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 만족도

Search Result 46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Satisfaction with Housing , Community , and Living Environment - Comparison among Urban , Rural , and Fishing Village Residents - (지역별 주거만족도와 생활환경 만족도 - 도시 , 농촌, 어촌 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

  • 정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6 no.2
    • /
    • pp.113-121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도시, 농촌, 어촌지역 주민들의 주거만족도와 지역사회 및 생활환경 만족도를 비교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특성은 지역을 하나의 통제변인으로 분석에 포함시켜 제변인들의 영향력의 방향과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자료는 1993년 6월 부터 1994년 6월 동안 488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대구에 거주하는 주부 254명과 경북권내의 영천과 청도 등의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주부 124명, 그리고 한산도 섬내에 거주하는 주부 110명을 대상으로 각 가정을 방문하여 면접법을 실행하였다. 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주거비와 주거소유형태였으며,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와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주거만족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을 고려할 때, 도시거주자의 주거만족도가 농촌이나 어촌거주자의 주거만족도 보다 높은 반면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도와 생활환경 만족도는 농촌거주자와 어촌거주자가 도시거주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을 고려한 주거정책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아파트 거주자의 변인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연구 -부동산 관련 창업자를 위한 소비자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 Jin, Seon-Jin;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0a
    • /
    • pp.81-108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지역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거주자의 주거환경 만족도,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주거형태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에 차이, 그리고 주거환경 만족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아파트 거주자 500명을 대상으로 2009년 9월 1일부터 2009년 9월 20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 Multiple Ranger's Test 등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환경만족도는 중간이상의 수준을 나타냈으며, 사회환경 중 단지질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거주자 변인에 따른 시설환경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거주자 변인에 따른 근린, 사회환경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주거환경 만족도 변수상호간에는 주택환경 만족도와 단지 내 환경 만족도, 단지 내 환경 만족도와 관리상태 만족도간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ingle Youth Households Tenants (청년 1인가구 임차인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Kwon, Jeongpyo;Kang, Jeonggyu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2
    • /
    • pp.65-79
    • /
    • 2022
  • To suggest implications of future housing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s which characteristics affect the housing satisfaction of young single households. Using the survey data, we perform the multiple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models based on the SPSS Statistics 25.0. Our empirical results show several key features. First, housing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continue single households had a positive (+)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natural, housing,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continue single households. Second, housing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marry in the future had a positive (+)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natural, housing,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hird, housing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increase household members in the future had a positive (+)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natural, housing,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e decision tree model show that the natural characteristics were over 3.4, and housing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Jeons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ree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First,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young single households is important. Second, providing customized housing for young single households could enhanc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Finally, housing provision needs to be carried out with suitable space for the lifestyle of young single households.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by region using the CART algorithm (CART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역별 주택 및 주거환경 만족도 영향 요인의 비교)

  • Jung su e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4
    • /
    • pp.707-715
    • /
    • 2023
  • This study utilized CART algorithm, a decision tree analysis method, to comparatively analyze factors affecting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by region using data from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housing survey in 2020. First, in terms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school district showed higher importance in metropolitan cities and areas compared to other regions, whereas safety from accident showed the opposite trait, showing difference between region. Second, housing characteristics were important in housing satisfaction, indoor environment level satisfaction and indoor safety and hygiene being important in almost all regions, while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were more important i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influencing factors were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In order to generalize these regional characteristics, research using time series data needs to be conducted later.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of Immigrant by Public Land Development (공영개발에 의한 이주민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Jeon, Byeong-J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2
    • /
    • pp.21-28
    • /
    • 2013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361 immigrants by Cheongju Yullyang II Land Development Projects of Chungbuk,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Projects and analyzes the factor which affects their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The level of subjects' residential satisfaction is 5.35(SD=1.33) which is average. By looking the level of related factors which affect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levels of facilities reg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gion are normal. The levels of housing environment and trust of development are lower than the normal. To figure out the factor which affects residential satisfaction, a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he result showed that age of research subject, family type, residence period, physical status, owner or renter, housing environment region, facilities region, residential environment region, and trust of development among factors related to residential satisfaction affect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ways are suggested to improv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immigrants.

A Comparativ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by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공공임대주택 유형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비교연구)

  • Mee-Jung Lee;Chan-Ho Kim;Chang-Soo Lee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5 no.1
    • /
    • pp.39-55
    • /
    • 202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housing satisfaction among residents of different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permanent, national, and happy housing-following the integration of housing types upon the full-scale supply of integrated public rental housing. By identifying key factors that influence residential satisfaction, our goal is to inform the planning of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es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The study focuses on analysing discrepancies in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residents of different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compar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satisfaction. Microdata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Housing Situation Survey' in 2021 is utilized for analysis, employing one-way ANOVA an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methods. Empirical analysis reveals variations in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s between residents of permanent and national rental housing, with national rental housing residents exhibiting higher satisfacti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overall condition satisfaction are consistent for permanent and national rental residents but differ for happy housing residents. Additionally, the influencing factors of overall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vary across all three housing types. Nonetheless, common factors across all types include housing noise and facility accessibility, highlighting their significance in complex planning. Subsequent studies may involve time series analysis to assess changes in influencing factors over time.

Effects of Housing Environment on Valu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Housing (주거환경이 주거가치, 주거만족,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ark, Yeung-kurn;Kim, Pan-jun;Hwang, Tae-soo
    •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 /
    • v.5 no.1
    • /
    • pp.89-105
    • /
    • 2007
  • The apartment market in korea is rapidly changing from the producer-oriented market to the customer-oriented market. This means the user's perception of the apartment changed, so the pattern of purchase also changed. The apartment house enterprises should use the method of well grasp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customers, and then satisfying buyer's need to study the marketing strategy. Seeing from th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study is not just the real estate, and on the basic of preceding studies about the marketing field also should analysis what kind of influence the housing environment gives to the standard of the housing value and housing satisfaction, and what kind of influence the standard of the housing choice criteria gives to housing value, hous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what kind of influence this kind of housing value and housing satisfaction gives to the Repurchase Intention. And also should give some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apartment house enterprises later.

  • PDF

A Study on Housing Situation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Foreigners in Korea -Focusing on Seoul and Kyonggi Province- (재한외국인의 주거실태 및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 Kim, Young-Joo;Bo, T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
    • /
    • pp.574-58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using situation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foreigners in Korea, and to identify influential factors for housing satisfac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32 foreigners who reside in Seoul and Gyeonggi-do.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Chinese and the average age was 45.7. Over 90% of the respondents lived in a rented house and detached house was the most popular type of house. Overall score of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3.43 and it was above average. However, scores for parking lot, housing deterioration, and space planning showe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was used to summarize the variables related to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5 factors -'space planning and organization,' 'amenities & equipment', 'community facilities,' 'near environment' and 'housing expenses'- were drawn. Among those, 'space planning and organiz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residential satisfaction a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nvironmental Support of Independent Elderly Households in Senior Housing Cooperatives (미국 노인전용 조합주택의 거주환경 평가)

  • Lee, Hyu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4 no.5
    • /
    • pp.57-6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건설된 노인전용 조합주택으로 입주한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거주자 측면에서의 주거환경 평가이며, 아울러 미국 조합주택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171가구가 본 조사에 참여하였다. 조사대상 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76세였으며 교육 수준은 높았고, 가족형태는 부부나 독남가구가 대다수였다. 조사에 참여한 가구들은 저렴한 주택비용, 안전성, 주택유지 및 관리의 용이성, 주거 내의 접근용이성을 현 주거환경의 선택 동기로 손꼽았다. 현 주거환경의 평가를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그리고 거주자 참여방식의 관리에 대한 만족도로 크게 3가지로 나뒀으며, 물리적 환경 관련 요소가 주거환경 평가와 관련한 만족도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장기적인 주택관련 비용의 저렴화와 노인의 독립성을 위한 지원성이 강화된 물리적인 환경의 구축이 무엇보다 주거환경 평가시 중요하므로, 향후 노인전용 대안주택 계획시 이점에 대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Housing Environment Type And Resident Housing Satisfaction (주거환경유형과 거주자의 주거만족)

  • 진양교;수와이드만;제임스앤더슨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9 no.1
    • /
    • pp.45-59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환경지표와 그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 반응간 의 인과적 관련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거주자의 주관 적 반응인 주거만족과 객관적 환경지표의 하나인 주거환경유형들(건물유형 과 건물배치유형)과의 인과적 관련도가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토의된다. 한국의 6개 대단위 공동주택단지가 본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되었고, 표본 추출시 건물유형과 건물배치유형을 고려한 다단계 표집방법(multistage sampling)이 사용되었다. 설문면답방법(modified structured survey)에 의해 646명의 처리 가능한 응답이 수거되었다. 인과모형 검증의 첫 단계로서 다 수의 설문문항을 원래 관심있는 소수의 변수로 정선, 추출하기 위한 방법 으로 요인분석이 사용되었다. 요인분석으로부터 정선, 추출된 변수를 이용 해서 본 연구의 가설모형이 정립되고, 그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를 요약해 볼 때, 건물유형과 건물배치유 형 모두가 거주자의 지각, 인식, 태도 등의 적절한 매개변수들을 통해 거주 자의 주거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유형은 일반 적으로 저층주거에서 고충주거로 바뀌면서, 거주자의 주거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고층주거가 거주자에게 주는 시각적 단 조로움, 과밀감, 그리고 주차장을 포함한 옥외공간 이용상의 불편들과 또 그들로 인한 낮은 안전성 및 경관에 대한 불만족 등이 그 이유로서 밝혀졌 다. 건물배치유형의 경우, U자형의 배치유형이 선형배치유형에 비해 과밀 감 해소, 시각적 명료성 향상, 그리고 옥외공간 이용상의 편리 등 및 또 그 에 따른 경관에 대한 만족의 향상 때문에 거주자의 주거만족을 높이는 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와 관련된 설계 및 계획분야를 위한 여러 다 양한 제안들이 본 연구에서 제시되고, 추후 관련 연구들을 위한 가능성들 도 토의되었다. 그 유용성 때문에, 아직 많은 이론적, 방법론적, 그리고 분 석상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객관적 환경지표들과 이용자들의 만족을 포함 한 다양한 주관적 변수들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밝히려는 시도가 계속되 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