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책적 조정

Search Result 83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Government's R&D Budgeting Evaluation System in Korea (과학기술혁신체제 하에서의 국가연구개발 평가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 연구개발 예산평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 Bark, Pyeng-Mu;Lee, Ki-Jo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2 no.4
    • /
    • pp.819-839
    • /
    • 2009
  • Proposed increases to the government's R&D budget should be discussed based on merits of meet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criteria. The evaluation of the national R&D budget and related programs are performed in two areas: a system of R&D budget coordination and allocation, and a system of R&D program performance.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operational areas of R&D budget evaluation system with a focus on their impact to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The core view point for a R&D budget evaluation system involves two directions: Firstly, to detai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ater stage (ex. post) activities such as, program survey, analysis, and program performance evaluation, with the budget evaluation. Secondly, to critically oversee all R&D coordination procedures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Budgeting is generally known as a serial process of policy making, planning and executing. It is highly desirable for the budget to be allocated to, and spent by, specific programs as planned, and that each plan be aligned with a specific policy. As such, a strong relevance between the program structure and budget code system is integral to successful execution. It should be performed using a decision making system which closely examines the link between policy and budget. It is also recommended that systematic relationships be maintained among budget coordination and allocation, performance evaluations of policy and program levels, and program survey and analysis system, and that their operational schedule should be reviewed comprehensively as a one integrated system.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is expected to play a major and practical role as the center of policy planning and should be supported by the objective and unbiased system which covers overall process from policy making to program evaluation. Finally, increased utilization of contents, timely program survey and analysis, and accurate of activity scheduling of budget coordination and allocation, and diligent program performance evaluation all contribute towards a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overall evaluation system.

  • PDF

인터넷동향 및 정책적 대응

  • Hyeong, Tae-Geun
    • 정보화사회
    • /
    • s.123
    • /
    • pp.14-17
    • /
    • 1998
  • 외국과의 인터넷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통신사업자, SI, ISP, SW, 컨텐츠 업계가 역할을 분담하고, 정부가 경제사회의 구조조정과 21세기 경제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인터넷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 PDF

세계경제여건변화(世界經濟與件變化)에 따른 경제구조변화전망(經濟構造變化展望)과 구조조정정책방향(構造調整政策方向)

  • Jwa, Seung-Hu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6 no.2
    • /
    • pp.3-19
    • /
    • 1994
  • 본고의 본적은 앞으로 예상되는 세계경제(世界經濟)의 국경 없는 단일경제(單一經濟)로의 통합화 진전과 정보통신기술의 혁신에 따라, 우리 경제가 추구해야 할 경제구조조정정책방향(經濟構造調整政策方向)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고는 우선 경제조직(經濟組織)이란 내생변수(內生變數)로서 경제환경(經濟環境)의 변화에 따라 최적구조를 찾아간다는 시각에서, 외생적(外生的) 여건변화(與件變化)에 따른 경제조직의 변화(變化)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내생적 경제조직론'을 개발하고, 세계경제여건변화에 따른 경제구조의 변화를 전망하고 있다. 이 이론(理論)에 의하면, 세계시장의 통합에 따른 시장규모의 확대는 일반적으로 경제활동의 전문화(專門化) 대형화(大型化)를 촉진시키게 되는 반면, 정보통신기술(情報通信技術)의 발달에 따른 경제활동간의 연계의 강화는 경제활동의 겸업(兼業) 및 다각화(多角化)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시사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의 응용을 통해, 본고는 우선 통합화에 따라 세계각국의 경제구조는 시장규모가 동일해짐으로써 유사한 형태로 귀일해 갈 것이며, 이에 따라 세계경제의 추세에서 크게 벗어나는 독특한 경제구조의 추구는 경제적(經濟的) 비효율(非效率)을 초래할 우려가 높다고 본다. 그리고 경제여건변화(經濟與件變化)에 따라 기업들은 전문화(專門化)와 다각화(多角化)를 활발히 추구함으로써 경제구조(經濟構造)의 변화(變化)를 주도해 나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정부는 정보의 부족으로 이러한 과정을 구체적으로 예측할 수가 없기 때문에, 금후의 구조조정방안(構造調整方案)을 모색함에 있어서, 정부는 구체적 대응방안을 발견하려 하거보다는 기업들의 자생적 구조조정노력을 뒷받침해 줄 수 있도록 경제자율화를 통해 최적의 대응여건을 마련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 PDF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ology of Energy Conservation and Efficiency with Consideration of Baseline and Target Adjustment (베이스라인 조정에 의한 에너지소비 및 원단위 목표설정과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 Lee, Sang-Youp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6 no.2
    • /
    • pp.27-45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develop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energy conservation and efficiency based on baseline and target adjustment approach. Energy consumption is related with output level and production structure. This paper suggests improvement for target establishment and performance assessment with regard to real output level in target year. Numerical illustrations of baseline and target adjustment method are shown different compared with the general assessment resul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pplying the conformity assessment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verification system.

  • PDF

A Critical Review of the EU Smart Specialization and US Manufacturing Renaissance Policies and New Directions for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 Korea (EU의 스마트 전문화 및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한국 지역산업정책 방향)

  • Jeong, Jun 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4
    • /
    • pp.782-798
    • /
    • 2016
  • This paper discusses the European Union's smart specialization strategy and US manufacturing renaissance policy and then proposes new directions for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 Korea. The smart specialization strategy is summarized as the entrepreneurial self-discovery and strategic coordination; the manufacturing renaissance policy as the construction of industrial commons based on ecosystem; and Korea's regional industrial policy as the build-up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based upon industrial clusters. The policy cases of the EU and the United States demonstrate the fact that regional industrial policy should be geographically embedded. Also, they show the relevance of policy mix by linking industrial policy with innovation policy for cross-fertilization between different industry and technology. In addition, the state plays a role as a coordinator and mediator by embedding the democratic discipline into industrial ecosystems. Considering these points, regional industrial policy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platform system that can facilitate linkage between industry and technology.

지역산업진흥과 지역기술지도와의 연계

  • Lee, Gyeong-Mi
    •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 /
    • 2005.06a
    • /
    • pp.33-45
    • /
    • 2005
  • 현재 지역산업진흥계획이 수립되기까지 수도권 억제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법령들이 수립${\sim}$제정되어 왔으나, 그 성과는 미흡하였고, 첨단산업과 지역의 발전을 함께 추구한 과학기술 집적지 조성정책도 연구기관과 산업체간의 기술개발에 대한 수급의 불일치, 지역별 특성화와 차별화 미흡, 사업간 연계성 부족 등으로 성과는 미약하였다. 중앙 부처에서 다양한 지역산업 관련 기술개발 지원사업도 전개해 왔으나, 부처별로 독자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정책 상호간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투자 효율성이 저조하여, 산업자원부에서 산업발전법에 근거하여 2002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은 지역별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한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지역의 내생적 성장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투입요소 증대에서 지역 산업경쟁력 강화로의 전환,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공동 계획입안 등에서 기존의 정책들과 차이를 보인다. 지역산업정책의 최종목표는 '지역균형발전'이며, 중간목표는 '지역산업의 활성화'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전략으로 '3개 권역별 전략산업 집중 육성'과 '제도적 기반 구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전략은 매우 포괄적이어서 정책수단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전략 하에 추진하고자하는 사업들을 검토하고 평가의 목적에 맞게 유형화함으로써 동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경쟁력의 강화이며, 그 기본전략으로는 지자체의 역할제고를 바탕으로 한 전략산업 중심의 지역혁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 : RIS)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지역 내에서는 각 조직 간의 역할분담이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인력과 재원 및 특정분야에 대한 중복투자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며 각각 소규모여서 규모의 경제효과를 꾀할 수 없고 경제적 효과가 가시화되는 데에는 오랜 시일이 걸리고 있고, 지역의 산업발전을 체계적으로 기획하고 지역내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총괄 추진기구가 없어 효율적인 지역산업육성에 한계가 있었다. 지방정부의 과학기술예산 및 전담조직, 산업경제예산 및 전담 조직의 부족과 미 정착으로 독자적인 지역과학기술정책이나 지역산업정책은 물론이고 지역혁신정책을 수행하기 어려웠으나, 지역의 특성과 잠재력에 맞는 사업을 발굴하여 중앙정부에 건의하고 지역 내 각 프로젝트를 총괄 조정하는 중개자 역할을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역혁신체제의 중심기관으로 중개기관과 협력 프로그램에 의한 플랫폼 구축 및 지역산업발전의 기획${\sim}$조정기구로서, 선진국의 지역발전기구(Regional Development Agency : RDA)인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2002년도부터 산업자원부와 9개 시도에 의해 설립되어 지역네트워크의 활성화와 클러스터의 형성 촉진을 하게 되었고 2004년도에는 13개시도로 확대${\sim}$운영되고 있고, 지역특화사업(H/W)과 지역산업기술개발과제(S/W)와 함께 패케지 형태로 지원되며, 주요역할은 크게 지역산업의 정책기획 분야와 평가관리, 지역혁신역량 조사 및 DB구축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도 권역별, 지역별, 지역산업진흥사업 육성과 중장기 산업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역량을 바탕으로 한 지역 Technology Road Map(TRM)작성사업은 전국공통의 1단계 사업으로 실시 ?榮쨉?, 2005년 3월 기준으로 9개 지역(강원, 대전, 충남, 충북, 경북, 울산, 전남, 전북, 제주) 26개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23개가 완료된 상황이다. 이를 근거로 한 지역정책과 R&D 과제 및 필요 인프라의 도출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역량이 강화될 것이다.

  • PDF

Assessing the Impacts of EU's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An Environmentally Extended Input-Output Analysis (환경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탄소국경조정 메커니즘 도입에 따른 국내 산업계 영향 분석과 대응전략)

  • Yeo, Yeongjun;Cho, Hae-in;Jeong, Hoo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1 no.3
    • /
    • pp.419-449
    • /
    • 2022
  • This paper aims to quantify the potential economic burdens of EU's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s faced by Korean domestic industries.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compare and analyzes changes in the burden of each industry resulted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domestic low-carbon policy. Based on the quantitative findings, we inte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mid- to long-term strategi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risks. Based on the environmentally extended input-output analysis, the total economic burdens of the domestic industries due to the EU's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s are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KRW 8,245.6 billion in 2030. Looking at the impacts by industry, it is found that major industries such as petrochemicals, petroleum refining, transportation equipment, steel, automobiles, and electric/electronic equipment industries are expected to account for 84.3% of the total potential burdens. In addition, in multiple policy scenarios assuming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energy transition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domestic low-carbon policies, the total economic burden of carbon border adjustment is expected to decrease by about 11.7% to 15.0%.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not view EU EU's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as a trade regulation, but to use it as a momentum for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low-carbon and energy transition strategies in the global carbon neural era.

나의 주장 - 폐기물정책과 과학기술

  • Park, Gyun-Se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12 s.367
    • /
    • pp.12-13
    • /
    • 1999
  • 우리나라의 폐기물 정책은 감량과 재활용을 우선으로 하면서 소각과 매립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폐기물정책은 상황에 따라 변하는 예가 많아 장기적인 계획이 어려워 과학기술발전에 혼란을 빚게 된다. 폐기물의 적정한 관리를 위해서는 과학기술과 법정책간의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Coordination Mechanism of Agri-food Cluster Network -A Case Study on Muan Loess Sweet Potato Cluste- (농식품클러스터 네트워크의 조정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무안황토고구마클러스터를 중심으로-)

  • Nam, Gi Pou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2
    • /
    • pp.206-223
    • /
    • 2015
  • Korea government has established 67 agri-food clusters for 10 years. In recent years, the criticism of this policy has significantly increased due to trials and err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ocal firm and governance mechanism through the case study of Muan Loess Sweet Potato Cluster. The concept of netchain was used as an analysis framework. Muan Loess Sweet Potato Cluster doesn't operate an integrated production organization and focal firm doesn't exercise its influence as well. The cluster agency, focal firm of Cluster, is important for a Agri-food Cluster to grow continuously. it must have a great influence on organizing networks and an enough capacity for forming coordination mechanism. Also, Local governments must actively be involved in the network formation and coordination and inform the vision and plan for development.

  • PDF

Page replication mechanism using adjustable DELAY counter in NUMA multiprocessors (NUMA 다중처리기에서 조정가능한 지연 카운터를 이용한 페이집 복사 기법)

  • 이종우;조유곤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B
    • /
    • v.33B no.6
    • /
    • pp.23-33
    • /
    • 1996
  • The exploitation of locality of reference in shared memory NUMA multiprocessors is one of the improtant problems in parallel processing today.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vised hardeare reference counter to help operating system to manage locality. In contrast to the previous one, the value of counter can abe adjusted dynamically and periodically to adapt the page replication policy to the various memory reference patterns of processors. We use execution-driven simulation of real application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our adjustable DELAY counter. Our main conclusijon is that by using the adjustable DELAY counter the t normalized average memory access costs and the variance of them become smaller for most applications than the previous one and more robust memory management policies can be provided for the operating systems.

  • PDF