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양 침습

Search Result 18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Malignant Extrarenal Rhabdoid Tumor in Soft Tissue - A Case Report - (연부 조직에 발생한 악성 횡문근양 종양 - 증례 보고 -)

  • Lee, Sang-Hoon;Kim, Han-Soo;Oh, Joo-Han;Suh, Sung-Wook;Lee, Han-Koo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6 no.4
    • /
    • pp.173-177
    • /
    • 2000
  • Malignant rhabdoid tumor is a highly aggressive tumor of children, that often arises in the kidney. Some rhabdoid tumors have been reported in various extra-renal location includ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liver, skin, and soft tissues. In case of arising in soft tissues, it may be misdiagnosed as rhabdomyosarcoma.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malignant rabdoid tumor from rhadomyosarcoma, because malignant rhabdoid tumor has more aggressive behavior and poorer survival rate. And this differential diagnosis can be performed by several immunohistochemistry. Here we report a case of malignant rhabdoid tumor that arose in lower abdominal wall with related articles.

  • PDF

Extrapleural Malignant Solitary Fibrous Tumor Presenting as Invasive Bilateral Paravertebral Tumors: A Case Report (침습성 양측 척추주위 종양으로 나타난 흉막외 악성 고립섬유 종양: 증례 보고)

  • Jewon Jeong;So-Young 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4 no.1
    • /
    • pp.304-310
    • /
    • 2023
  • Solitary fibrous tumors (SFTs) commonly arise from the pleura and are mostly benign. However, they may develop anywhere in the body, and 10%-30% are malignant. Classically, SFTs appear as solitary enhancing masses, and bilateral presentation is extremely rare. In this case, an 88-year-old male presented with back pain and a history of chronic tuberculous empyema. Imaging studies revealed bilateral paravertebral masses with aggressive radiologic features, which were speculatively presumed as thoracic malignancies in association with chronic empyema. Herein, we report a unique case of bilateral paravertebral malignant SFTs that were accurately diagnosed with a CT-guided coaxial needle biopsy.

A Study of the Prognostic Factors in Resected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제1병기 비소세포폐암 절제례의 예후인자에 대한 연구)

  • 김창수;천수봉;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1 no.10
    • /
    • pp.973-981
    • /
    • 1998
  • Background: About 30% to 40% of the patients with pathologic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die within 5 years after complete resection. The identification of poor prognostic factors and the application of additional treatment are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in resected stage I NSCLC. Materials and methods: Sixty-eight(68)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postoperatively between Janury 1989 and December 1995 as having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according to the TNM classification were studied. The postoperative 5-year survival rate was calculated with the Kaplan-Meier method, and clinico- histopathologic factors including age, sex, operative method, type of tumor cell, T factor, grade of the differentiation in a squamous cell carcinoma, invasion of blood vessel and expression of the nm23-H1 protei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ults: The median survival of the entire group of patients was 58$\pm$3 months, with a 5-year survival of 58.9%. In univariate analysis, invasion of blood vessel and poor differentiation of the tumor cell in a squamous cell carcinoma significantly worsened the survival. In multivariate analysis, invasion of blood vessel and grade of the differentiation of the tumor cells in a squamous cell carcinoma remained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High expression of the nm23-H1 protein was related to a high postoperative 5-year survival in comparision with low expression of the nm23-H1 pretein (73.0% vs 50.7%),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gative prognostic value of poor differentiation of tumor cells in a squamous cell carcinoma and invasion of blood vessel in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Also,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be determined prognostic value of the T factor and expression of the nm23 protei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PDF

Surgical Invasiveness is Important for Determining Severity of Postoperative Pain after Oral & Maxillofacial Surgery (구강악안면 수술의 침습도 및 술 후 통증의 정도와의 상관성)

  • Shin, Teo-Jeon;Park, Yun-Ki;Seo, Kwang-Suk;Han, Hyo-Jo;Kim, Hyu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 /
    • v.11 no.1
    • /
    • pp.9-15
    • /
    • 2011
  • 배경: 술 후 통증은 술 후 합병증의 발생가능성을 증가시키며 생체기능의 회복을 방해한다. 술 후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선 통증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술 후 통증은 수술의 침습도와 관련이 높을 가능성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침습도의 정도와 술 후 통증의 정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총 153명의 환자를 수술의 침습도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그룹 1: 악성종양 수술 (malignancy surgery), 그룹 2: 양악수술(bimaxillary surgery), 그룹 3: 양성 종양수술(benign cancer surgery) 그룹 4: 임플란트 & 골절 수술(implant & frature)) 수술이 끝나갈 무렵 fentanyl 700 ${\mu}g$, ketorolac 1,500 mg (총 용적 120 ml)가 포함된 자가통증조절장치를 정맥로에 연결하였다. 술 후 통증의 정도는 시각통증등급(visual analogue scal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자가통증조절장치의 총 사용시간, 투여된 진통제의 양, bolus 투여 총 횟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술 후 시각통증등급은 술 후 1일부터 3일까지 그룹 1, 2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시각통증등급 3점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비율 역시 그룹 1, 2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진통제 총 투여용량 및 자가로 주입한 진통제의 양 역시 그룹 1, 2군에서 3, 4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외과적 수술의 침습도가 술 후 통증의 정도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임 을 확인하였다.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for Thyroidectomy ; A Modification of the Conventional Thyoidectomy Technique (최소침습 갑상선 수술법 :전통적 갑상선 수술법의 변형술식)

  • Park Cheong-Soo;Chung Woung-Youn;Chang Hang-Seok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6 no.2
    • /
    • pp.177-181
    • /
    • 2000
  • 배경 및 목적: Theodor Kocker에 의해 일반화된 전통적인 갑상선 수술방법은 갑상선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수술범위와 상관없이 광범위한 수술범위로 인한 조직 손상으로 인해 수술후 환자들의 여러가지 불편감은 물론 경부의 넓은 부위의 통증과 경부 피부부종, 장액종, 혈종 등과 같은 후유증을 동반할 수 있다. 최근 본 저자들은 이같은 전통적 갑상선 수술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작은 피부절개($3{\sim}4.5cm$) 후 피하 피판(subplatysmal skin flap) 없이 직접 갑상선으로 접근하는 새로운 수술기법으로서 최소침습 갑상선 수술기법을 개발하였기에 그 술식을 소개하고 전통적인 갑상선 절제술에 대한 우월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 15일 부터 2000년 1월 14일까지 573예의 갑상선 수술 예 중 최소침습 갑상선절제술이 시행되었던 466예와 1998년 1월 15일부터 1999년 1월 14일까지 전통적 갑상선 수술을 시행한 549예 중 거대 종양(양성>6cm, 악성>5cm), 흉골하 선종, 국소진행암, 재발암, 측경부의 다발성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112예를 제외한 437예의 임상병리적 특성과 피부절개 길이, 수술 시간, 수술중 출혈양, 수술후 진통제 요구빈도 및 재윈기간, 수술 후 합병증 발생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두 군간의 임상병리적 특성상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피부절개 길이($3.7{\pm}0.7cm,\;vs\;9.6{\pm}3.3cm$), 수술 시간($57.6{\pm}11.7$분 vs $85.2{\pm}32.3$분) 수술 중 출혈양($18.4{\pm}15.3ml\;vs\;43.1{\pm}21.8ml$), 수술후 재원기간($1.6{\pm}0.5$일 vs $4.3{\pm}1.6$일), 및 수술후 진통제 요구빈도가 전통적 수술군에 비해 최소침습 수술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p<0.05), 수술후 장액종 및 혈종 형성, 일시적인 음색변화, 일시적인 저칼슘혈증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빈도는 각각 4.3%(n=20)와 4.8%(n=21)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최소침습 갑상선 수술법은 새로운 수술기구의 도입 없이도 갑상선 수술의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안전하고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으며, 기존 수술법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통적 인 수술법을 대치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Anterior Mediastinal Tumor

  • Lee, Jae-Kyo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27 no.2
    • /
    • pp.98-104
    • /
    • 2010
  • Primary anterior mediastinal neoplasms comprise a diverse group of tumors and account for 50% of all mediastinal masses. Thymic epithelial neoplasm are most common and classified into thymoma, invasive thymoma, and thymic carcinoma. Neuroendocrine differentiation of thymic epithelial neoplasm are rare malignancies. Germ cell tumor (GCT) is second most common anterior mediastinal tumor and most of them are mature cystic teratoma. Malignant mediastinal GCT are rare than benign. Primary thoracic lymphoma is rare than thoracic involvement of systemic lymphoma and most common location of primary thoracic lymphoma is anterior mediastinum. The clinical and radiologic appearance of the most common masses are reviewed.

  • PDF

A Case of Kaposiform Hemangioendothelioma of the Pterygopalatine Fossa (익구개와에 발생한 카포시형 혈관내피종 1예)

  • Park, Jun Eun;Chang, Jae Won;Lee, Kyi-Beom;Kim, Chul-Ho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9 no.1
    • /
    • pp.29-32
    • /
    • 2013
  • 카포시형 혈관내피종은 주로 영유아기에 발생하는 혈관내피세포에서 유래하는 혈관종양이다. 성인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나 발생률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다. 뼈 또는 연조직을 침범할 수 있으며 경계성 종양으로 알려져 있다. 모세혈관종 또는 카포시형 육종과 유사하게 혈관이 포함된 침습적이고 경계가 불분명한 결절을 형성하며, 보통 사지의 연조직이나 간, 폐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문헌상으로 두경부에 발생한 증례가 몇 편 보고되어 있으나, 그 중 익구개와에 발생한 경우를 보고한 경우는 없었다. 저자들은 5개월된 남아에서 익구개와에 발생한 카포시형 혈관내피종을 인터페론 알파와 수술적 절제로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redictors of Distant Metastasis in Adenoid Cystic Cancer of Salivary Gland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의 원격 전이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

  • Kim, Kang Woo;Kim, Yeon Soo;Oh, Kyoung Ho;Park, Min Woo;Cho, Jae-Gu;Baek, Seung-Kuk;Woo, Jeong-Soo;Jung, Kwang-Yoon;Kwon, Soon Young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0 no.1
    • /
    • pp.1-4
    • /
    • 2014
  • 배경 및 목적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은 느린 성장 속도와 늦은 원격 전이를 특징으로 하는 드문 상피성종양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임상 병리학적 변수를 통해 선양낭성암종의 원격 전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0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으로 진단되어 치료 받은 44명(남자 19명, 여자 25명)을 대상으로 원격전이를 유발하는 위험 인자를 조사하였다. 8명의 환자는 배제 기준에 따라 제외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54세였다. 환자의 병리 보고서, 종양의 크기, T 병기, 수술 절제연의 종양 존재 유무, 신경 조직 침습, 림프절 전이가 조사되었다. 결 과 15명의 환자가 원격전이가 있었으며 21명은 원격 전이가 없었다. 원격 전이를 유발할 수 있는 여러 인자들을 비교하였을 때, 원격 전이는 수술 절제연의 종양 세포 잔존(p=0.014), 종양의 크기(p=0.038), 진행된 T 병기(p=0.02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성이 있었다. 림프절 전이와 신경 조직 침습은 원격 전이와 연관이 없었다. 결 론 종양의 크기, 진행된 T 병기, 수술 후 절제연의 종양 세포 잔존은 원격 전이의 예측 인자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에 해당하는 환자의 경우 더욱 철저한 관리 및 경과 관찰을 요한다.

Treatment of Simple Bone Cyst in Calcaneus with Endoscopic Curettage and Autologous Bone Graft - Case Report - (종골에 발생한 단순 골낭종의 내시경적 소파술 및 골 이식술 - 증례 보고 -)

  • Jung, Gu-Hee;Kim, Jae-Do;Kim, Ji-Youn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4 no.2
    • /
    • pp.182-186
    • /
    • 2008
  • Simple bone cysts are common, benign bone tumor and for the treatment, curettage with bone grafting, resection and intralesional steroid or autogenic bone marrow injections were usually performed. Simple bone cysts of the calcaneus are relatively uncommon and curettage with autologous bone grafting were proposed for management rather than intralesional steroid injections. We would like to report 9 year-old male with calcaneal simple bone cyst treated satisfactorily by minimally invasive endoscopic curettage and autologous bone grafting with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