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품관여도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8초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소비자 관여에 따른 의류제품 및 웹 서비스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Criteria of Evaluating Clothing and Web Service on Internet Shopping Mall Related to Consumer Involvement)

  • 이경훈;박재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747-1758
    • /
    • 2006
  •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새로운 시장환경인 인터넷 쇼핑몰의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인터넷 쇼핑몰은 소비자 관여와 같은 소비자 행동을 변화시켰고, 이에 따라 마케터들은 인터넷 상에서 소비자들이 의류제품을 구매할 때 중요시하는 제품 평가기준 및 점포 평가기준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소비자관여와 인터넷 사용능력에 따라 소비자 집단을 분류하여 인터넷 상에서 각 소비자 집단에 따른 의류제품 및 웹 서비스 평가기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제품 구매경험이 있으며, 수도권에 거주하는 $20\sim30$대 성인남녀로 판단표본 추출하였다. 설문지 방식을 사용해 자료를 수집, 총 30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소비자관여와 의류제품 평가기준 및 웹 서비스 평가기준을 측정하기 위한 변수들은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조사한 후 본 연구에 맞도록 재구성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요인분석, 일원분산분석,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소비자집단 유형은 소비자관여와 인터넷 사용능력을 기준으로 네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쇼핑몰 이용자의 소비자집단에 따른 의류제품 평가기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심미적, 품질성능적, 그리고 외재적 기준 모두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쇼핑몰 소비자집단 유형에 따른 웹 서비스 평가기준의 차이는 신뢰성, 제품관련, 거래 후 만족, 그리고 판촉/정책 기준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의류제품 및 웹 서비스 평가기준 모두에서 고관여고능력 집단과 고관여저능력 집단은 동질집단으로서 다른 집단에 비해 두 평가기준 모두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관여 소비자들은 인터넷 쇼핑 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요소들에 대해 크게 지각하고 있어 평가기준 모두를 중요시하므로, 인터넷 쇼핑몰은 고관여 소비자집단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의류제품을 구비하도록 해야 하며, 그들이 느끼는 위험요소를 찾아 없애는데 주력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신속 정확한 약속의 이행 등을 통해 쇼핑몰 업체의 이미지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고 거래 후에도 제품의 교환이나 반품 및 환불에 대해서도 끝까지 책임을 짐으로써 고객에게 만족을 주어야 한다.

모바일 쇼핑의 소비자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사용자 특성, 플로우 경험, 지각된 위험, 관여 유형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of Mobile Shopping - User Characteristics, Flow, Perceived Risk, Involvement -)

  • 송동효;강선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3호
    • /
    • pp.79-100
    • /
    • 2015
  • 본 연구는 모바일 쇼핑에서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행동 및 의사결정에 대한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모바일 소비자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문제인식, 정보탐색, 대안평가, 구매행동 단계로 구매의사결정과정을 정의하고 각 단계별 요인이 소비자 구매결정에 어떤 역할과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을 통해 모바일 쇼핑의 소비자 구매행동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보탐색의 사용자 특성은 플로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탐색 단계의 사용자 특성과 대안평가의 지각된 위험 관계에서 이익인지가 높을수록 시간손실에 대한 지각된 위험은 낮아지고 기술수준이 높으면 지각된 위험이 높아지며, 혁신성은 위험지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채택 되었다. 셋째, 플로우 경험과 구매의도 관계에서는 원거리존재감과 도전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흥분, 주의집중, 통제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적 유의하며, 지각된 위험과 구매의도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용적 관여와 감각적 관여의 관여 유형에 따라 소비자 구매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 특성과 플로우, 지각된 위험은 제품 유형에 따라 탐색과정에 차이가 있으며 구매의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했다.

  • PDF

성공적인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참여가 한국인이미지, 제품이미지, 구매의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uccessful Participation in Global Sport Events on the Korean Image, Product Image, Purchase Intention and Revisit Intention)

  • 김기탁;이완;김홍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449-456
    • /
    • 2011
  • 본 연구는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에 참여하여 얻은 성공적인 결과가 외국인이 인지하는 한국인이미지, 제품이미지, 구매의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모집단은 국내 대학에 재학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표본은 목적표집법을 통해 표집하였다.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AMOS 7.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 및 논의를 종합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스포츠이벤트에 참여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을 경우 외국인들이 인지하는 한국인이미지, 제품이미지, 구매의도 및 재방문 의도는 이벤트 개최 전에 비해 개최 후가 더 높다. 둘째,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에 참여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을 경우 피겨스케이팅에 대한 관여도가 외국인들이 인지하는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전 후의 한국인이미지, 제품이미지, 구매의도 및 재방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온라인 패션 구전에 따른 패션제품 관여와 인터넷 구매행동 (The Effect of Online Word-of-mouth on Fashion Involvement and Internet Purchase Behavior)

  • 송소진;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10-419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gment consumers by on-line word of month and to find the differences among the segmented groups in regard to fashion involvement, internet perceived risk, and internet purchase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emale consumers who were members of online cafe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October, 2004. The respondents returned the questionnaires through internet and 480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in the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es used for the study were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t-test, and $X^2-test$. The results showed that word-of·mouth communication on internet(e-WOM) is composed of two factors, word-of-mouth transmission and word-of-mouth acceptance. These two factors were put under cluster analysis and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f the word-of·mouth communication: WOM group and non-WOM group. T-test showed that word-of-mouth communication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gard to fashion involvement, internet perceived risk, and internet purchase behavior. For example, WOM group was more uncertain of their clothing choices, put more weight on the internal factors of clothing selection, and was a frequent purchaser of internet fashion products. Internet fashion business needs to implement the proper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소비자제품의 광고에 반영된 문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reflected on the Consumer Product Ads)

  • 김태희;전양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29-637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ffecting advertising contents of the consumer products. Hofstedes(1991) five cul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individualism-collectivism, power distance, masculinity-feminity, avoidance of uncertainty, confucian dynamism were used. Ten kinds of consumer products were includ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France, Japan, Korea, and U. S. during 1999∼2000. All ad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their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untry, product involvement and usage, and magazine type.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 correlation-coefficient were appli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First, most ads tended to be individual, less power oriented, feministic, and showed high tendency of uncertainty avoidance as well as long term confucianism for all the countries. And some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among countries. Japan, France, U. S. and Korea in order showed higher individualism and lower power distance. Also Korea and Japan showed relatively short term confucian culture while U. S. and France did ling term perspectives in the ads. Second, product involvement and usage typ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feminity-masculinity. That is, product ads of lower involvement and personal use were likely to show individualistic messages and to have more feministic appeals. Third, magazine type had an impact on some cultural characteristics. Womens magazines would have more individualistic, less power oriented, and feministic appeals of ads. In conclusion, global ads should be localized and differentiated in terms of som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differ depending on product characteristics.

  • PDF

패션상품의 광고에 나타난 문화적 특성과 소구유형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roduct Appeals Reflected on Fashion Ads)

  • 전양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1196-1204
    • /
    • 2002
  • This research was to see if the fashion product ads are standardized or differentiated, and to find what were the determinants if any differentiation exis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ultu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on marketing fashion produce. In additi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product appeals between rational and emotional in the fashion ads was examined. Hofstede's(l991) three cultural characteristics dimensions such as individualism-collectivism, power distance, masculinity-femininity were used. Content analysis was applied in the study. Magazine ads of apparel, cosmetics and accessories were collected from France, Japan, Korea and the US in 1999-2000.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ad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in terms of country, product type and product involvement. Also ten consumption appeals were examined for county and product type. ANOVA, Duncan test and $X^2$ test were appli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First, all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individualism-collectivism, power distance, and femininity-masculinity were different among countries. Second, two product appea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ountries. Hedonic appeals were dominant fur France and the US while those were not for Korea and Japan. Third, product involvement level had significant impact on power distance characteristic and product appeals. Ads of high involvement fashion goods showed larger power distance and more emotional appeals. In conclusion, global fashion ads should be differentiated in terms of som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roduct appeals.

제품관여도, 광고모델에 따른 소비자 태도차이 연구 (Differences in Attitude -Based on Advertising Model and Consumer Product Involvement-)

  • 이영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658-1670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advertising model and consumer product involvement. A total of 100 respondents in high involvement and 100 respondents in low involvement categories were exposed to the advertisements of a cosmetic brand using 4 different model types: celebrity endorser, expertise endorser, ordinary person as an endorser, and no endorser. The experiment was planned as $2{\times}4$ types including high/low involvement and 4 different model types (25 respondents each). After looking at an advertisement for 1 minute, respondents were asked to answer a survey measuring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6 hypotheses were support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involvement and low involvement group depending on the advertising models used as well as the advertisement that influence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sion. High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advertisement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n expertise endorser, but low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advertisement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 celebrity endorser. High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brand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n expertise endorser whereas low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brand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 celebrity endorser. High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highest purchase intention on an advertisement with an expertise endorser whereas low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no difference in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advertisement models. This study shows that marketers should differentiate advertising strategies based on consumer involvement.

브랜드원산지의 브랜드성과에 대한 영향에 있어 제품특성에 따른 차이 (Differences in Produc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Impact of Brand Origin on Brand Performance)

  • 김문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2호
    • /
    • pp.113-126
    • /
    • 2020
  • 본 연구는 브랜드원산지의 개념을 국가이미지, 제조능력이미지로 구분하여 이들 변수들의 브랜드신뢰 및 브랜드충성도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이에서 검증된 결과인 브랜드 원산지의 브랜드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가지고 제품별 차이점을 검증하는 것으로 논문을 마무리 하였다. 본 논문에서 나타난 구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브랜드원산지는 브랜드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브랜드충성도의 선행변수들에는 충분히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소비자의 제품구매나 선택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제품 속성에 대한 평가나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통해 선택에는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둘째, 제품특성별 브랜드 원산지 영향력의 차이는 매우 뚜렷하게 나타났다. 과거 연구들은 몇 가지 제품에 국한되어 범 제품적 테스트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그 실증력의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제품별을 포함시키고 실제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제품별 차이를 발견하려고 했다. 관여도와 자아일치성은 브랜드원산지가 브랜드성과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조절변수로 판단할 수 있는 결과가 제시되었다. 또한, 품질, 역사, 진정성 등에 관련된 인식 고저나 유무로 제품을 구분하여 제품특성을 구분하여 각 제품특성별 브랜드원산지의 역할을 본 결과 품질이 높다고 인식된 제품이 그리고 진실성이 높다고 인식된 제품이 브랜드원산지의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사는 브랜드원산지의 효과를 보여주지 못한 제품특성이었다.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 이용자의 광고 회의주의와 광고 회피 현상에 대한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dvertising Skepticism and Avoiding of Youtube Users based on Media Platform)

  • 선민재;김준석;나운봉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61-76
    • /
    • 2020
  • 미디어 환경이 급변하면서 온라인 광고 시장의 규모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성장세에 비해 소비자들의 온라인 광고에 대한 신뢰도는 기존 매체보다 매우 낮은 편이며 광고 회피 현상도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광고 회피의 요인에는 매체, 광고의 유형, 소비자의 특성 등이 있으며 그중에서도 소비자의 광고 회의주의에 대한 영향력이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큰 규모의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와 광고주에게 광고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광고 회의주의를 중심으로 광고 소구, 관여도, FCB Grid 이론을 적용했으며 소비자의 광고 회피를 낮출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Kobaco의 2차 자료를 활용했으며 연구 2에서는 1차 자료의 Process macro 조절 회귀분석을 통해 광고 회의주의가 광고 태도 형성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또, FCB Grid 모델에서 ANOVA 분석을 통해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에게 어떤 광고 유형이 긍정적인 광고 태도를 나타내는지 측정하였다. 연구 1의 결과 광고 회피도가 높은 소비자는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제품에 대한 태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지는 않았지만 연령이 높아지고, 온라인 동영상 시청시간이 낮아질수록 광고 회피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의 결과 감전전이 소구가 정보 소구보다 광고 태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 회의주의와 관여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관여도가 낮고, 감정전이 소구가 높은 상황일 때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의 광고 태도가 낮은 소비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FCB Grid 모델에서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은 저관여와 고관여 제품에서 감정전이 소구 방식의 광고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와 광고주들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광고 회피 현상의 요인인 광고 회의주의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며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광고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표 원산지와 생산 원산지의 일치성이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ngruity between Country-of -Origin of Brand and Country-of-Origin of Production on Consumers' Product Preference)

  • 황병일;김범종
    • 산학경영연구
    • /
    • 제15권
    • /
    • pp.133-15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원산지가 소비자의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소비자의 정보처리 관점에서 상표원산지와 생산원산지 정보의 일치성(congruity)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표는 같지만 국가를 달리한 제품을 사진으로 나타낸 실험자극을 개발하여 응답자에게 제시하고 제품의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제품은 관여도, 이성-감성, 사적-공적 개념 특성을 반영하여 녹음기, 스포츠화, 화장품, 휴지를 선정하였으며, 원산지로는 선진국(미국, 일본, 프랑스), 한국, 후진국(말레이시아)를 선정하였다. 원산지간 선호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변량 반복측정방법을 선택하였으며, 두 제품간의 선호도 차이를 위하여 paired-t 검증이 사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저관여이면서 사적 제품으로 판단되는 휴지를 제외하고 모든 제품에서 선진국 상표와 제품이 선호되었다. 즉, 다양한 제품특성을 반영한 제품군에서 원산지 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제품선호도에서 상표원산지와 생산원산지 간에 정보 일치성(congruity)에 차이가 있는 지를 규명하였는데 상표원산지와 생산원산지간에 정보일치성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보다 선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원산지의 정보 일치성이 제품선호도에 있어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제품특성의 반영과 정보 일치성으로 원산지효과를 이해하게 하는 데 기여하여 원산지효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여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