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Stand Growth on Viewshed Analysis Using GIS

임분의 생장효과가 GIS 응용 가시권 분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Jang, Kwang-Min (Dep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ong, Jung-Eun (Dep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eol, A-Ra (Dep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n, Hee (Dep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ung, Joo-Sang (Dep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장광민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 송정은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 설아라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 한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 정주상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Received : 2010.03.09
  • Accepted : 2010.04.22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tand height growth on GIS-based viewshed analysis were investigated. DSM was created by combining stand height layers on DEM using map algebra functions. In developing the tree height layers, the digital forest-type maps, forest site maps and stand yield tables of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were used. The time horizon for viewshed analysis were 40 years. Two viewpoints in crossings of downtown for viewshed analyses were chosen using a projective mapping technique. The effects of tree height growth over time on visibility were measured in terms of the depth of blind areas and the area of visible regions. The results of viewshed analyses show that 17% of visible regions is reduced when we use DSM instead of DEM. As the tree height grows, the visibility gets worse and worse and the depth of blind area increases.

본 연구에서는 임분의 수고생장이 GIS기반의 가시권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악산 지역을 대상으로 수치표고모델(DEM)과 임분수고 주제도의 지도대수분석을 통해 수치표면모델(DSM)을 구축하였다. 임분의 수고주제도는 산림과학원에서 구축한 임상도, 입지도 및 수확표를 이용하여 작성하였으며, 분석기간은 40년으로 하였다. 또한 투시도면화기법을 적용하여 시가지 사거리에 위치한 2개의 조망점을 추출하고, 각 조망점에서 가시권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현 시점에서의 가시지역 면적은 DSM을 적용하는 경우 DEM을 적용하는 경우에 비해 약 1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임분 수고가 생장하면서 가시권역이 줄어들고, 비가시권의 깊이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균. 1995. 도시주변 산의 경관보전 및 관리를 위한 GIS의 이용. 한국 GIS 학회지 13(2):128-129.
  2. 박영규, 전준헌, 노혜정, 권순덕. 2009.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한 친환경적 건축물 높이 예측 프로그램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3):35-44.
  3. 산림청. 2009. 산지관리법. 산지전용허가기준의 범위와 사업별.규모별 세부기준. http://www.law.go.kr/.
  4. 신지훈. 1995.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물리적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생태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58-59쪽.
  5. 이종성. 2006. GIS를 이용한 경관민감도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5(11):1069-1075.
  6. 이병두, 정주상. 2000. GIS를 이용한 환경친화적 임도 노선 선정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89(3):431-439.
  7. 이희선, 이규석. 1995. 계룡산 국립공원 동학사 제2집단시설지구의 위치선정평가 및 대안비교. 환경영향평가 4(2):29-37.
  8. 이상복, 이승엽, 하재명. 2009. 불가시심도의 설계 및 구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3):66-75.
  9. 조용호, 곽성남. 2007. GIS 공간분석과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조망점 위치결정방법 모델링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9(2):35-45.
  10. 최기만, 이춘석, 임승빈. 1997. GIS를 이용한 가시권정보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제주 산방산 지역 사례연구. 한국환경학회지 25(2):31-42.
  11. 한갑수. 2003. 수치표고모델과 토지이용 데이터를 이용한 광역 도시경관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강원도 춘천시를 사례로. 한국환경과학회지 12(19):1025-1032.
  12. 환경부. 2009. 환경영향평가법. http://eiass.go.kr/ ETC/A2/ebook02.html.
  13. Dean, D.J. 1997. Improving the accuracy of forest viewsheds using triangulated networks and the visual permeability method.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7(7):969-977. https://doi.org/10.1139/x97-062
  14. Fels. J.E. 1992. Viewshed simulation and analysis : an interactive approach. URISA Proceeding : 265-266, 273-274.
  15. Llobera, M. 2003. Extending GIS-based visual analysis : the concept of visualscapes. International Journal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17(1):25-48. https://doi.org/10.1080/713811741
  16. Maloy, M.A. and D.J. Dean. 2001. An Accuracy Assessment of Various G IS-Based Viewshed Delineation Technique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7(11):1293 - 1298.

Cited by

  1. 명승 문화재의 경관자원 발굴을 위한 조망지점 분석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명승 제59호)을 중심으로- vol.13, pp.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