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야간 온도

Search Result 70,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Luminous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et Between Day and Night (도시가로의 주.야간 빛환경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Shim, In-Bo;Kim, Bong-Kyun;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4-201
    • /
    • 2005
  • 도시에서의 빛의 연출은 도시의 축을 부각시키고, 가로의 아이덴티티를 연출함으로서 도시의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야간의 경관은 인공조명을 이용한 빛의 연출로 주간과는 다른 빛환경 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가로 중에서 상업가로와 주거가로를 대상으로 주 야간의 빛환경 특성을 분석하여, 가로의 용도에 따른 주야간의 빛환경 차이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가로의 일정길이에 대하여 수평면조도, 스칼라 조도, 휘도 및 색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를 용도별, 주 야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측정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수평면조도의 측정 결과, 주간의 주거가로에 비하여 상업가로가 28.8[%] 높게 나타났으며 야간의 경우 87.2[%] 높게 나타났다. (2) 스칼라조도의 측정결과, 스칼라조도의 특성상 전반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보이며, 수평면 조도와 마찬가지로 주간에 비하여 야간에 84[%] 높은 값이 측정되었다. (3) 휘도의 측정 결과, 주간 배경에 대한 대상의 휘도비는 상업과 주거가로가 1:2이하로 나타나 조화로운 가로경관을 연출하며, 야간배경에 대한 대상의 휘도비는 상업가로는 1:17로 활기 있는 경관을 연출하고 주거가로는 1:5로 가로경관 이미지에 적당한 강조효과가 나타났다. (4) 색온도의 측정 결과, 주간의 배경은 맑은 하늘의 색온도를 나타냈으며 대상은 상쾌하고 활동적인 이미지의 색온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야간의 경우 상업가로와 주거가로 모두 나트륨 등의 영향을 받아 전반적으로 따뜻한 느낌의 색온도가 연출되었다.

  • PDF

Effect of Temperature on Winter Growth in Grafted Cactus (Chamecereus silvestrii) 'Hee-Mang' (접목선인장 산취 '희망'의 동절기 온도처리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 Nam, Sang-Yong;Soh, Chang-Ho;Park, Sun-Mi;Cho, Chang-Hui;Park, In-Tae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17 no.2
    • /
    • pp.141-145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growth response of Chamecereus silvestrii 'Hee-Mang' in accordance to day and night temperature in winter season. The plant height was maximized at $20/15^{\circ}C$ (day/night). Globe height and diameter were the highest in the day temperature of $25^{\circ}C$. Globe diameter was relevant high by increasing day temperature. Hunter 'a' value is significantly lower by decreasing of night temperature whereas 'b' value is higher. Characteristic of de-rooted grafting cactus was continually decreased until 15 days, then started growth again.

Retrieval and analysis of LST from MTSAT-1R (MTSAT-1R 자료를 이용한 지표면온도 산출 및 분석)

  • Kwak, Seo-Youn;Suh, Myoung-Seok;Kang, Jeon-Ho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271-276
    • /
    • 2007
  • 지표면의 파장별 방출율을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대기의 흡수효과가 상이한 두 파장역을 이용하여 대기효과를 보정해주는 일반적인 분리대기창(Generalized Split-Window) 방법으로 MTSAT-1R 자료로부터 지표면 온도(LST) 산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지표면온도 산출 회귀식은 대기복사전달모델 MODTRAN4.0으로 위성으로부터 LST를 산출하는데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소(주/야간,수증기, 방출율,위성관측각 등)들을 고려하여 모의된 자료로부터 도출하였다. 개발한 LST 산출알고리즘의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MSGl SEVIRI 센서에 적합하도록 개 발된 Sobrino and Romaguera(2004)의 알고리즘과 GMS-5 VISSR 센서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Prata and Cechet(1999)의 알고리즘과 비교하였다. 3 알고리즘을 MTSAT-1R 자료에 적용하여 LST를 산출한 결과 LST의 공간분포는 정성적으로 서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정량적으로는 지리적 위치,계절 및 주간/야간에 따라서 LST가 다르게 나타났다.

  • PDF

Thermo-elastic Effect Analysis of Optical Performance for Thermal Imaging Camera (열상카메라 광학성능의 열탄성 효과 분석)

  • 김현규;김창우;서상호;유병철;김창오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144-145
    • /
    • 2003
  • 열상카메라는 빛이 전혀 없는 야간에도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비이다. 이러한 열상카메라는 야간 영상 획득에 있어서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또한 반드시 사용되어야만 한다. 또한 열상카메라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렌즈의 재질은 온도에 대한 굴절률의 변화가 크고 경도가 낮아 외부 환경에 대한 영향성이 크다. 열상카메라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외부 환경 요소로는 열상카메라가 사용되는 환경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요인과 내부 및 외부로부터 받는 온도에 대한 요인이다. (중략)

  • PDF

A Simulation of Nighttime Thermal Infrared Image Colorization considering Temperature Change between Day and Night (주야간 온도변화를 고려한 야간 열적외영상 컬러화 모의)

  • Jung, Ji Heon;Jo, Su Min;Eo, Yang Dam;Park, Jinhyeok;Choi, Yeon Oh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4 no.3
    • /
    • pp.397-405
    • /
    • 2024
  • In order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nighttime thermal infrared images, a simulation method with daytime color images was proposed. As a simulation method consisting of two steps, the daytime thermal infrared image was simulated by learning the unpaired nighttime thermal infrared image and daytime thermal infrared image, then the result was translated into a daytime color image. A temperature change regression equation was constructed and applied to reflect the systematic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changes in daytime and nighttime images, and day and night simulation and colorization were trained and modeled by CycleGAN. For the experimental area, 100 images were captured and used for training. As a result, the simulation showed an average SSIM of 0.2449 and a PSNR of 51.2254.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hod could simulate complex and detailed features such as vegetation.

Effects of Beehives Number on Inside Temperature of Wintering Beehouse (저장봉군수가 저온양봉사 내부온도에 미치는 영향)

  • 이석건;김란숙;이현우;이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04b
    • /
    • pp.88-89
    • /
    • 2001
  • 꿀벌의 실내월동에 이용되는 월동용 저온양봉사의 내부환경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외기온, 저장봉군수, 환기량 등이 있다. 이러한 환경요인을 고려하여 설계 제작된 국내 월동용 저온양봉사의 성능 및 저장봉군수와 양봉사 내부온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경상북도의 7개 지역에 설치된 월동용 저온양봉사(내부크기 폭4.5m×길이3m×높이3m)에 대하여 2000. 11. 25부터 2001, 2. 15까지 실내월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대상 지역은 포항, 문경, 상주, 칠곡, 성주, 영양, 안동이며, 지역별 저장봉군수는 각각 14, 74, 85, 110, 163, 170, 260군이다(Table 1). 꿀벌의 월동기간 중 안동과 성주지역을 제외한 5개 지역의 실내 월동성적은 폐사율이 10%미만으로 대체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월동기간중 지역별 외기온을 분석한 결과, 평균외기온 및 최저외기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안동이었으며, 그 값이 각각 -3.1℃와 -9.4℃일 때 양봉사 내부의 평균온도와 최저온도는 5.2℃와 3.8℃로 나타났다. 반면에 평균외기온 및 최저외기온이 가장 높은 지역은 포항이었으며 그 값이 각각 1.3℃와 -4.1℃일 때 양봉사 내부의 평균온도와 최저온도는 각각 3.1℃와 1.2℃로 나타나 저온양봉사 내부의 온도환경 조절성능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Table 1). 또한 월동기간중 주.야간으로 양봉사 내.외부의 온도변화를 분석한 결과, 저장봉군수의 증가에 따라 주야간 모두 양봉사 내.외부 온도편차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양봉사 내부의 주.야간 평균온도는 모두 꿀벌의 월동에 적정한 범위인 2℃-9℃를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2). 그리고, 월동기간중 외기온이 가장 낮은 시기(1월 13-19일)의 평균 외기온이 -8℃--9℃로 유사한 문경, 상주, 영양, 안동지역의 월동용 저온양봉사의 평균 내부온도는 각각 -2.0℃, -1.0℃, 0.2℃, 4.2℃로 나타나 저장봉군수가 증가함에 따라 월동용 저온양봉사의 내부온도가 증가하여 꿀벌의 월동에 적합한 온도범위를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기간동안 대부분의 저온양봉사 내부온도는 꿀벌이 월동하기에 적정한 온도범위(2℃-9℃)로 유지하였다(Fig. 1).

  • PDF

Effect of Minimum Night Temperature on Growth of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and Betula platyphylla in Container Culture during Winter Season (소나무, 자작나무의 겨울철 시설양묘시 생장초기 야간최저온도)

  • 홍성각;윤종규;윤택승;김종진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1 no.4
    • /
    • pp.163-167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nimum night temperature in the PE house on growth of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and Betula platyphylla in winter season.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three minimum night temperature regimes,5~8$^{\circ}C$, 10~13$^{\circ}C$ and 15~18$^{\circ}C$. The temperature regimes were maintained for 8 weeks (to April 6) after germination peak, and then were broken by increasing natural temperature. The temperature did not affect the germination rate but delayed the germination by 10 days. Height, root collar diameter growth, and dry weight of two species were reduced by relatively low night temperature. The reduction was more obvious in the dry weight of above the ground measured at 8 weeks after germination. The seedlings grown for 8 weeks at 5~8$^{\circ}C$ showed the lowest T/R ratio.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height growth response in Betula platyphylla seedlings to relatively low temperature was more sensitive than Pinus densiflora.

Luminous Characteristics of Cheonggyecheon(stream)'s Essential Elements during the Day and the Night (청계천 구성요소에 대한 주.야간 빛환경 분석)

  • Shin, Hae-Mi;Yu, In-Hye;Shim, In-Bo;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29-34
    • /
    • 2005
  • 본 연구는 청계천의 구성요소에 대해 경관연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주요구성요소 4곳을 상대로 경관현황을 조사하였다. 도시에서의 빛연출은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고 또한 청계천 같이 6km에 다다른 하천은 관광자원으로써도 활용된다. 따라서 청계천 빛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경관에 있어서 조명학적으로 중요한 물리량 평가요소로 휘도, 색도, 색온도를 선정하였다. 디지털 광학 계측기인 Radiant Imaging Prometric 1400에 의해 측정된 휘도, 색도, 색온도 등의 물리량 측정결과 주야간 모두 주변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휘도대비가 16:1을 넘지 않아 시각적으로도 적절한 것으로 판단됐다. 따라서 청계천 주요수성요소의 경관연출은 주 야간 모두 이용자들에게 안락한 경관을 제공할 것으로 사려된다.

  • PDF

Studies on the pear Abnormal Leaf Spot Disease 4.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4. 온도 및 토양수분의 영향)

  • 남기웅;김충회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2 no.2
    • /
    • pp.209-213
    • /
    • 1996
  •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의 발병환경 조건을 조사하고자 실험한 결과 주간 23$^{\circ}C$, 야간 18$^{\circ}C$ 온도조건에서 병징발현이 가장 심하였고 이보다 높은 온도인 28/23$^{\circ}C$와 낮은 온도인 18/13$^{\circ}C$에서는 발병이 아주 적었다. 배나무잎에 봉지를 피복하면 발병이 전혀 없거나 극히 저조하였다. 이것은 봉지내의 온도가 최고 46.8$^{\circ}C$까지 올라가 고온에 의하여 발병이 억제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병주 토양과 건전주 토양의 화학성을 조사한 결과 이병주 토양에서는 건전주 토양보다 유효인산량이 많게 나타났다. 토양수분이 많거나 적었을 때는 병징발현이 다소 늦어지기는 하나 최종 조사시 발병정도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Effect of Cooling Timing in the Root Zone on Substrate Temperature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Sweet Pepper in Summer Cultivation (여름 파프리카 수경재배에서 근권 냉방 시간이 근권 온도와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 Choi, Ki Young;Ko, Ji Yeon;Yoo, Hyung Joo;Choi, Eun Young;Rhee, Han Cheol;Lee, Yong-Beom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1
    • /
    • pp.53-59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an appropriate cooling timing in the root zone for lowering substrate temperature and its effect on physiological response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m L. 'Orange glory') grown on coir substrate in summer, from the July 16 to October 15, 2012. Daily temperature of substrate, root activity, leaf water potential, first flowering date, and the number of fruits were measured by circulating cool water through a XL pipe in the root zone during either all day (all-day) or only night time (5 p.m. to 3 a.m.; night) from the July 23 to September 23, 2012. For comparison, no cooling (control) was also applied. Between the $23^{rd}$ of July and $31^{st}$ of August (hot temperature period), daily average temperatures in substrates were $25.6^{\circ}C$, $26.1^{\circ}C$, and $29.1^{\circ}C$ for the all-day and night treatment, and control respectively. About 1.8 to $5^{\circ}C$ lower substrate temperature was observed in both treatment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In sunny day ($600-700 W{\cdot}m^{-2}{\cdot}s^{-1}$), the highest temperature of substrate was measured between 4 p.m. and 5 p.m. under both the all-day and night treatments, whereas it was measured between 7 p.m. and 8 p.m. under the control. Substrate temperatures during the day (6 a.m. to 8 p.m.) and night (8 p.m. to 6 a.m.) differed depending on the treatments. During the day and night, averaged substrate temperature was lower about $3.3^{\circ}C$ and $4.0^{\circ}C$ for the all-day, and $2.1^{\circ}C$ and $3.4^{\circ}C$ for the night treatment, compared to that of control. In the all-day and night treatment, the TD [TD = temperature of (control)] was greater in bottom than that of other regions of the substrate. Between the day and night, no different TD values were observed under the all-day treatment, whereas under the night treatment there was difference with the greatest degree in the bottom of the substrate. During the hot temperature period, total numbers of days when substrate temperature was over $25^{\circ}C$ were 40, 23 and 27 days for the control, all-day, and night treatment, respectively, and the effect of lowering substrate temperature was therefore 42.5% and 32.5% for the all-day and night treatment,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for the control. Root activity and leaf water potential of plants grown under the all-day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under the night treatment. The first flowering date in the all-day treatment was similar to that in the night treatment, but 4-5 day faster than in the control. Also, the number of fruits in both treatm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However, there was no effect of root zone cooling on eliminating delay in fruiting caused by excessively higher air temperature (> $30^{\circ}C$), although the substrate temperature was reduced $18^{\circ}C$ to $5^{\circ}C$.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thod of cooling root zone temperature need to be incorporated into the lowering growing temperature for growth and fruit set of health papri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