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택계획요소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3초

고령자 자립정도에 따른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동주택 계획요소 분석연구 (Analysis of Apartment Design Elements for Applying the Health Car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dependence of Elderly People)

  • 이지은;윤영호;박정아;권윤지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2호
    • /
    • pp.147-157
    • /
    • 2012
  • 정부는 임대주택에서 고령자 주택의 의무 설치비율에 대한 기준을 2012년 2월에 마련하였고, 이에 따라 고령자 주호 수는 늘어날 전망이다. 그리고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면 효율적인 의료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다양한 연구에서 언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령자의 자립정도에 따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령자 주택의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현재 기축된 4곳의 사례 적용평가를 통해 실태 파악과 추후의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고령자 주택계획에서 주호 내 어메니티를 지원하는 부분이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실제 주택에서 반영 비율은 낮았고 공용공간의 위험 관리계획이 가장 높은 비율로 적용되어 있었다. 실제 건강측정이나 외부와의 커뮤니티 돕는 것과 같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는 부분은 아직 적용되지 않았지만 에이징인 플레이스의 개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헬스케어서비스를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하여 계획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건강친화 지능형주택 계획요소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Consumer's Response for Health Friendly Planning Features of Smart Home)

  • 이선민;이연숙;안창헌
    • KIEAE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7-36
    • /
    • 2009
  • Due to rapid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peoples life value, multi-dimensional functionality of the house has been possible and demanded. Among them, intellectual function and health support function appeared prominent and the former can support the la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ineate health support planning features for smart home. Thirty six planning elements were extracted for initial pool for survey to find out what consumers demanded. Two hundred and nin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web-survey. Important planning features were identified in relation to three different health dimensions that is physical/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Generally consumers' responses were positive for all features. Major health friendly features highly demanded by consumers were found gas detect system, security system, and a call alarm syste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to develop strategies for smart home and to grasp current housing culture.

공동주택의 계획특성이 분양원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on the Cost of Apartment)

  • 김광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89-99
    • /
    • 2006
  • 최근의 주택 개발사업은, 주택시장의 분위기가 사업의 중요 요인 중 하나였던 예전의 상황과 달리, 투자자금의 모집과 사업부지 물색 등의 어려움으로 타당성 분석의 정밀도가 점차 중요시 되고 있다. 주택 개발사업의 타당성 분석에 있어 토지의 이용 가치와 관련된 용적률, 상품수준에 관련된 분양비, 또한 금융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공사기간은 중요한 요소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용적률 분양비 공사기간을 개별 프로젝트의 고유특성인 계획특성으로 채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타당성 분석의 체계적인 접근을 위하여 용적률, 분양비, 공사기간을 계획특성인자로 채택하여 타당성 분석 시 공동주택의 계획 특성이 분양원가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서울시 고급 주택지역의 형성요인과 분포 분석 (The Formation Factors and Distribution Analysis of High-Class Residential Areas in Seoul)

  • 김민회;김태현;홍선관;김홍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7
    • /
    • 2005
  • 도시화는 현대사회의 가장 큰 특징이며 도시가 성장하면서 과거의 기능이 변화하고 도시내부의 공간구조가 점차 기능적으로 분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는 주거지역의 입지변화와 공간적 확산과정에서 나타나는 주거지 분화현상이다. 도시생태학자 Hoyt은 주거지 이동패턴에 대하여 도시 내의 주거지분포 패턴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최고지대를 지불할 수 있는 부유층의 주거입지 선택에 따라 전체 도시의 계층별 주거분포가 영향을 받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서울은 소규모로 계획된 역사도시에서 인구 1000만의 대도시로 성장하여 오면서 많은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여 현재의 공간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 전체 서울의 주택지는 동일한 것이 아니고 각종 주위환경에 따른 성격과 특성을 달리하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특성을 달리하는 주택지들이 모여서 각기 상이한 역할을 수행하고 서로 기능적 관계를 맺으면서 주택지를 형성하고 있다. 선형이론(Hoyt's Sector theory)에 따르면 고급주택지역의 도시 공간구조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고급주택지역의 분포와 그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급주택지역의 분포를 형성하는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고급주택지의 지역적 분포를 파악하여 그 입지 성향과 특성을 알게 되면 도시의 토지이용계획, 특히 주거지계획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장수명 공동주택 표준모델 개발을 위한 계획요소 도출 연구 (A Study on the Elicitation of Design Elements for Development on Standard Model of Long-life Housing)

  • 박준영;정소이;정상규;박우장
    • KIEAE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11-18
    • /
    • 2011
  • In order to solve housing shortage, an apartment has been built and supplied in large quantities in Korea. As such a result, the apartment became a typical housing type in Korea. However, the housing became vulnerable to accommodate rapidly changing life-style & life-cycle of koreans and was lost th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for inheriting and develop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paper aims at eliciting of design elements for development on standard model of long-life housing with durability & flexibility based on data derived from housing consumers's questionnaire survey and expert's opinion surveys. We expect that the standard model developed on the basis of open building applying support & infill elements will be used as a standard model for planning future long-life housing with capacity.

고층 공동주택의 피난안전을 위한 발코니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gh-rise Apartment Balcony Plan for Egress Safety Design)

  • 이용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3-69
    • /
    • 2001
  • 공동주택에서 예고 없이 발생되는 화재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설계단계에서 인명안전설계에 대한 대책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공동주택의 발코니계획은 화원으로부터 화염의 전파를 지연시키며, 거주자에게 피난의 경로로 제공된다는 측면에서 공동주택의 피난안전설계의 요소로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평면유형별 피난안전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디자인 방법과 발코니 상세계획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환경공생주택(環境共生住宅)의 계획요소(計劃要素) 고찰(考察) (A Study on Planning Element of Symbiotic Housing)

  • 김영석;최기영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 /
    • pp.165-172
    • /
    • 2003
  • Quantitative planning element and qualitative planning instruction which are required for planning and evaluating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are accessed in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symbiotic housing is introduced for upgrading existing planning elements, so as to study the planning elements collectively.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1) Planning elements for saving energy and using resources effectively are added in order to preserve the earth environment. (2) In order to harmonize with neighboring environment more, sunshine duration of neighboring buildings is considered; streets and village view are harmonized; space in-between is prepared. (3) For healthy and amenity residential environment, following items are added, improved pleasantness of inside and outside space; improved amenity and health of housing; and, co-dwelling with large scope. Besides, the necessity of residents' agreement is proposed to induce residents' participation, which has not been mentioned before.

  • PDF

국내주택업체의 단위세대 품질의 차별화 실태조사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of Quality Differentiation of the Apartment Unit Quality Planned by Domestic Housing Companies)

  • 조인식;박태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41-445
    • /
    • 2007
  • 정부의 대량주택공급정책 등으로 인한 고객중심으로의 시장변화는 자연히 주택 공급업체로 하여금 품질의 경쟁시대를 맞이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품질경쟁시대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의 요구품질에 부응하는 주택상품기획 방향을 모색하기위한 선행연구로서 현재 우리 주택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주택상품의 단위세대 품질의 차별화 사례유형에 대한 실태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및 분석 결과 많은 사례들이 단순히 마감자재의 고급화나 일시 유행적인 친환경자재의 사용과 부분적이고 단속적인 생활편의품과 설비시스템의 건축요소와의 결합 등을 통한 상품풀질의 차별화를 꾀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주택상품의 차별화 기획은 고객을 중심으로 하여 단위세대의 품질 요소 중 건축지향적인 평면 및 인테리어요소와 기술지향적인 설비 및 제품요소의 유기적인 융합을 통합 품질의 차별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주택상품기획단계에서는 고객 개념의 재정립을 통한 사람중심의 지속가능한 차별화 계획요소에 대한 연구 및 고객 지향적 주택상품기획 절차의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 PDF

농촌표준주택의 패턴언어 적용 관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Pattern Language in 'Standard Rural-Houses Design')

  • 황용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08-216
    • /
    • 2019
  • 연구의 배경은 농촌주택이 도시주택의 공간구성을 모방하면서 원래의 모습을 잃어버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주택표준설계도에 크리스토퍼 안렉산더의 패턴언어를 적용하여 농촌주택에 필요한 디자인 구성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범위와 방법은 한국 농어촌공사에서 2009년에서 2014년까지 제작 배포하고 있는 표준설계도에 패턴언어에서 제시하고 있는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1) 표준설계도에서 주택배치는 다양한 농촌의 부지 조건을 무시하고 있었고. 2) 대부분 주택마당은 농촌생활의 다양한 행위를 담을 있는 공간임을 고려하여 적극적으로 계획하지 않았다. 3) 표준설계도는 어린이를 위한 공간이 없었고 부엌은 L.D.K 형식으로 내부공간을 통합하여 융통성 있는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4) 귀촌 귀농민을 위한 임대 가능한 별채와 사무공간으로 겸용할 수 있는 공간계획은 없었다. 5) 2014년에는 부부만을 위한 표준설계도 계획으로 면적이 좁은 평면계획이 많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표준주택설계도에서 농촌의 환경과 생활 패턴이 무시된 부분도 있었지만, 패턴언어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패턴언어를 농촌주택의 표준 디자인 구성요소로 개발하여 귀촌 귀농민을 유입하고 농민들의 생활패턴에 가장 적합한 주택으로 개발할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