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망 대상

Search Result 24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Scenic Site Recognize the attitute of Scholar -Focusing on Gwanpokdo(Painting of Viewing Falls) of Joseon Dynasty- (옛 선인들의 명승 인식 태도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관폭도(觀瀑圖)를 중심으로-)

  • Lee, Won-Ho;Ahn, Hye-In;Kim, Jae-Ung;Kim,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13-114
    • /
    • 2015
  • 본 연구는 조선시대 관폭도를 중심으로 옛 선인들의 명승 인식 태도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폭포 표현은 폭포의 형상이나, 조망하는 대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지만 관념 산수에서의 폭포가 지니는 의미는 변하지 않았다. 폭포는 이상향과 속세의 경계이면서 동시에 관조의 매개체가 되었고, 단순히 풍경의 의미가 아닌 관조적 대상의 장면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컸다.

  • PDF

Production of a Bird's-eye View using 3D Spatial-Information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조감도 제작)

  • Choi, Seok-Keun;Yi, Gyo-Han;Jo, Ui-Hwan;Lee, By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313-314
    • /
    • 2008
  • 현재의 조감도 제작방법은 3D-Max, 포토샵과 같은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편집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조감도는 일반적으로 제작과정에서의 특성상 2차원 평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지만 지표면의 3차원 공간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대상지역의 사진 등을 편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주변 시설물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데이터를 이용하여 LiDAR 데이터에서 획득한 고정밀의 DEM과 고품질의 항공영상을 이용한 3차원 모델을 제작하여 조망권, 가시권, 지형분석 등을 수행하고, 주변의 모든 대상물을 고려한 효율적인 조감도를 제작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의료/의학의 인문학적 통찰

  • Choe, Jong-Deok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 /
    • v.8 no.1
    • /
    • pp.13-22
    • /
    • 2006
  • 인문학은 인간에 대한 깊은 성찰과 세계에 대한 폭넓은 조망에서 잉태한다. 이런 인문학 교육은 인문대학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의료교육 현장에 접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문학 역시 현실을 도외시한 언어유희가 아니라 현실속의 사회 문화적 통로를 접근하는 방식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인문학적 성찰은 전문가만의 소유물이 아니다. 특히 의료인문학적 성찰은 죽은 몸이 아니라 살아 있는 몸을 다루는 임상행위의 전제이다. 이렇게 살아 있는 생명의 몸을 다루는 의학 부문에서 과학적 설명의 적용범위와 그 실현가능성은 아직 충족되고 있지 않다. 이는 과학탐구 대상으로서의 톰과 증상과 치료의 대상으로서의 구체적인 의학적 몸 사이의 간극이 있음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인문학적으로는 설명 장르의 몸에서 제외된 이해 장르의 몸이 다시 조명되어야 한다. 정확히 말하면 설명 장르와 이해 장르가 통합되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러한 인문학적 반성이란 추상적 이론으로 그쳐서는 안 되며, 의학과 의료 현실에 어떻게 실천적으로 적용가능한지를 질문하는 일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 적용사례로서 증거중심의학(EBM)과 문제기반학습(PBL)를 다루었다.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Interpretation Method of Eco-Cultural Resources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Ecology in Jeju Olle Trail (제주 올레길 생태문화자원 경관생태학적 해석기법 연구)

  • Hur, Myung-Jin;Han, Bong-Ho;Park, Seok-Ch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9 no.2
    • /
    • pp.128-140
    • /
    • 2021
  • This study applied the theory of Landscape Ecology to representative resources of Jeju Olle-gil, which is a representative subject of walking tourism, to identify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o establish a technique for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of Olle-gil resources. Jeju Olle Trail type based on the biotope type, major land use, vegetation status around Olle Trail and roads were divided into 12 types. Based on the type of ecological tourism resource classification, the Jeju Olle-gil walking tourism resource classification was divided into seven types of natural resources and seven types of humanities resources, and each resource was characterized by Geotope, Biotope, and Anthropopope, just like the landscape ecology system. Geotope resources are strong in landscape characteristics such as coast and beach, rocks, bedrocks, waterfalls, geology and Jusangjeolli Cliff, Oreum and craters, water resources, and landscape viewpoints. The Biotope resources showed stro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due to large tree and protected tree, Gotjawal, forest road and vegetation communities, biological habitat, vegetation landscape view point. Antropotope include Culture of Jeju Haenyeo and traditional culture, potting and lighthouses, experience facilities, temples and churches, military and beacon facilities, other historical and cultural facilities, and cultural landscape views. Jeju Olle Trail The representative resources for each type of Jeju Olle Trail are coastal, Oreum, Gotjawal, field and Stonewall Fencing farming land, Jeju Village and Stone wall of Jeju. In order to learn about the components and various functions of the resources representing the Olle Trail's ecological culture, the landscape ecological technique was interpreted. Looking at the ec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the coast includes black basalt rocks, coastal vegetation, coastal grasslands, coastal rock vegetation, winter migratory birds and Jeju haenyeo. Oreum is a unique volcanic topography, which includes circular and oval mountain bodies, oreum vegetation, crater wetlands, the origin and legend of the name of Oreum, the legend of the name of Oreum, the culture of grazing horses, the use of military purposes, the object of folk belief, and the view from the summit. Gotjawal features rocky bumps, unique microclimate formation, Gotjawal vegetation, geographical names, the culture of charcoal being baked in the past, and bizarre shapes of trees and vines. Field walls include the structure and shape of field walls, field cultivation crops, field wall habitats, Jeju agricultural culture, and field walls. The village includes a stone wall and roof structure built from basalt, a pavilion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a yard and garden inside the house, a view of the lives of local people, and an alleyway view. These resources have slowly changed with the long lives of humans, and are now unique to Jeju Island. By providing contents specialized for each type of Olle Trail, tourists who walk on Olle will be able to experience the Olle Trail in depth as they learn the story of the resources, and will be able to increase the sustainable use and satisfaction of Jeju Olle Trail users.

Effects of Stand Growth on Viewshed Analysis Using GIS (임분의 생장효과가 GIS 응용 가시권 분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Jang, Kwang-Min;Song, Jung-Eun;Seol, A-Ra;Han, Hee;Chung, Joo-Sa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3 no.2
    • /
    • pp.11-20
    • /
    • 2010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tand height growth on GIS-based viewshed analysis were investigated. DSM was created by combining stand height layers on DEM using map algebra functions. In developing the tree height layers, the digital forest-type maps, forest site maps and stand yield tables of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were used. The time horizon for viewshed analysis were 40 years. Two viewpoints in crossings of downtown for viewshed analyses were chosen using a projective mapping technique. The effects of tree height growth over time on visibility were measured in terms of the depth of blind areas and the area of visible regions. The results of viewshed analyses show that 17% of visible regions is reduced when we use DSM instead of DEM. As the tree height grows, the visibility gets worse and worse and the depth of blind area increases.

Effects of Background Depth Information on the Judgment of Two-dimensional Shapes (배경 깊이정보가 이차원 자극의 형태 판단에 미치는 영향)

  • Kim, Young-Geun;Shin, Hyun-Jung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7 no.4
    • /
    • pp.287-301
    • /
    • 2006
  •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background depth information on the judgment of two-dimensional shapes, using the Posner et al.'s(1969) physical match task. In both experiments, the focus was on whether the background depth information affects the decisions of physical shape sameness of two letters or figures presented successively. In Experiment 1, artificially constructed rues of linear perspective and texture gradient were used, whereas cues contained in a real road situation were used in Experiment 2. The results of both experiments showed that the depth cues affect the perception of two-dimensional shapes. That is, when two stimuli of the same physical shape were likely to be perceived differently due to the given depth cues, response accuracies('yet' in this case) decreased and reaction tines of physical match increased. And when two stimuli of the different physical shape were likely to be perceived the same due to the given depth cues, response accuracies('no' in this case) decreased and reaction times of physical match increased likewise. These results wert discussed in terms of some conceptual methodological problems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shape constanc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 PDF

Exploring Social Issues of On-demand Delivery Platform Participants (뉴스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배달 플랫폼 참여자의 사회적 이슈 분석)

  • Park, Soo Kyung;Lee, Hyeon June;Lee, Bong Gyo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7
    • /
    • pp.79-85
    • /
    • 2021
  • After COVID-19, the number of individuals participating in delivery platforms has increased. They are using the participation of the delivery platform as a means of creating a new source of income as well as a means of sports and hobbies.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a social phenomenon called 'N-jober'. However, there are still few studies examining this phenomeno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individual participation in delivery platforms and their issues. Text mining was performed on news data from January 2019, when COVID-19 started. As a result, social issues related to the increase in individual participation in delivery platforms were derived into 5 topics(Introduction to the Phenomenon,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Participant's Income and Fees, Characteristics as a Job, Concern about Potential Risk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panded the perspective of academic discussion on delivery platform business to individual participants.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Landscape Type for Urban Landscape Planning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경관유형 분류기준에 관한 고찰)

  • Bang, Jae-Sung;Yang, Byoung-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2
    • /
    • pp.78-8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fundamental data for the classification of landscape type as a base for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practices. To do this, prior dissertations and landscape plan reports were analyzed, which presente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landscape type.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criteria for landscape type which could be usable in zoning ordinances has been suggest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n landscape analysis and assessment study based on ecological and formal aesthetic models, landscape type is classified by the character of the landscape element. Secondly, there is no logical classification of landscapetype in urban landscape planning according to mixed use of landscape type for analysis and planning. It is therefore difficult to identify the object of landscape planning, which is intimately linked with the shortage of concrete practice for landscape management. In connection with this issu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landscape type are suggested based on utility in landscape planning. This could be divided into internal criteria and external criteria. The former are land-us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the view object, and landscape elements while the latter are viewpoint, distance to view object, and urban form. Applying the landscape type classified by the criteria suggested in this paper, it is possible to manage an entire urban area. In addition, landscape type could be reference data for operating a zon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