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류농도

Search Result 695, Processing Time 0.04 seconds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in water cavitation peening for Al bronze in distilled water (동합금 Water cavitation peening에 의한 전기화학적 특성 연구)

  • Kim, Seong-Jong;Park, Jae-Cheol;Kim, Min-Seong;Han,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5a
    • /
    • pp.79-79
    • /
    • 2011
  • water cavitation peening(WCP)은 water jet 과정으로 인한 cavitation이 발생할 때, 금속표면 cavitation 현상에 의해 재료표면의 잔류응력과 경도 등의 물성을 변화시키게 되며, 그로 인해 생긴 잔류 응력으로 재료의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최근에는 water jet을 이용한 장치들이 건설 분야, 일반기계분야, 컷팅 공정, 분쇄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사용되고있다. 그러나 water jet을 이용한 peening은 소개 된지 20여년이 경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 및 개발 내용은 shot peening에 비해 아직 초기 단계이다. water cavitation peening은 기존의 피닝 방법의 단점을 보완 할 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그 가치가 크다. 아직은 다른 peening 기법 보다 잔류압축응력 부가 측면에서 그 효과가 떨어지지만, water cavitation peening은 열에 영향을 받는 영역이 생성되지 않으며, 기계의 표면 가공을 하는 동안 어떤 미세한 먼지도 생성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또한 복잡한 외형을 가지는 부품 및 내면에 적용성이 뛰어나고, 표면 정밀도 저하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류발전용 블레이드의 재료로 사용하려는 동합금에 대하여 증류수 내에서 water cavitation peening 시간, 거리, 파형 등의 변수를 적용하여 최적 조건을 찾고, 다양한 전기화학적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water cavitation peening 부의 부식특성을 평가 하였다. ASTM-G32 규정에 의거하여 압전효과를 용한 진동발생 장치(RB 111-CE)를 이용하여 동합금 표면에 water cavitation peening을 실시하고, 실험 후 표면의 손상거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3D현미경 및 전자주사현미경(SEM)을 사용하였다. 물성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SHIMADZU사의 HVM-2 Model의 비커스 경도기를 이용하여 표면 경도값을 측정하였다. 전기화학실험은 각 3회 이상 실시하였으며, Tafel 분석결과로 부식전류밀도와 부식전위의 평균, 부식전위를 알 수 있었고, 음분극 실험결과, 용존산소 환원반응에 의한 농도분극에서 수소가스발생에 의한 활성화 분극으로 진행되는 변곡점을 확일 할 수 있었다.

  • PDF

Organic Carbon Budget during Rainy and Dry Period in Paldang Reservoir (강우기 및 평수기의 팔당호 유기물 수지산정)

  • Lee, U-Hee;Jung, Dong-Il;Park, Hae-Kyu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7 no.3 s.108
    • /
    • pp.272-281
    • /
    • 2004
  • The Primary production and budget of organic carbon at rainy and dry period was surveyed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primary production in Paldang Reservoir.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depending on sampling dates and sites, ranged from 110 to 2,701 mgC $m^{-2}day^{-1}$. In the rainy period of April and August when there had been frequent rainfall resulting short hydraulic retention time and low algal biomass in Paldang Reservoir, autochthonous organic carbon occupied very low ratio, farming approximately 7 percent of total inflow of organic carbon. However in June when it almost never rained and dominant algal species changed from diatoms to green algae and small flagellates, autochthonous organic carbon from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formed 29 percent of total inflow of organic carbon.

An approach to predict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sediment - cohesive sediment (유사의 입경분포 모의를 위한 방안 연구 - 점착성 유사의 경우)

  • Son, Minwoo;Byun, Jisun;Park, Byeoung 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88-288
    • /
    • 2018
  • 점착성 유사는 응집 현상을 겪는 유사로, 응집 현상(Flocculation Process)는 응집 과정(Aggregation Process)와 파괴 과정(Breakup Process)의 경쟁으로 이루어진다고 여겨진다. 응집 현상을 통해 점착성 유사는 물과 점착성을 띠는 작은 입자들의 덩어리인 플럭(Floc)을 형성하여 흐름 내에서는 대부분이 플럭의 형태로 이동한다. 점착성 유사의 응집 모형 중 하나인 플럭 성장모형(Floc Growth Model, FGM)은 상미분 방정식으로 시간에 따른 플럭의 크기를 계산하는 모형이다. 응집과 파괴의 평형 상태에서 평균 입경을 얻는다. 이러한 FGM은 낮은 수치 계산 비용으로 합리적인 계산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유사 이동 모형 혹은 흐름 모형과의 결합이 수월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닫힌 계(Closed System)에서 질량이 보존되는 특징이 있다. 반면, 결정론적인 특성을 띠면서 특정 플럭 크기만을 계산하기 때문에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 결정론적 특성을 띠는 FGM에 추계학적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특정 확률 분포형을 가지는 플럭의 입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추계학적 FGM과 유사 이동 모형의 결합을 통해 변화하는 유수동역학적 조건에서 플럭의 입도 분포를 산정하고자 한다. 이전의 많은 실험실 실험 결과들은 부유가 발생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행되는 것으로, 특정 난류 특성(난류 소산 매개변수)와 특정 유사 농도 조건에서의 입도 분포를 얻는다. 그러나 하구부 및 하천의 하류는 조류의 영향을 받는 구간으로, 점착성 유사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유수동역학적 특성에 관한 고려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결합된 점착성 유사 입도 분포 모형은 플럭의 침강과 재부유를 고려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며, 실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입도 분포를 합리적으로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점착성 유사 입도 분포 모형은 나아가 비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 모형과의 결합을 통해 두 종류의 유사가 혼재하는 구간에서도 합리적인 입도분포와 유사의 이동을 모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 PDF

Spatial-Temporal Characteristics for Non-degradable materials in Dongjin Watershed (동진강수계 난분해성 물질의 시공간적 거통 특성 분석 연구)

  • Kim, Se Min;Kim, kyung Oh;Park, You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24-424
    • /
    • 2019
  • 수질오염 저감을 위한 유기물질의 처리를 위해 생물학적 처리에 중점을 둔 하 폐수 처리시설의 증가에 따라 BOD로 대표되는 생분해성 유기물질은 꾸준히 감소하였으나, COD농도의 경우 뚜렷한 감소를 보이지 않고 있다. 유기물질 중 특히 난분해성 물질의 증가는 상수원으로 사용되는 하천의 경우 조류 증식 등을 유발하고 여과공정에 영향을 미쳐 상수처리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등의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기존 BOD, COD로 대표되는 유기물질의 경우 각 유기물질별 상관관계 및 유출특성 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난분해성 물질에 대한 조사는 상대적으로 미진한 실정이다. 특히 동진강수계는 '새만금 제2단계 수질개선종합대책' 등 장기적인 수질개선 대책들이 추진되면서 하천의 BOD5 및 TP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COD는 개선되지 않고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동진강의 말단부의 경우 COD/BOD5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상대적으로 난분해성 유기물질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COD 및 COD/BOD5의 증가 추세는 국내 4대강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추세로서, 정부는 2013년부터 하천 및 호소의 생활환경기준에 TOC 항목을 도입하여 2016년부터 호소환경기준의 대표항목을 COD에서 TOC로 대체하였으며, 폐수배출시설에 대해서도 점차적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으로, 난분해성물질을 포함하는 총유기물질 관리를 위해서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에서 유기물질에 대한 환경기준을 BOD5와 COD에서 TOC로 변경하는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 유역의 본류 및 지류에서 TOC등 유기물질의 시공간적인 분포와 오염원별 배출특성을 현장조사를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시기는 건기시, 강우시로 구분하여 수행하였으며 조사항목은 일반수질항목, 유기물질 항목, 유기물질 성상 분석 등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난분해성물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확보를 통하여 새만금호의 수질개선 및 목표수질 달성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Machine Learning Models for Red Tide Detection (적조 탐지를 위한 기계학습 모델 비교 연구)

  • Park, Mi-So;Kim, Na-Kyeong;Kim, Bo-Ram;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6
    • /
    • pp.1363-1372
    • /
    • 2021
  • Red tide, defined as the major reproduction of harmful birds, ha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generated and diffused in a wide area. This has limitations in detection only with the existing investigation method. Therefore, in this study, red tide was detected using a remote sensing technique.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detection by using optical characteristics, not just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Red tide mainly occurs on the southern coast where sea signals are complex, and the main red tide control species on the southern coast is Cochlodinium polykirkoides.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secure objectivity by reflecting features that could not be found depending on the researcher's observation and experience, not limited to visual judgment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n this study, support background machines and random forest were used among machine learning models, and as a result of calculating accuracy as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two models, the accuracy was 85.7% and 80.2%, respectively.

Monitoring o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agricultural reservoir during summer (여름철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시공간적 특성 모니터링)

  • Kim, Ui Seok;Byeon, Sang Don;Park, Tae Seon;Nam, Chang Dong;Hong, Eun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75-175
    • /
    • 2021
  • 농업용 저수지는 양질의 농업용수를 저장하여 알맞은 시기에 적절하게 급수하기 위한 필수적인 시설로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 농업용수의 용도가 점차 확장되면서 농산물의 품질에 필요한 관개용수의 수질뿐만 아니라 인근 하천과 생태계의 환경유지용량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규모가 작거나 환경적 보전가치가 없어 조사 대상에서 제외되는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는 측정 및 조사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모니터링을 통해 시공간적인 수질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조사유역은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에 위치한 반곡저수지로 선정하였고, 2020년 7월에서 10월까지 8회에 걸쳐 상부와 하부지점에서 총 7개의 수질항목 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간적인 특성분포 파악을 위해 총 13지점에서 수질 관측 지점별로 7개의 수질항목에 대해 Spearma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결과, 반곡저수지는 호소 생활환경기준과 OECD 부영양화 기준으로 과영양상태에 도달하였다. 집중적 강우로 인해 희석효과가 발생하여 수질항목 간의 경향성이 저하되어 정확한 분석은 어려웠지만 Chl-a와 T-P, DO와 pH 간의 유의함이 나타났으며, Chl-a와 T-P의 TSIKO 상호편차가 양의 값을 나타내며 다량의 인과 함께 조류가 성장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고 있었다. 공간적 특성분포는 저수지의 상부지점에서 농도가 높은 경향이 나타났으며 강우 시 인근 농경지와 축산시설에 적치된 축산분뇨의 호 내 유입과 얕은 수심으로 바람에 의한 수직혼합이 영양물질을 용출시켜 부영양화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곡저수지 상부에 녹조제거제 투입 및 저감시설이 필요하며,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 수질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 Analysis of the 3D Spatial Distribution of Flow rate and Water Quality Convergence Monitoring Results in Rivers (하천에서의 수리·수질 복합 모니터링 결과의 3차원 공간분포 해석연구)

  • Lee, Chang Hyun;Kim, Kyung Dong;Ryu, Si Wan;Kim, Dong Su;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8-18
    • /
    • 2022
  • 하천 합류부에 있어 수체의 혼합양상을 분석은 고해상도의 자료가 필요하다. 반면에 수질환경 문제와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이 고정된 측정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천 전체의 정보는 저해상도의 결과값은 나타낸다. 또한, 많은 수중 환경 문제가 1차원에서 3차원에 걸쳐 있지만, 대부분의 관측 시스템은 1차원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발전된 관찰 및 계측이 필요하다. 그에 따른 고해상도의 측정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측정자가부담을 많이 가지며, 측정할 수 있는 영역이나 시간적으로 제한적이다. 해상도는 낮추되 광범위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보간법이 선정되어야 한다. 관련 논문을 검토한 결과, 측정 결과에 따른 2차원 횡단면 분포의 내용이 지배적이었고, 3차원 매핑 및 3차원 분석을 통한 수리학적 정보 획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였다. 특히 3차원 하천 수질 농도의 연구가 불충분했다. 그에 따라 저해상도 측정결과에서의 예측과 보간법에 대한 시각화를 통해 하천의 전체적인 수리·수질정보를 표기하였다. 각각의 보간법을 비교함으로써 하천 매핑에 있어 IDW, Natual Neighbor, Kriging 기법을 적용하여 시각화된 자료와 정량적 평가를 통해 하천매핑의 정밀성을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3차원화된 공간보간 자료를 이용한 하천합류부의 혼합양상을 해석하였다.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측정 및 모니터링 기술의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되며, 이러한 데이터는 유해물질 저감 기술 및 평가 예측 기술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고 있다. 유해화학물질 추정, 호수의 고위험 조류군 계층분석 등 다양한 수생건강 진단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armful Cyanobacterial Density and Phycocyanin Concentration at Recreational Sites in Nakdong River (낙동강 친수활동구간 유해 남조류 분포와 피코시아닌(Phycocyanin) 농도 상관성에 관한 연구)

  • Hyo-Jin Kim;Min-Kyeong Ki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39 no.6
    • /
    • pp.451-464
    • /
    • 2023
  • Harmful cyanobacterial monitoring is time-consuming and requires skilled professionals. Recently, Phycocyanin, the accessory pigment unique to freshwater cyanobacteria, has been proposed as an indicator for the presence of cyanobacteria, with the advantage of rapid and simple measure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armful cyanobacterial cell density and the concentration of phycocyanin and to consider how to use the real-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lgae bloom monitoring. In the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Microcystis spp. showed maximum cell density (99 %) in harmful cyanobacteria (four target genera).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phycocyanin(measured in the laboratory) concentrations and harmful cyanobacterial cell density was observed (r = 0.90, p < 0.001), while a weaker relationship (r = 0.65, p < 0.001) resulted between chlorophyll a concentration and harmful cyanobacterial cell densit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hycocyanin concentration (measured in submersible fluorescence sensor) and harmful cyanobacterial cell density, the error range increased as the number of cyanobacteria cells increased. Before opening the estuary bank, the diurnal variations of phycocyanin concentrations did not mix by depth, and in the case of the surface layer, a pattern of increase and decrease over time was shown. This study is the result of analysis when Microcystis spp. is dominant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in summer,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armful cyanobacteria density and phycocyanin concentrations should be more generalized through spatio-temporal expansion.

Induction of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in Human Cancer Cells by a Brown Algae Extract (갈조류 추출물에 의한 인간 암세포 성장 억제 및 세포 사멸 유도)

  • Choo, Kang-Sik;Lee, Hae-Nim;Shin, Seong-Ah;Kim, Hyeong-Jin;Park, Young-Seok;Kim, Sang-Ki;Jung, Ji-Yo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6 no.5
    • /
    • pp.555-562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ndaria pinnatifida (UP), Petalonia binghamiae (PB) and Punctaria latifolia (PL) extracts on the inhibition of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human gastric and breast cancer cells. AGS, MDA-MB-231 and SK-BR-3 cells were treated with 0, 50, 100, and 200 μg/ml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s to determine their anti-proliferative effects, using the MTT assay. The UP, PB and PL extracts inhibited proliferation of AGS, MDA-MB-231 and SK-BR-3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PL extract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DAPI staining was also performed to determine changes in the cell nucleus. Further, the AGS, MDA-MB-231 and SK-BR-3 cells were treated with 0, 50, 100, and 200 μg/ml of only the PL extract. DAPI staining showed increased chromatin condensation, which is indicative of apoptosis, in the 200 μg/ml group. The expression of the Bax, Bcl-2, and PARP proteins in AGS, MDA-MB-231 and SK-BR-3 cells treated with the PL extract was also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expression of Bax (a pro-apoptotic protein) and cleaved-PARP was increased, whereas the expression of Bcl-2 (an anti-apoptotic protein) was de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L extract may have potential as an alternative anticancer drug and nutraceutical.

Regrowth Ability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in International Commercial Ship's Ballast Water Berthed at Pusan and Daesan Ports (부산과 대산항에서 선박평형수에 유입된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재성장능력)

  • Baek, Seung-Ho;Jang, Min-Chul;Shin, Kyoung-Soo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6 no.2
    • /
    • pp.106-115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ortance of ballast water discharge as a vector for the introduction of exotic species into Pusan and Daesan Ports, Korea. We also examined to understand the impa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urvival success of introduced species by ship's ballast water in laboratory experiments. Seven ship's ballast water originated from the coastal water of China (Taicang, Ningbo and Jinshan), Japan (Tokuyama, Moji and Akita), and Singapore. According to PCA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alysis, environmental factor in the each ballast and shipside waters were different by bioregion. Based on cluster analysis,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s were distinguished for ballast water origin. Most of the major taxonomic groups were diatoms and, the others were dinoflagellate, silcoflagellate and several fresh-waters species. In particular, species number and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in the ballast tanks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age ofballast water(r = -0.35 for standing crop; r = -0.63 for species number). In the laboratory study, although phytoplankton in ballast water treatment did not survive even in optimal temperature, the in vivo fluorescence of phytoplankton viability increased under the nutrient typical of shipside water and F/2 medium at $15^{\circ}C$ and $20^{\circ}C$. The diatoms species such as Skeletonema costatum and Thalassiosira pseudonana in ballast water were successfully regrown. On the salinity gradient experiments for Shui Shan (2) vessel, several freshwater species, brackish and marine species were successfully adapted. Of these, S.costatum was able to tolerate a wide range of salinities (10 to 30 psu) and its species-specific viability was suitable for colo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