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말시간사용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sleep quality, time use and dietary qua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충남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수면 시간과 질, 생활시간 사용 및 식사의 질과의 관련성)

  • Ji-Eun Shin;Mi-Kyeong Choi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5 no.6
    • /
    • pp.656-66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sleep quality, time use, and dietary quality of adolesc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enrolling 423 high school students (112 male and 311 female students) in Chungnam using a questionnaire comprising general characteristics, sleep status, use of time, and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olescents (NQ-A). Results: On weekdays, male students reported getting 6.6 hours of sleep,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5.8 hours reported by female students. The sleep quality scor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n weekdays and weekends. Comparing the students categorized as getting 6 hours of sleep duration on weekdays and 8 hours on weekends, a significantly higher total NQ-A score was obtained for the long sleep duration group of female students on weekdays. In male students who reported increased screen time on weekdays and study time on weekends, there was a greater frequency of short sleep duration. Our data also revealed that the longer the sleep duration higher the NQ-A score. In addition, higher NQ-A scores were determined with shorter screen time and more prolonged exercise time.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intense study time and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have a negative effect on sleep in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poor sleep quality and lack of sleep are likely to affect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nutritional education to adolescents imparting knowledge that associates desirable sleep habits and the correct use of time.

Typology of Weekend Time Use and Time Use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Men with a Preschool Child in Korea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취업 남성의 주말 시간사용 유형화와 유형별 시간사용만족도)

  • Kim, Soyoung;Chin, Meejung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33 no.2
    • /
    • pp.71-8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how married working men with a child younger than six years old spent their weekend time either alone or with their wives on housework, family care, and leisure activities, and to find out whether different types of time use brought about different levels of satisfaction to their use of time on weekends. Factors associated with each type were also explored. We analyzed 857 weekend time diaries of married men with a preschooler and men who worked more than 40 hours a week. This data came from the 2009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Statistics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and cluste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weekend time distribution to those three activities was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namely, 'nonparticipation', 'personal leisure centered', 'couple leisure centered', and 'family centered'. Time use satisfaction for 'couple leisure centered' and 'family centered' types which involved wife and chil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two types. Age and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were associated with the personal leisure and couple leisure centered types, while work related factors such as work hours, regular day off, employment status, and occupation functioned as determinants of the nonparticipation typ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weekend time spent together with family could be the source of satisfaction, but almost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deprived of their weekend family time due to work schedules on weekends. This study supports the need for organizational and policy efforts to ensure non-working weekends for fathers and husbands.

Sleep Duration and Suicidal Impulse of Korean Adolescents: Weekday/Weekend Sleep Duration Effects and Gender Difference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자살충동 - 평일/주말 수면시간 효과에 대한 성별 분석)

  • Kim, Kyungmi;Youm, Yoosi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2
    • /
    • pp.314-325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leep duration on Korean adolescents' suicidal impulse. A gender-base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ekday sleep du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male adolescents. Male adolescents who sleep less than seven hours on a weekday are likely to experience suicidal impulse by 1.9 times higher than the others. This effect remained significant even when other relevant variables were controlled. On the other hand, female adolescents who have less than seven hours of sleep on a weekday have about 1.3 times higher chances to experience suicidal impulse. However, this effect became insignificant when other variables such as stress were controlled. Meanwhile, weekend sleep duratio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By demonstrating the different effects between weekday/weekend sleep duration and male/female adolescents, this study supports the claim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a social approach in studying sleep duration.

Calculating Social Benefit in Travel Time Considering Seasonal and Daily Variation in Traffic Pattern (계절별 요일별 교통패턴 변동을 반영한 연통행시간 편익산출)

  • Han, Khun-Soo;Baek, Seung-Kirl;Kim, Ik-K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7 s.78
    • /
    • pp.17-23
    • /
    • 2004
  • 교통정책을 평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Data 중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이 OD이다. 기존의 교통정책을 평가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OD는 AADT(Annual Average Daily Traffic) OD이다. 계절별 평일/주말 교통량의 분산이 매우 크다는 것은 기존 조사나 연구로 익히 알려진 사실이며, 또한 사회 경제적인 여건의 변화 및 주 5일제 근무제의 시행 등으로 여가통행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평일과 주말의 교통량의 분산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교통정책을 평가하는 방법도 AADT OD의 일률적인 적용이 아닌 교통량의 계절별 평일/주말의 분산을 적용시킨 OD를 가지고 교통정책을 평가하는 방법이 교통정책을 결정함에 있어 오류를 범할 가능성을 적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통량의 분산의 보정을 지점교통량에 한정하여 보정하고 있어 실질적인 네트워크 분석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측된 TCS Data를 이용하여 계절별 평일/주말의 OD 교통 패턴을 분석하여 계절별 평일/주말의 OD 교통패턴을 반영할 수 있는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계수에 따라 AADT OD를 보정하여 네트워크 분석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였다. 수정된 OD 교통량의 검증을 위하여 기존의 AADT OD의 인구당 통행발생비율과 계절별 평일/주말 OD의 통행발생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수점 두 자리수에서 오차가 발생하여 비교적 합리적인 OD가 추정되었다. 또한 기존의 AADT OD를 이용하여 정책 결정을 할 때의 오류 가능성을 보이기 위하여 각 계절별 평일/주말 OD 교통량과 기존의 AADT OD를 입력 자료로 각각의 네트워크 분석 후 총통행시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orrelation between Time Usage and Hope in 20s and 30s the Disabled (20대 및 30대 장애인의 시간사용과 희망의 관계)

  • Lee, Chun-Yeop;Chang, Moon-Young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4 no.1
    • /
    • pp.11-21
    • /
    • 2014
  • Objective : This study was aimed to survey the correlation between time usage and hope in 20s and 30s the disabled. Methods :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2, 52 the disabled who have therapy in rehabilitation hospital in Busan and Gyeongnam, being diagnosed with spinal cord injury and stroke, were chosen.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arried out using a questionnaire involved time usage and hope. Results :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participants spent most time sleeping (10:47) and using media (3:41) on weekends. In additions, they spent most time sleeping (9:43) and health management (5:12) on weekdays. Second, doing household chores were positive correlation (.688) between time usage and hope (p<.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e usage and hop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propose various activities for 20s and 30s the disabled.

  • PDF

Dicon Forecast-게임장르별기상도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2 s.153
    • /
    • pp.81-81
    • /
    • 2006
  • 게임 사용량이 증가하는 큰 요인 중 하나가 바로 기간적 요인이다. 방학이나 주말과 같은 특정기간이나 계절에는 게임 사용량이 증가한다는 것. 그중에서도 실내 활동 시간이 많아지는 겨울방학은 유저들의 게임사용 시간을 최대한 이끌어 내야하는, 그야말로 게임업체들의 대목이다. 2005년12월의 끝자락에서 2006년 새해 첫 달을 관통하는 겨울방학 황금기 동안 게임 사용량의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 PDF

Estimation of urban drinking water consumption patterns based on smart water grid monitoring data by k-means clustering in Vietnam (k-means 군집화 기법을 이용한 베트남 스마트워터그리드 계측 데이터 기반 도시 물 사용 패턴 추정)

  • Koo, Kang Min;Han, Kuk Heon;Lee, Gyumin;Jun, Kyung Soo;Yum, Kyung 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19-419
    • /
    • 2021
  • 수자원 관리 패러다임은 공급 위주에서 수요관리로 전환되고 있다. 가용한 수자원은 한정적이나 급속한 인구증가와 도시화로 인한 물 수요의 증가로 수요관리의 효율성이 중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 상수도시스템은 노후화로 가동효율이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인력으로 월 또는 격월로 소비자의 물 사용량을 검침해 실시간 관리가 불가능하여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IT 기술과 전통적인 물관리 기술을 접목한 Smart Water Grid는 양방향 통신장치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소비자의 물 사용량을 모니터링한다. 물 사용 특성을 잘 파악하면 보다 정확한 물 수요 예측이 가능하다. 특히 소비자들의 시간별, 평일, 주말, 그리고 주별 물 사용 특성을 파악하면 미래 물 수요 예측에 도움이 된다. 예측된 물 수요량에 따라 물 공급 배분 계획을 수립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물 수요예측 방법 중 k-mean 군집분석은 시간별 물 사용량을 이용해 서로 유사한 여러 개의 부분집합으로 할당하여 분류하는 Machine learing 방법으로 물 사용의 유사성을 파악할 수 있다. SWG 연구단은 2019년 Vietnam Hai Duong province에 SWG Pilot plant를 구축하고 27개의 Smart water meter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물 사용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27개 SWM로부터 수신된 2019년 11월 14일부터 2020년 12월 3일까지 1시간 단위의 물 사용량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k-mean 군집 방법을 이용해 시간별, 평일, 주말, 그리고 주별 물 사용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때 최적의 군집 개수 결정을 위해 Elbow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각 소비자의 물 사용량 특성에 따라 평균 물 수요패턴 추정이 가능하며, 향후 물 수요 예측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Self Control and Impulsive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初等學生)의 인터넷 게임중독(中毒)과 자아통제(自我統制), 충동성(衝動性)과의 관계(關係))

  • Woo, Joung-Ryae;Hong, Jee-Young;Lee, Moo-Sik;Na, Baeg-Ju;Lee, Jin-Yong;Hwang, Ji-Hy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751-754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중독과 자아통제, 충동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올바른 인터넷 사용 문화를 장려하고, 과도한 인터넷 사용 방지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09년 11월 9일에서 11월 30일까지 익산시내 3개 초등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5, 6학년 학생 92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12.0 한글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대상자의 인터넷 게임중독 정도는 '정상' 483명(54.3%), '중독초기' 363명(40.8%), '중독중증' 43명(4.8%)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게임중독 정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p<0.01)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컴퓨터 사용 특성에 따른 인터넷 게임중독 정도는 이용장소(p<0.05), 주요활동(p<0.01), 평일 이용시간(p<0.01), 주말 이용시간(p<0.01)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인터넷 게임중독과 자아통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자아통제 점수가 낮으며, 자아통제 점수가 높을수록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01) 인터넷 게임중독과 충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충동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는데, 이는 충동성 점수가 낮을수록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낮음을 의미한다(p<0.01). 자아통제와 충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통제가 낮을수록 충동성이 높으며, 자아통제가 높을수록 충동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서 자아통제와 충동성은 서로 반대 개념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p<0.01) 인터넷 게임중독과 자아통제, 충동성과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성별(p<0.01), 학교성적(p<0.01), 주요활동(p<0.01), 평일 이용시간(p<0.01), 주말 이용시간(p<0.01), 자아통제(p<0.01), 충동성(p<0.01)이었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주요활동이 비학습관련인 경우, 평일 이용시간이 1시간이상 이용할수록, 주말 이용시간이 2시간이상 많이 이용할수록, 자아통제가 낮을수록, 충동성이 높을수록,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자아통제 정도가 낮게, 충동성 정도는 높게 나타나고,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낮을수록 자아통제 정도가 높게, 충동성 정도는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아통제와 충동성은 상반된 개념으로 자아통제 정도가 높을수록 충동성은 낮아지고 자아통제 정도가 낮을수록 충동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