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기 경보 시스템

Search Result 17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alysis of the Active Volcano Monitoring Program of China (중국의 활화산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 Yun, Sung-Hyo;Chang, Cheolwoo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1
    • /
    • pp.95-106
    • /
    • 2016
  • The distribution of active volcanoes in China, overview of an active volcano monitoring of China, monitoring equipment status in China volcano observatory, and Changbaishan volcano observatory and volcano early warning system plan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Research on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The Next-Generation Integrated Forecasting And Alerting Platform (차세대 통합 예·경보 플랫폼을 위한 통합관제시스템 연구)

  • Ahn, Byung-Dug;Lee, Jae-Young;Park, Ki-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41-44
    • /
    • 2021
  • 현재 재난정보전달시스템은 재난 유형별, 유관기관(중앙부처, 지자체) 별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해당 시스템 간 연계가 미흡하여 통합적인 재난정보 확보와 적절한 조기 대응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경보 플랫폼과 상황전파 플랫폼 간 연계할 수 있는 통합 재난안전정보체계 및 통합플랫폼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재난 대응을 위해 전달되는 정보의 형태 및 전달되는 매체는 제한적이므로, 신속 정확하고 다양한 재난 정보 전달을 위해서는 새로운 방송 및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기반 재난정보 전달을 위한 표준 제정 및 시스템 고도화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ICT 기술과 멀티미디어를 지원하는 재난정보전달플랫폼에 대한 기술개발을 통해 기존 구축되어 있는 재난안전정보공유플랫폼 및 관련 재난안전정보시스템과 연계 가능하고 표준화된 다매체 기반의 멀티미디어 재난정보전달플랫폼을 개발함에 있어 차세대 통합 예·경보 플랫폼을 위한 통합관제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이는, 대국민을 대상으로 신속하고 안정적인 재난정보 전달을 실현하고 대관(재난관리기관)에 대한 재난현장정보 수집의 어려움 해소 및 현장 중심의 양방향 의사전달을 증대하여 다양하고 정확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전달을 수행한다.

  • PDF

Development of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 nearby Epicenter based on P-wave Multiple Detection (진원지 인근 지진 조기 경보를 위한 선착 P파 다중 탐지 시스템 개발)

  • Lee, Taehee;Noh, Jinseok;Hong, Seungseo;Kim, You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8 no.4
    • /
    • pp.107-114
    • /
    • 2019
  • In this paper, the P-wave multiple detection system for the fast and accurate earthquake early warning nearby the epicenter was developed. The developed systems were installed in five selected public buildings for the validation. During the monitoring, a magnitude 2.3 earthquake occurred in Pohang on 26 September 2019. P-wave initial detection algorithms were operated in three out of four systems installed in Pohang area and recorded as seismic events. At the nearest station, 5.5 km from the epicenter, P-wave signal was detected 1.2 seconds after the earthquake, and S-wave was reached 1.02 seconds after the P-wave reached, providing some alarm time. The maximum accelerations recorded in three different stations were 6.28 gal, 6.1 gal, and 5.3 gal, respectively. The alarm algorithm did not work, due to the high threshold of the maximum ground acceleration (25.1 gal) to operate it. If continuous monitoring and analysis are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he developed system could use a highly effective earthquake warning system suitable for the domestic situation.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Early Warning System for Meteorological Hazards (기상위험 조기경보를 위한 웹기반 표출시스템 구현)

  • Kong, In Hak;Kim, Hong Joong;Oh, Jai Ho;Lee, Yang 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4
    • /
    • pp.21-28
    • /
    • 2016
  • Numeric weather prediction is important to prevent meteorological disasters such as heavy rain, heat wave, and cold wave.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rovides a realtime special weather report and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demonstrates information about 2-day warning of agricultural disasters for farms in a few regions. To improve the early warning systems for meteorological hazards, a nation-wide high-resolution dataset for weather prediction should be combined with web-based GI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web service prototype for early warning of meteorological hazards, which integrates web GIS technologies with a weather prediction database in a temporal resolution of 1 hour and a spatial resolution of 1 km. The spatially and temporally high-resolution dataset for meteorological hazards produced by downscaling of GME was serviced via a web GIS.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about current status of meteorological hazards,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the hourly dong-level forecasting of meteorologic hazards for upcoming seven days, such as heavy rain, heat wave, and cold wave. This system can be utilized as an operational information service for municipal governments in Korea by achieving the future work to improve the accuracy of numeric weather predictions and the preprocessing time for raster and vector dataset.

"위험관리 기반 침해사고 조기 대응 체계" 구축 사례

  • Kim, Jin-Seob
    • Review of KIISC
    • /
    • v.20 no.6
    • /
    • pp.73-87
    • /
    • 2010
  • 정신한은행은 '10년 1 월부터 6월까지 약 6개월 동안 "위험관리 기반의 침해사고 조기 대응체계 구축"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침해 시도 조기 탐지 및 대응을 위한 "침해사고 조기 경보 시스템" 및 "침해 사고 대응 프로세스 전산화"와 침해 사고의 사전 예방 강화를 위한 "정보시스템 상시 취약점 점검 체계"를 모두 하나의 프레임웍으로 묶어 통합 구축하였다. 신한은행은 이를 통해 내부망 및 인터넷 서비스망에 대해서 이마 알려진 네트웍 침입 패턴뿐만 아니라 네트웍 트래픽 전반에 대한 모니터링을 대폭 강화하여 기존 침입탐지 시스템이나 디도스 대응 시스템 등에서 탐지가 불가능했던 신종 침입 유형이나 소규모 디도스 공격 트래픽도 자동화된 탐지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탐지된 침입시도의 유행 및 위험 수준에 따라서 사전 정의된 침해사고 대응 프로세스를 통해, 정보보안 담당자가 관련 부서 및 경영진의 요구사항에 각각 최적화된 전용 상황 모니터링 화면을 공유하며 침해사고를 효과적으로 공동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정보시스템 전반에 대하여 상시 취약점 점검을 실시하고 그 점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정보시스템의 위험 수준에 따른 체계화된 대응 방안을 수립할 수 있게 되었다. 신한은행은 금번 구축된 시스템을 정보보안 영역 전반으로 확대하여 동일 프레임웍에서 위험관리 기반의 내부 정보 유출 체계를 구축하고, 향후 그룹사에도 확대 적용하여 전체 그룹사의 보안 수준을 제고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 * 금번 구축 사례에서 소개된 침해사고 조기 대응체계는 구축 완료 시점에 사내 명칭 공모를 통해 "Ageis"로 선정되었으며, 본 사례에서도 전체 시스템을 가리킬 때 Ageis로 지칭한다. Aegis는 그라스 신화에서 Zeus 신이 딸 Athena 신에게 주었다는 방패로서 보호, 후원, 지도 등의 뜻을 가지며, 이지스 또는 아이기스 라고 발음된다.

A Study on the Multimedia Disaster Information Contents for Disaster Response Service (재난대응 서비스 제공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 콘텐츠 연구)

  • Cho, Beom-Jun;Kwon, Ki Bong;Kim, Hyun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573-573
    • /
    • 2020
  •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국민 재난 예.경보시스템은 텍스트 및 음성으로만 재난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령자 및 외국인, 장애인들과 같이 재난상황 하에서의 사회적 약자에게는 재난대응을 위한 인지가 쉽지 않으며, 제한된 텍스트 정보로 인해 재난상황을 전달하기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매체를 통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포함된 재난정보에 관한 연구와 이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디지털사이니지 및 버스정보시스템과 더불어 최신 ICT 기술인 '5G', 'UHD'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를 수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고도의 인프라 기반이 마련되어 있어 현재보다 많은 재난정보를 전달하여 국민들로 하여금 신속.정확한 재난상황 인지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다매체에서 활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 콘텐츠는 행정안전부 '재난정보공동이용시스템'과 기상청 '지진조기경보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관측 및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생성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 콘텐츠는 '발생재난 종류'와 '재난발생 일시', '발생지역'과 같은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하여 지도기반 '재난발생 위치'와 '대피소 위치', '대응요령', '기타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재난 콘텐츠는 '경보'와 '후속 경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차이를 두어 상황에 맞게 인지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다만, 이러한 재난정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가능케하기 위해서는 현재와 같은 재난정보 전달체계와 더불어 웹서비스 및 양방향 방송망을 활용할 수 있는 전달체계가 확보되어 보다 신속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기반 기술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gro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 A Service Infrastructure for Climate-Smart Agriculture (농업기상 조기경보시스템 설계)

  • Yun, Jin 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 /
    • 2014.10a
    • /
    • pp.25-48
    • /
    • 2014
  • Increased frequency of climate extremes is another face of climate change confronted by humans, resulting in catastrophic losses in agriculture. While climate extremes take place on many scales, impacts are experienced locally and mitigation tools are a function of local conditions. To address this, agro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s must be place and location based, incorporating the climate, crop and land attributes at the appropriate scale. Existing services often lack site-specific information on adverse weather and countermeasures relevant to farming activities. Warnings on chronic long term effects of adverse weather or combined effects of two or more weather elements are seldom provided, either. This lecture discusses a field-specific early warning system implemented on a catchment scale agrometeorological service, by which volunteer farmers are provided with face-to-face disaster warnings along with relevant countermeasures. The products are based on core techniques such as scaling down of weather information to a field level and the crop specific risk assessment. Likelihood of a disaster is evaluated by the relative position of current risk on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from climatological normal year prepared for 840 catchments in South Korea. A validation study has begun with a 4-year plan for implementing an operational service in Seomjin River Basin, which accommodates over 60,000 farms and orchards. Diverse experience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ill certainly be useful in planning and developing the nation-wide disaster early warning system for agricultural sec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