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류관측

Search Result 24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Development of Remote Bird Observation System Using FMCW RADAR (FMCW 레이더를 이용한 원격 조류(鳥類) 관측 시스템 개발)

  • Lee, Hee-Yong;Hwang, Hun-Gyu;Choi, Myung-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7 no.3
    • /
    • pp.247-256
    • /
    • 2014
  • Recently, camera and RADAR are used for more effective and accurate observation of the bird migration.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s on the bird migration using RADAR are undertaking and in active, thus causes the advent of "RADAR ornithology" as a new academic field. Due to the lack of accessi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mobility of weather RADAR, airport searching RADAR and tracking RADAR, Nowadays, a marine RADAR is widely used for a bird observation. In this paper, we deals with a study on development of a remote bird observation system using marine FMCW RADAR, which monitors, records and analyzes bird movement by RADAR image processing and target recognition technology. Also, we conduct first test and second test for availability of the developed system, and verify the system to apply in bird observation domain. Consequently, we figured problems out, and correct the problems to improve the system. The developed system can apply in other domains such as environment evaluation. In the future, the system needs to improve accuracy of statistics and to track migration route of bird.

명량수도 조류관측시스템 설계 및 구축에 관한 고찰

  • Kim, Seong-Jun;Kim, Hak-Seok;Kim, Mu-Geon;Lee, Hyeong-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167-169
    • /
    • 2017
  • 명량수도 조류신호표지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시공 전 단계에서 해양조사 및 수치모델링을 통한 최적위치를 선정하고, 센서 설치구조안정성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파일, 싱커, 앵커방식, 센서 보호 구조물 등을 반영한 관측시스템 설계와 시공을 수행하였다. 관리자 인터페이스 및 자료관리를 위한 운용 소프트웨어와 연계하여 명량수도를 대표할 수 있는 조류정보(유향, 유속, 유속의 경향)를 항해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통항 선박의 안전운항을 확보할 수 있다.

  • PDF

장죽수도 조류관측시스템 구축 후 고찰

  • Lee, Hyeong-Ui;Kim, Mu-Geon;Jang, In-Gwon;Jeong, Yeon-Deuk;Kim, Cha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249-251
    • /
    • 2019
  • 장죽수도 조류신호표지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시공 전 단계에서 현장해양조사 및 수치모델링을 통한 최적위치를 선정하고 센서 설치 구조안전성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시공을 수행하였다. 관리자 인터페이스 및 자료 관리를 위한 운용 소프트웨어와 연계하여 장죽수도의 조류정보(유향, 유속, 유속의 경향)를 항해자에게 AIS 정보로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통항 선박의 안전운항을 확보하고, 또한 조류관측자료 분석을 통하여 실시간 정확한 조류정보와 예측 값을 반영하여 해양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 PDF

Water Quality and Algae Simulation for the Daecheong Reservoir by the CE-QUAL-W2 Model (CE-QUAL-W2 모형을 이용한 대청호의 수질 및 조류 모의)

  • Jung, Taehun;Kim, Jiyong;Kang, Taeuk;Park, Jo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90-290
    • /
    • 2019
  • 최근 우리나라 수자원 오염의 심각성에 관한 인식이 커지고 있으며, 수질 및 조류 관리의 필요성이 다양한 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초여름부터 장마 이전과 장마 이후부터 10월까지 호소의 영양 단계가 조류의 성장에 충분한 상태이기 때문에 남조류가 대량으로 증식된다. 하지만 기상 조건에 따라 조류의 발생 시기와 발생 정도는 매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조류를 포함한 수질 모의 모형은 현재의 상태에 대한 정확한 모사를 통해 수질 관리와 미래의 예측 등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복잡한 현상을 모형을 통해 재현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지역을 대상으로 CE-QUAL-W2 모형을 이용하여 2016년 1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수질 및 조류의 거동을 모의하였다. 금강의 지류 하천인 소옥천에 위치한 옥천천 측정소부터 대청호 내부의 대청댐5 구간을 상류 및 하류 경계로 설정하였고, 수질 및 조류의 모의를 위해 물환경 정보시스템과 실시간 수질 정보시스템의 관측자료 및 대청댐의 운영 자료, 기상청의 기상관측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형의 안정화(warm up) 기간을 고려하여 2015년 1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주요 수질 항목인 수온, 용존산소, 총 인, 총 질소, 클로로필-a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고, 연구대상 지역 내의 대청댐6 지점의 관측값과 모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온과 용존산소, 클로로필-a의 경우 모의 결과가 관측 값을 비교적 잘 모사하였지만, 총 인과 총 질소의 경우 자동 수질 측정지점의 값과 일반수질 측정 지점의 측정 방법의 차이로 인해 오차가 다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CE-QUAL-W2 모형을 이용한 수질 및 조류 모의에 관한 연구로서, CE-QUAL-W2 모형을 이용한 수질 및 조류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idal Currents In The Channel Near Incheon Harbour (인천항부근 수로의 조류)

  • Bong, Jong Hon
    • 한국해양학회지
    • /
    • v.13 no.1
    • /
    • pp.29-34
    • /
    • 1978
  • Simultaneous tidal current observation at five or seven stations on the channel near Incheon Habour was conducted at neap, mean and spring tides during the period of August 16 to August 27, 1976 and the characteristic of tidal currents with each tide was studied by the analysis of these data. Times of slack refer to the times of high and low waters at neap, mean and spring tides seem to be small. Times of maximum current refer to the times of high and low waters at the mean tide tends to appear earlier than that of the neap tide and later than that of the spring tide. The velocity ratio of maximum ebb current to maximum flood current at the mean tide has larger value than that of neap tide and has smaller value than that of spring tide. The current velocity ratio of spring tide to neap tide and to mean tide are approximately 1.8 and 1.3, respectively.

  • PDF

진도조류신호시스템 구축현황 및 조류정보 신뢰도 향상에 관한 연구

  • Kim, Seong-Jun;Kim, Mu-Geon;Lee, Hyeong-Ui;Kim, Hak-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00-102
    • /
    • 2018
  • 조석간만의 차가 크고 강한 조류가 흐르는 진도해역 명량수도 및 장죽수도 항로에 조류관측시스템과 대형 LED등기구 전광판을 설치하여 이용자에게 조류의 방향, 속도, 경향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조류신호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통항선박의 안전을 확보하고, 항로표지시설 인프라를 활용한 이용자 중심의 안전정보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제공하는 방법과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조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뢰도 향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부도조류센서 전용등부표 설치에 따른 조류정보 비교분석

  • 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163-166
    • /
    • 2017
  • 조석간만의 차가 크고 강한 조류가 흐르는 인천 부도해역 조류의 유향, 속도, 경향을 측정하여 이용자에게 신뢰성있고 안정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조류관측 전용등부표를 설치하였으며, 데이터 품질유지를 위해 전용등부표 설치 전 후 측정값을 비교분석한다.

  • PDF

1997년 하계 울산 근해의 조석과 조류

  • 김대현;이재철;김정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34-135
    • /
    • 2003
  • 한국 남동 해역은 대한해협을 통과한 대마난류가 연중 연안을 따라 북상하며 계절적인 변동과 함께 하계의 용승 현상 등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 지역에 대한 장기간의 해류 관측이 이루어진 일이 거의 없으며, 최근에 Jacobs et al. (2001)의 장기 관측에서도 유일하게 실패한 곳이 울산근해였다. 본 연구에서는 1997년 하계에 해류와 조석을 장기간 관측하여 조류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Analysis on the Sedimentary Environment and Microphytobenthos Distribution in the Geunso Bay Tidal Flat Using Remotely Sensed Data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근소만 갯벌 퇴적환경 및 저서미세조류 환경 분석)

  • Choi, Jong-Kuk;Ryu, Joo-Hyung;Eom, Jin-Ah;Roh, Seung-Mok;Noh, Jae-H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2 no.3
    • /
    • pp.67-78
    • /
    • 2010
  • Surface sedimentary facies and the change of microphytobenthos distribution in Geunso Bay tidal flat were monitored using remotely sensed data. Sediment distribution was analyzed along with the spectral reflectance based on the in situ data, and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microphytobenthos occupied was examined. A medium to low spatial resolution of satellite image was not suitable for the detection of the surface sediments changes in the study area due to its ambiguity in the sedimentary facies boundary, but the seasonal changes of microphytobenthos distribution could be obviously detected. However, area of predominance of sand grains and seagrass distribution could be distinctly identified from a high spatial resolution remote sensing image. From this, it is expected that KOMPSAT-2 satellite images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the study on the surface sedimentary facies and detailed ecological mapping in a tidal flat.

A Method for Improvement of Tide and Tidal Current Prediction Accuracy (조위 및 조류 예측 정확도의 개선 방법)

  • Jung, Tae-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3 no.4
    • /
    • pp.234-240
    • /
    • 2010
  • In order to predict coastal environmental changes caused by coastal development and effectively manage marine environment, the exact information about water level changes and hydrodynamic circulation is essential. However, mos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as been using only limited tidal constituents in the numerical tide model to predict the real tide and tidal currents caused by the synthesis of many other tidal constituents, which causes an error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this study, a method, which uses the limited tidal constituents at the offshore open boundaries and the observed tide at the inner or nearby point to predict the real tide in the model domain accurately, is suggested. Tidal and tidal currents predicted by the suggested method agreed well with the observ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