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ganic Carbon Budget during Rainy and Dry Period in Paldang Reservoir

강우기 및 평수기의 팔당호 유기물 수지산정

  • 이유희 (국립환경연구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 정동일 (국립환경연구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 박혜경 (국립환경연구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Published : 2004.09.30

Abstract

The Primary production and budget of organic carbon at rainy and dry period was surveyed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primary production in Paldang Reservoir.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depending on sampling dates and sites, ranged from 110 to 2,701 mgC $m^{-2}day^{-1}$. In the rainy period of April and August when there had been frequent rainfall resulting short hydraulic retention time and low algal biomass in Paldang Reservoir, autochthonous organic carbon occupied very low ratio, farming approximately 7 percent of total inflow of organic carbon. However in June when it almost never rained and dominant algal species changed from diatoms to green algae and small flagellates, autochthonous organic carbon from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formed 29 percent of total inflow of organic carbon.

팔당호의 유기물 수지 산정을 위해 팔당호내 일차생산력을 측정하고 유입하천의 유입유기물량 및 방류유기물량을 측정하여 유기물부하에서 내부생성유기물의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일차생산력은 지점과 시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 3회 조사결과 $101{\sim}2701\;mgC\;m^{-2}day{-1}$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체류시간이 길고, 수체내 클로로필 a농도가 높았던 6월에 모든 지점에서 높은 생산력을 보였다. 빈번한 강우로 체류시간이 짧고 조류현존량이 적었던 4월과 8월의 조사에서는 총 유기물유입량에서 내부생성유기물량은 약 7%를 차지하였고 이중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내부생산기여도는 약 5%로 매우 낮았다. 그러나 조사일 전후로 강우가 없어 수체가 안정되었고 외부유입유기물량이 적었던 6월 조사에서는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내부생산 기여도가 29.0%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동수, 정원화, 전선옥. 1999. 생활형 및 생육환경에 따른 대형수생식물의 생산성과 영양물질 제거, 한국육수학회지 32: 216-228
  2. 김동섭, 김범철, 황길순, 박주현. 1995. 팔당호의 부영양화 경향(1998-1994),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1: 295-302
  3. 김동섭, 김범철. 1990. 팔당호의 일차생산, 한국육수학회지 23: 167-179
  4. 김범철, 김동섭, 황길순, 최광순, 허우명, 박원규. 1996. 부영양한 낙동강수계에서 유기물오염에 대한 조류 1차 생산의 기여도, 한국조류학회지 11: 213-237
  5. 김범철, 황길순, 김동섭. 1999. 소양호의 1차생산과 유기탄소수지, 한국육수학회지 32: 200-206
  6. 남궁현, 김범철, 황길순, 최광순, 김철구. 2001. 식물플랑크톤의 세포외배출유기물을 고려한 소양호의 1차생산과 유기물 부하, 한국육수학회지 34: 166-174
  7. 박혜경, 정원화. 2003. 팔당호의 장기간 식물플랑크톤 발생 추이, 한국물환경학회지 19: 673-684
  8. 정영호 1968. 國 鑑제 9 권 편. 아카데미출판사
  9. 황길순 1996. 소향호의 1차생산력과 부영양화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황길순, 김동섭, 허우명, 김범철. 1994. 대청호의 일차생산과 가두리양어장 및 유역으로부터의 유기물부하량, 한국육수학회지 27: 299-306
  11. 환경부. 1997.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12. 廣 , 高 1981. 鑑, 內
  13. Fisher, S.G. and G.E. Linkens. 1977. Energy flow in Bear Brook, New Hampshire; An integrative approach to stream ecosystem metabolism, Eco. Monogr. 43: 421-439
  14. Ichimura S. and Y. Aruga. 1964. Photosyntheic natures of natural algal communities in Japanese waters. In Recent Researches in the Fields of Hydrosphere, Atmosphere and Nuclear Geochemistry. Eds. Y. Miyake and T. Koyoma, Marusen, Tokyo. p. 13-37
  15. Kim, B. 1987. An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LakeSoyang.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6. Kim, B.C. and D.S. Kim. 1989. Primary productivity measurement by photosynthesis-irradiance model method in Lake Soyang and the behavoir of model parameters. Kor. J. Limnol. 22: 167-177
  17. Kom?ek J. 1991. A review of water-bloom forming Microcystis species with regard to populations from Japan. Archiv Hydrobiologie, Suppl. Bd. 92, Algological Studies, 64: 115-127
  18. OECD, 1982. Eutrophication of waters-monitoring, assessment and control, OECD, p. 154
  19. Platt T., C.L. Gallegos and W.b. Harrison. 1980. Photoinhibition of photosynthesis in natural assemblage of marine phytoplankton. J. Mar. Res. 38: 687-701
  20. Reynolds C.S. 1982. Phytoplankton periodicity : its motivation mechanisms and manipulations. 50th Ann. Rep. Feshwat. Biol. Assn., Windermere UK, pp. 60-75
  21. Welch E.B. 1984. Lake restoration results, (Ecosystems of the world 23, Lakes and reservoirs, ed. Tamb F.B. 643pp.), p. 557-571, Elsevier
  22. Wetzel R.G., P.H. Rich, M.C. Miller and H.L. Allen. 1972. Metabolism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detrital carbon in a temperate hard-water lake. IBP-UNESCO Smposium. Mem. 1st Ital Idrobiol. 29 Suppl., 185-243
  23. Wetzel R.G. 1983. Limnology. W.B. Saunders, p. 743. Philadelphia (Manuscript received 28 January 2004, Revision accepted 5 July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