(陽)이온치환용량(置換容量)이 증가(增加)하면 치환태(置換態) Cd, Zn, Cu 및, Pb, 유기태(有機態) Cu는 감소(減少)하였으나 carbonate 태(態) Cd, sulfide 태(態) Cd, Zn, Cu 및, Pb, 잔류성(殘留性) Cu는 증가(增加)하였다. 현미(玄米) 中 Cd 함량(含量)은 토양(土壤) 중(中) 전(全) Cd, 유기태(有機態) Cd, carbonate 태(態), sulfide 태(態) Cd 및 잔류성(殘留性) Cd와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그러나 토양(土壤) 중(中) Pb는 어떠한 형태(形態)도 현미(玄米) 중(中) Pb 함량(含量)과 상관(相關)이 없었다. 토양(土壤) 중(中) 수용태(水溶態)와 치환태(置換態) Zn 함량(含量)은 현미(玄米) 중(中) Zn 함량(含量)과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 PDF

배추중(中) Cyanofenphos의 잔류소장(殘留消長) (Persistence of Cyanofenphos on Chinese Cabbage)

  • 이해근;박영선;홍종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89-92
    • /
    • 1982
  • 배추中 cyanofenphos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을 재배시기(栽培時期)를 달리하여 조사(調査)하였다. 배추 이식후(移植後) 22일(日)과 36일(日)에 cyanofenphos 25EC를 0.5와 0.75㎏ AI/㏊의 비율(比率)로 각각 살포(各各 撒布)하고 최종살포후(最終撒布後) 35일(日)까지 잔류량(殘留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cyanofenphos의 분해양상(分解樣相)은 재배시기(栽培時期)와는 무관(無關)하게 양약량수준(兩藥量水準)에서 비슷한 경향(傾向)을 보였다. 즉 최종살포후(最終撒布後) 14일(日)까지는 배추중(中) cyanofenphos가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였으나 그 후로는 비교적 서서(比較的 徐徐)히 감소(減少)하였다. 배추중(中) cyanofenphos의 반감기(半減期)는 $6{\sim}7$일(日)이었으며, 살포시기(撤布時期)와 살포율(撒布率)에 따른 차리(差異)는 별로 없었다. 양(洋)배추중(中) cyanofenphos의 잔류허용량(殘留許容量)인 2ppm을 기준(基準)하여 볼때, 수확전 살포일(收穫前 撒布日)은 0.5와 0.75㎏ AI/㏊에서 각각(各各) 16, 17일(日)로 추정된다.

  • PDF

한(韓)·중(中)·일(日) 《유양잡조(酉陽雜俎)》의 이체자형(異體字形) 비교(比較) 연구(硏究)

  • 정영호;민관동
    • 중국학논총
    • /
    • 제70호
    • /
    • pp.109-138
    • /
    • 2021
  • 本硏究在'韓·中·日《酉陽雜俎》的同一个異體字中, 對三個版本中共同使用的327个相同或相似的字進行了"筆形的變型·筆形的增减·筆劃的短縮及延長·筆劃的連結及中斷·偏旁的代替·構造及位置的變化"的比較, 由此逐項抽查, 相互攀比對。在'韓·中·日不同《酉陽雜俎》版本中特異的異體字'項目, 三個版本中獨特的異體字按照"筆形的變型·筆劃的增减·筆劃的短縮及延長·筆劃的連結及中斷·偏旁的代替·構造及位置的變化等進行了比較, 由此在不同版本中相互提取了不同版本的比較項目。'在朝鮮簡本《酉陽雜俎》之異體字的多用及特點'項目中, 在對朝鮮簡本《酉陽雜俎》中大量使用異體字及其特征進行分析的同時, 還與唐代前後文字的形態進行了相互比較。

Blanching 조건(條件) 및 산(酸)·알칼리 처리(處理)가 당근주우스의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Blanching Condition, Acid and Alkali Treatments on the Qualities of Carrot Juices)

  • 김운성;김성열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135-145
    • /
    • 1983
  • 당근 주우스 개발(開發)을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당근의 blanching 조건(條件), 산천리(酸處理), alkali 처리(處理) 및 살균처리(殺菌處理)가 당근 주우스의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당근을 $90{\sim}100^{\circ}C$의 열탕(熱湯) 중(中)에서 15~5분간(分間) blanching하였을 때 $100^{\circ}C$에서 5분간(分間) 처리(處理)한 것이 당근 주우스의 당도(糖度), amino-N, suspended solid, 광투과도(光透過度) 및 수율면(收率面)에서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2. 당근을 0.05N의 구연산, 초산용액(醋酸溶液) 및 0.03N의 염산(鹽酸) 용액(溶液) 중(中)에서 blanching하였을 때 초산용액처리(醋酸溶液處理)가 주우스의 suspended solid, 광투과도(光透過度), 점도(粘度) 및 수율면(收率面)에서 유리(有利)하였다. 3. 당근 주우스의 제조공정(製造工程) 중(中)에 있어서의 변색(變色)은 blanching 조건(條件)에 의(依)해서 좌우(左右)되었으며 살균공정(殺菌工程) 중(中)에는 거의 변색(變色)되지 않았다. 4. 당근 주우스 제조공정(製造工程) 중(中)에 있어서의 ${\beta}$-carotene의 변화(變化)는 심(甚)하지 않았으며 당근을 파쇄(破碎)하여 $115^{\circ}C$에서 30분간(分間) 살균(殺菌)하였을 때에도 80%내외(內外)의 ${\beta}$-carotene이 잔존(殘存)하였다. 5. 희초산용액(稀醋酸溶液) 중(中)에서 blanching한 후(後) 착즙(搾汁)한 당근 주우스에 alkali를 첨가(添加)하여 중화(中和)한 후(後) 살균(殺菌)하였을 때에는 화학성분(化學成分)의 변화(變化)는 거의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변색(變色)이 뚜렸하였고 광투과도(光透過度)가 증대(增大)되어 품질(品質)을 저하(低下)시키는 원인(原因)이 되었다. 6. 무처리(無處理) 당근 주우스 중(中)의 당류(糖類)의 조성(組成)은 ribose 8.51%, fructose 10.15%. glucose 12.25%, sucrose 49.53% 및 oligosaccharide 19.56%로 구성(構成)되어 있었으며 비등수 중(中)에서 blanching하였을 때에는 이당류(二糖類) 이하(以下)의 당(糖)의 함량비(含量比)가 약간(若干) 감소(減少)되었으나 oligosaccharide는 약간(若干) 증가(增加)하였고 산액중(酸液中)에서 blanching하거나 이를 더욱 중화(中和), 살균(殺菌)하였을 때는 ribose와 sucrose의 함량비(含量比)가 현저(顯著)히 증가(增加)하였으며 fructose와 glucose도 약간(若干)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7. 당근 주우스 중(中)에서 19가지의 유리(遊離) amino산(酸)이 동정(同定)되었고 주요 amino산(酸)은 threonine + aspargine, alanine, serine + glutamine, aspartic-acid, arginine 및 glutamic acid 등(等)이었다.

  • PDF

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과 황령(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근(根) 중(中)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이 baicalin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Soil Properties and the Contents of Inorganic Constituents in Root on the Baicalin Conten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Root)

  • 장상문;이기식;최정;박수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4-238
    • /
    • 1989
  • 황금근(黃芩根)의 품질(品質)을 향상(向上)시키기 위만 합리적(合理的)인 재배법정립(栽培法定立)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재배지토양이화학성(栽培地土壤理化學性) 및 황금근(黃芩根)에 함유(含有)된 무기성분함량(無機性分含量)이 baicalin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황금근(黃芩根) 중(中) 규소함량(奎素含量)은 0.28~1.26 %, 인함양(燐含量)은 0.17~0.46%, 가리함량(加里含量)은 1.00~1.49의 범위에 속(屬)하였다. 황금근(黃芩根) 중(中) baicalin함량(含量)은 안동산(安東産)이 11.41~14.76%, 의성산(義城産)이 13.67~16.31 %이었다. 토양(土壤) 중(中) 점토(粘土), 유기물(有機物) 및 치환성(置換性) K, Ca, Mg의 함량(含量)은 황금근(黃芩根)의 질소(窒素) 및 인(燐)의 함량(含量)과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토양(土壤) 중(中) 치환성(置換性) 가리함량(加里含量)은 baicalin함량(含量)과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황금근(黃芩根) 중(中) 질소(窒素) 및 인(燐)의 함량(含量)은 baicalin함량(含量)과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으나, 가리함량(加里含量)은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 PDF

뽕잎중(中) 유기인계농약(有燐燐系農藥)의 잔류성(殘留性)과 잠독성(蠶毒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Persistence of Organophosphorus Insecticides in/on Mulberry Leaves with Reference to Silkworm Mortality)

  • 오병렬;김영구;박영선;이병무;백현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6-21
    • /
    • 1984
  • 기린계(有機燐系) 살충제(殺蟲劑)인 dichlorvos 유제(乳劑)(50%), fenthion 유제(乳劑)(50%), fenitrothion 유제(乳劑)(50%) 및 phenthoate 유제(乳劑)(47.5%)의 뽕잎중(中) 잔류성(殘留性)과 이들 잔류수준(殘留水準)이 누에에 대한 사충률(死蟲率) 및 수견양(收絹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무강우조건하(無降雨條件下)에서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의 뽕잎중(中) 반감기(半減期)는 $2{\sim}3$일(日)의 범위(範圍)이었고 dichlorvos는 8시간(時間) 내외(內外)이었다. 뽕나무의 재배시기별(栽培時期別) 뽕잎중(中) 농약잔류기간(農藥殘留期間)은 봄재배(栽培)의 경우(境遇)가 가을재배(栽培)보다 길었다. 누에에 안전(安全)한 적엽전(摘葉前) 농약철포(農藥撤布) 완료일(完了日) 은 dichlorvos유제(乳劑)는 3일(日), fenitrothion유제(乳劑)는 20일(日), fenthion유제(乳劑)와 phenthoate유제(乳劑)는 15일(日)이었다. 뽕잎중(中) 농약잔류수준(農藥殘留水準)으로부터 누에의 사충률(死蟲率)을 예측(豫測)할 수 있는 각약제(各藥劑)의 관계식(關係式)과 누에에 안전(安全)한 뽕잎중(中) 농약(農藥)의 최대(最大) 잔유허용량(殘留許容量)을 설정(設定)하였다.

  • PDF

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 및 무기성분(無機成分) 흡수량(吸收量)이 시호(柴胡)(Bupleurum falcatum L.)근(根) 중(中) Saikosaponin a, c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Soil Fertility and the Inorganic Nutrients in the Root on the Contents of Saikosaponin a, c in the Root of Bupleurum falcatum L.)

  • 장상문;박병윤;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9-52
    • /
    • 1990
  • 시호(柴胡)의 주(主) 약효성분(藥效成分)인 saikosaponin a 및 c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산지에서 채취(採取)한 1년근(年根) 중(中)의 saikosaponin a, c의 함량(含量)과 재배지(栽培地)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과의 관계(關係)를 규명하였다. 시호근(柴胡根) 중(中)의 saikosaponin a 및 c의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0.141~0.479%와 0.042~0.094%의 범위에 속(屬)하였다. Saikosaponin a의 함량(含量)은 표토(表土)의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과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Saikosaponin a 및 c의 함량(含量)은 시호근(柴胡根) 중(中)의 Fe의 함량(含量)과 공(共)히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마른김의 당류조성(糖類組成)과 저장중의 변화 (Changes in Sugars Composition of Dried Lavers during Storage)

  • 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35-239
    • /
    • 1973
  • 마른김의 당류조성(糖類組成)과 이것의 저장중(中)의 변화(變化)를 GLC 및 GC-MS에 의(依)하여 조사검토(調査檢討)하였다. 1. 마른김의 당류(糖類)로서 glucose, galactose, inositol 및 floridoside의 4종(種)을 동정(同定)하였으며, 이중(中) inositol만은 peak의 불안정(不安定)으로 정량(定量)을 보유(保留)하였다. 2. Glucose는 저습도하(低濕度下)에서나, 고습도하(高濕度下)에서나 저장중(中)에 큰 변화(變化)가 없었다. galactose는 저습도하(低濕度下)에서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으나 고습도하(高濕度下)에서는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여 저장전(前)의 10배량이상(倍量以上)에 달(達)하였다가 다시 감소(減少)하는 변화(變化)를 보였다. 3. Floridoside는 저습도하(低濕度下)에서는 서서(徐徐)히 감소(減少)하는데 비(比)하여, 고습도하(高濕度下)에서는 급속(急速)히 감소(減少)하여 galactose와는 극히 대조적(對照的)인 변화(變化)를 보였다. 4. 미동정성분중(未同定成分中) mass spectrum으로 보아 isofloridoside라고 추정(推定)되는 성분(成分)의 저장중(中)의 변화(變化)는 floridoside의 변화(變化)와 극히 유사(類似)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